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국산 무인운반차, 검증된 정지 정확도로 외산 장벽 돌파

생기원, 중소기업 오토라트에 무인운반차 정지 정확도 향상 기술 지원

2020-01-16박응서 기자

국산 무인운반차가 외국 업체가 장악하고 있는 무인운반차 시장에서 진입장벽을 깨고 대기업 납품에 성공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무인운반차 전문기업 오토라트에 무인운반차 정지 정확도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시킨 기술을 지원해 대기업 납품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냈다고 15일 밝혔다.

스마트공장이 확산되면서 무인운반차(AGV, Automated guided vehicle)가 지게차와 컨베이어 시스템을 대체하고 있다. 무인운반차는 각종 화물을 지정된 노선을 따라 반복 운송하는 자율주행차다. 작업자 개입을 최소화해 사고 위험을 줄여주며 50㎏부터 최대 10t 무게를 한 번에 옮길 수 있어 운반 효율도 높다.

오토라트는 무선 유도 방식의 무인운반차를 독자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정지 정확도가 ±25㎜ 수준으로 오차 범위가 상당히 넓고 외국 제품 대비 신뢰성이 떨어져 그동안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 정지 정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와 체계화된 측정법도 부재해 AS와 품질 관리에 난항이 예상됐다.

생기원 정밀가공제어그룹 조한철 박사 연구팀은 오토라트 요청을 받아 기술개발에 착수, 정지 정확도를 세계적인 수준인 ±15㎜ 이내로 맞춰 국제경쟁력을 확보했다.

연구팀은 먼저 차량 모터의 전기적 특성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속도와 부하율 같은 변수 20개를 모터 관성 실시간 추정 실험을 통해 조정해 이에 알맞은 구동 알고리즘을 구현, 정지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 차량이 정지 신호를 전달받고 정차한 위치 평균값을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기존의 수동 측정방식에 레이저 오차 측정법을 결합한 객관적 평가 시스템을 개발해 정지 정확도 신뢰성을 검증했다.
이밖에 기름이 많거나 방수포로 덮인 바닥 환경에서도 충분한 접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면적을 넓힌 휠 구조를 고안하고, 미끄럼 방지 타이어를 채택해 제동 성능도 보완했다.

이 같은 기술지원으로 오토라트는 2019년 1월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에 컨베이어용, 리프트용, 롤 이송용 3가지 유형 자율주행 무인운반차 5대를 순차적으로 납품했다.

이는 일본, 독일, 미국, 스위스 등 해외 업체가 장악하고 있는 무인운반차 시장에서 국내 중소기업이 진입장벽을 깨고 대기업에 납품한 기술자립 성공 사례다. 특히 납품 후 1년간 실제 운행 과정에서 정지 정확도와 신뢰성을 검증받아 현재 삼성전기로부터 추가 발주를 요청받은 상태다.

외국 제품과 비교해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주문 제작을 통해 공정 상황에 알맞은 크기의 맞춤형 차량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AS 대응도 빠르다는 평가다.

조한철 박사는 “무인운반차의 핵심인 정지 정확도 향상 분야에서 기술 국산화를 이뤄낸 만큼 자동차, 조선, 제철, 제지 등 다양한 국내 생산현장에 빠르게 보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무인운반차에 화물을 자동으로 쌓는 기능을 추가한 무인물류로봇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츠앤드마켓츠가 2019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무인운반차 시장은 연평균 약 7.8%로 성장해 2019년 20억달러(약 2조3200억원)에서 2024년 29억달러(약 3조364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박응서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