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VR산업 육성을 위한 VR 생태계 허브가 만들 계획"
국내 가상현실(VR) 산업 육성을 위한 VR 생태계 허브가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2일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한국VR산업협회 주최로 열린 ‘가상현실 민관 협력전략 토론회’에서 김정삼 미래창조과학부 디지털콘텐츠과장은 VR산업 육성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김정삼 과장은 “작년에 디지털 콘텐츠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에 VR과 관련된 선도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며 “선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민간 투자와 함께 콘텐츠, 소프트웨어, 방송통신기업이 힘을 합쳐 콘텐츠를 만들고 다양한 기술을 결집시키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VR 관련 선도과제는 VR 서비스 플랫폼, VR게임 체험, VR테마파크 등 3개로, 각 과제는 연구개발(R&D)과 비R&D 세부과제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 사업을 위한 하나의 공통 플랫폼 구축이 추진된다.
정부의 가상현실(VR) 산업 육성 정책방향과 관련해 민간기업들은 기대감과 아쉬움을 함께 나타냈다.
김찬현 조이시티 부장은 “VR 하드웨어가 보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콘텐츠 유통이 어떻게 될지 의문이 있다”며 “콘텐츠 디자인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대실 스코넥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소비시장이 부족한 상태에서 우리나라에 필요한 것은 다양한 입력 디바이스”라며 “해외에서 디바이스를 가져왔는데, 해외업체와 사이가 안 좋아지면 사업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VR에 필요한 입력 디바이스를 독립적으로 개발하는 R&D가 맞는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김일 매니아마인드 최고경영자는 “중국은 지난해부터 체험전에서 실제 흑자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며 “100만 원이 넘는 고가의 장비를 개인이 쓰기는 어렵지만, 테마파크나 체험전에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동일 볼레크리에이티브 대표는 "VR기기는 하드웨어만 보고 구매하지 않고, 뭘 할 수 있는지 콘텐츠를 보고 산다"며 "중국에서 텐센트, 샤오미, 화웨이가 HMD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는데 한국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 날 토론회에 참석한 LG전자와 삼성전자는 상생을 강조했다.
곽재도 LG전자 부장은 “‘G5’의 모듈 콘셉트를 발전시키면 VR 콘텐츠를 발전시키면서 중소기업도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며 “앞으로 협력업체와 스타트업이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진화시키려고 한다”고 발표했다.
김현철 삼성전자 수석도 “국내 콘텐츠 제작업체와 협업을 하고 이런 것을 소개해 VR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VR산업 육성을 위한 VR 생태계 허브가 만들 계획"국내 가상현실(VR) 산업 육성을 위한 VR 생태계 허브가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2일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한국VR산업협회 주최로 열린 ‘가상현실 민관 협력전략 토론회’에서 김정삼 미래창조과학부 디지털콘텐츠과장은 VR산업 육성 정책방향을 설명했다.김정삼 과장은 “작년에 디지털 콘텐츠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에 VR과 관련된 선도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며 “선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민간 투자와 함께 콘텐츠, 소프트웨어, 방송통신기업이 힘을 합쳐 콘텐츠를 만들고2016-03-03 21:40:15도강호 기자
-
화재 발생시 로봇 안내 믿어도 될까?대형 빌딩에 불이 났을 경우 비상구를 안내해주는 로봇이 있다면 사람들은 로봇의 지시를 얼마나 따를까.미국 한 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같은 비상 상황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로봇의 지시를 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사람들은 설령 로봇이 잘못된 장소를 안내하거나 어느 순간 기능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로봇을 믿고 안내에 순응했다.미국 조지아텍의 수석 엔지니어인 ‘알랜 와그너(Alan Wagner)’ 등 연구팀은 ‘비상 안내 로봇(Emergency Guide Robot)‘을 건물에2016-03-03 17:10:38장길수 로봇신문 국장
-
4.13 총선 향해 달리는 과학기술 전문가들이번 총선에 출마의사를 밝히거나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과학과 ICT 분야 주요 후보자는 20여 명.새누리당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양한 과학 분야 인사가 많은 반면, 더민주당은 ICT 기업 출신의 비중이 높은 게 특징이다. 국민의당의 경우, 당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안철수 의원 외에는 아직 눈에 띄는 테크 분야 인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이번 총선에 출마할 ICT 분야 새 얼굴은 주로 더민주에 포진해 있다. 온라인 게임 업체 웹젠의 김병관 의장, 유영민 전 포스코경영연구소 사장, 양향자 전 삼성전자 상무 등이 영입인사로2016-03-03 16:53:11장윤옥 기자, 최수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