TECH M
TECH M
[CES 2020] '진짜 같은 인공인간·투명 키보드'...CES 사로잡은 新기술
[앵커멘트]
인공지능이 발전해서 사람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가 된다면 어떨까요. 이번 CES에서는 인간과 놀랄 만큼 똑같은 '인공인간'이 전 세계 CES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또 투명 키보드나 탈모 검사기까지, 스타트업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도 눈에 띄었습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고장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환하게 웃거나 얼굴을 찌푸리고, 다양한 몸짓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화면 속 사람들.
이들은 모두 가상의 공간에만 존재하는 '인공인간'입니다.
실시간으로 질문에도 답하고 한국말도 유창합니다.
[인공인간: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삼성전자의 미국 연구조직이 개발한 인공인간 프로젝트 '네온'은 이번 CES에서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이티 잭슨 / 미국 델라웨어: 모든 게 다 사람 같았어요. 사람과 구별할 수가 없었습니다. 대단합니다.]
가상 접객 서비스나, 교육, 콘텐츠 제작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기술로 영화속에서나 보던 인공인간들이 현실로 나온섭니다.
삼성 사내벤처 C랩 스타트업들이 선보인 아이디어도 관람객들로부터 미래 생활상을 볼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미래에는 무거운 키보드나 노트북이 없어도 어디서나 빠르게 타이핑을 할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책상에서 타자를 치면 글씨로 바꿔주는 투명 키보드입니다.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가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해 글씨로 바꿔주는 겁니다.]
[정원석 / 삼성전자 C랩 '셀피타입' CL: 많은 분들이 오셨고요. AI 기술이 모바일 기기에 접목돼서 새로운 미래의 인터페이스가 된다는 가능성에 상당히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공부를 할 때는 종이에 밑줄만 그으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바로 저장됩니다.
스마트 형광펜(하일러)으로 표시만 해두면 종이 문서라도 찾고 싶은 내용을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하철이나 어두운 실내공간에 사용되는 미래의 창문(써니사이드)은 스스로 인공 햇빛을 내뿜는데, 시간에 따른 햇볕의 변화까지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는 비싼 클리닉에 가지 않아도 누구나 쉽게 집에서 두피 정보를 측정해 탈모 예방에 활용하는 솔루션(비컨)까지 쓰일 전망입니다.
CES에서 톡톡 튄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미래 사회로의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라스베이거스에서 머니투데이방송 고장석입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뉴스후] 막 내린 혁신의 장 CES2020…인간과 모빌리티·AI를 연결하다[앵커멘트]혁신의 장 CES 2020이 막을 내렸습니다. 올 한해 전 세계 IT 트렌드를 미리 볼 수 있었는데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직접 CES 현장을 보고 온 산업부 김승교 기자와 고장석 기자와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기사내용]앵커1) 이번 CES 현장 분위기는 어땠는지 궁금한데요. 어떤 점이 가장 눈에 띄었습니까?고장석 기자) 처음 전시장을 보고 나서 좀 당황스러웠습니다.현대자동차 부스에 갔더니 항공기가 있고, 가전 업체인 삼성전자에 갔더니 자동차가 전시돼 있었습니다.항공사에는 비행기가 있어야2020-01-14 09:27:02고장석 기자
-
'임기만료' 게임업계 CEO들 3월 주총 '재신임' 관문 넘을까[앵커멘트]넷마블, NHN, 크래프톤 등 메이저 게임사 전문경영인들의 임기가 3월 주총 시즌을 맞아 일제히 만료됩니다.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재신임을 받을 수 있을지 여부에 눈길이 쏠립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배틀그라운드'로 이름을 알린 크래프톤. 이 회사 창업자 장병규 의장은 3월 주총을 통해 새로운 CEO를 선임하고 임원 일부를 교체하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김효섭 대표의 임기는 올해 10월까지였는데, 다소 이른 타이밍에 개편을 단행하고 2021년중 기업공개를 추진할 전망2020-01-14 09:22:22서정근 기자
-
사상 최대 매출 예고 카카오·네이버…수익성은 희비 '교차'대표 인터넷 포털 기업 네이버와 카카오가 지난해 각각 연매출 6조원, 3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하지만 수익성 측면에선 양사가 엇갈린 성적표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는 외형성장과 함께 수익성을 키우는 반면 네이버는 자회사 라인의 일회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2018년 대비 상당폭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13일 증권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카카오는 지난해 매출 3조960억원, 영업이익 193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28%, 165% 늘어난 수치다.2020-01-14 09:19:57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