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이통사, 5G 세금 혜택은 늘어나는데…중저가 5G 요금제는 '모르쇠'
[앵커멘트]
올해부터 이동통신 3사의 5G 망투자비에 대한 세액 공제율이 기존보다 두 배 더 늘어납니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그만큼 비용 부담이 줄어든 겁니다. 하지만 이통사들은 여전히 망투자 비용이 많다고 앓는 소리를 하고 있고, 시민 사회의 '중저가 요금제' 출시 요구는 외면하고 있습니다. 황이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이동통신 3사가 2019년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최소 20%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바로 5G.
이통사는 5G 서비스 상용화 이후 최소 5만5000원에서 최대 13만원까지 고가의 요금제를 내놨고 현재까지 500만에 육박하는 5G 가입자를 확보했습니다.
덕분에 그동안 하향세였던 이통사의 무선 가입자 매출은 5G 상용화 후부터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2019년 4분기부터는 연간 기준으로도 늘어 무선 매출 성장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여기에 정부는 이통사들의 네트워크 투자 부담을 줄여주겠다며 5G 투자 세액공제율을 기존 1%에서 2%로 늘려줬습니다.
이들이 작년과 같은 수준으로 투자한다고 가정했을 때 올해는 세금 공제 혜택을 60% 더 볼 수 있게 됐습니다.
기업들의 수익은 개선되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미미합니다.
이통사는 세제 혜택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신규 5G 중저가 요금제 확대에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요금제 확대를 검토 중"이라고 되풀이하면서도 "당분간 신규 요금제 출시 계획이 없다"고 알렸습니다.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팀장: 이통사들도 계속해서 (5G)요금제 관련해서 부가적인 콘텐츠 관련한 이야기는 많이 있는데 실제로 요금제를 어떻게 하겠다던가 기지국 부족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편을 어떻게 하겠다는 구체적인 대책은 내놓지 않고 있는…"]
첫 출시부터 비싸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던 5G 요금제. 네트워크 끊김 현상이 여전하고 LTE 대비 서비스 차이를 크게 못 느낀다는 이 불만많은 데다, 소비자 선택권까지 제한되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세계 최고' 5G로 불리기엔 역부족이란 비판이 많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황이화입니다.
황이화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뉴스후] 막 내린 혁신의 장 CES2020…인간과 모빌리티·AI를 연결하다[앵커멘트]혁신의 장 CES 2020이 막을 내렸습니다. 올 한해 전 세계 IT 트렌드를 미리 볼 수 있었는데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직접 CES 현장을 보고 온 산업부 김승교 기자와 고장석 기자와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기사내용]앵커1) 이번 CES 현장 분위기는 어땠는지 궁금한데요. 어떤 점이 가장 눈에 띄었습니까?고장석 기자) 처음 전시장을 보고 나서 좀 당황스러웠습니다.현대자동차 부스에 갔더니 항공기가 있고, 가전 업체인 삼성전자에 갔더니 자동차가 전시돼 있었습니다.항공사에는 비행기가 있어야2020-01-14 09:27:02고장석 기자
-
'임기만료' 게임업계 CEO들 3월 주총 '재신임' 관문 넘을까[앵커멘트]넷마블, NHN, 크래프톤 등 메이저 게임사 전문경영인들의 임기가 3월 주총 시즌을 맞아 일제히 만료됩니다.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재신임을 받을 수 있을지 여부에 눈길이 쏠립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배틀그라운드'로 이름을 알린 크래프톤. 이 회사 창업자 장병규 의장은 3월 주총을 통해 새로운 CEO를 선임하고 임원 일부를 교체하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김효섭 대표의 임기는 올해 10월까지였는데, 다소 이른 타이밍에 개편을 단행하고 2021년중 기업공개를 추진할 전망2020-01-14 09:22:22서정근 기자
-
사상 최대 매출 예고 카카오·네이버…수익성은 희비 '교차'대표 인터넷 포털 기업 네이버와 카카오가 지난해 각각 연매출 6조원, 3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하지만 수익성 측면에선 양사가 엇갈린 성적표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는 외형성장과 함께 수익성을 키우는 반면 네이버는 자회사 라인의 일회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2018년 대비 상당폭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13일 증권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카카오는 지난해 매출 3조960억원, 영업이익 193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28%, 165% 늘어난 수치다.2020-01-14 09:19:57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