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하나의 사건을 보는 각자의 시선
섬. 사라진 사람들
어떤 일이든 시간이 흐르면 잊지 말자는 다짐은 희미해지고 사건은 잊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잊어선 안 되는 일들이 있다.
2014년 2월 사회 고발 프로그램에 의해 충격적인 ‘염전노예사건’이 밝혀진다. 염전에서 인부들이 수년간 감금당한 채 강제노역과 폭행을 당한 사건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 사람들은 공분했지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법적 조치는 미뤄졌고 시간은 흘렀다. 그리고 사건은 기억에서 사라져 갔다.
영화는 기억을 다시 불러온다. 실재한 염전노예사건을 바탕으로 하지만 인물과 사건은 모두 재구성된 팩션(faction)이다.
영화는 한 제보자에 의해 염전노예에 대한 제보를 받은 공정뉴스TV 사회부 기자 혜리가 섬으로 향하면서 시작된다. 카메라 기자 석훈과 잠입 취재를 떠난 둘은 다큐멘터리 촬영으로 위장해 사람들에게 접근해보지만 사람들은 쉽게 입을 열지 않는다. 열혈 기자 혜리는 사명의식으로 사건을 파고들지만, 염전 주인에게 가로막혀 번번이 취재에 난항을 겪는다.
그러던 중 사건에 관련된 사람이 전원 사망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진다. 혜리는 혼수상태에 빠지고, 사건현장을 담은 카메라 역시 종적을 알 수 없다. 염전 주인과 아들, 인부 한 명은 행방불명이다. 논란이 가속화되자 서둘러 수사는 종결된다. 그로부터 5개월 후, 유일한 생존자 혜리가 깨어나는데. 섬마을 사람들 모두가 용의자인 상황, 과연 사건의 진실은?
‘사건 목격 스릴러’를 표방하는 영화는 사건보다 사람들이 사건을 어떻게 보는가에 집중한다. 사건 속에는 다양한 시선이 존재하고, 주인공 혜리와 같은 시선이 있는가 하면 전혀 다르게 바라보는 여러 군상이 있다.
염전노예사건을 보며 ‘무관심, 무책임, 이기주의, 탐욕’ 등을 떠올렸다는 이지승 감독은 물음을 던진다. ‘당신은 이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본 기사는 테크M 제35호(2016년3월) 기사입니다>
-
"VR산업 육성을 위한 VR 생태계 허브가 만들 계획"국내 가상현실(VR) 산업 육성을 위한 VR 생태계 허브가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2일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한국VR산업협회 주최로 열린 ‘가상현실 민관 협력전략 토론회’에서 김정삼 미래창조과학부 디지털콘텐츠과장은 VR산업 육성 정책방향을 설명했다.김정삼 과장은 “작년에 디지털 콘텐츠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에 VR과 관련된 선도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며 “선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민간 투자와 함께 콘텐츠, 소프트웨어, 방송통신기업이 힘을 합쳐 콘텐츠를 만들고2016-03-03 21:40:15도강호 기자
-
화재 발생시 로봇 안내 믿어도 될까?대형 빌딩에 불이 났을 경우 비상구를 안내해주는 로봇이 있다면 사람들은 로봇의 지시를 얼마나 따를까.미국 한 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같은 비상 상황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로봇의 지시를 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사람들은 설령 로봇이 잘못된 장소를 안내하거나 어느 순간 기능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로봇을 믿고 안내에 순응했다.미국 조지아텍의 수석 엔지니어인 ‘알랜 와그너(Alan Wagner)’ 등 연구팀은 ‘비상 안내 로봇(Emergency Guide Robot)‘을 건물에2016-03-03 17:10:38장길수 로봇신문 국장
-
4.13 총선 향해 달리는 과학기술 전문가들이번 총선에 출마의사를 밝히거나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과학과 ICT 분야 주요 후보자는 20여 명.새누리당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양한 과학 분야 인사가 많은 반면, 더민주당은 ICT 기업 출신의 비중이 높은 게 특징이다. 국민의당의 경우, 당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안철수 의원 외에는 아직 눈에 띄는 테크 분야 인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이번 총선에 출마할 ICT 분야 새 얼굴은 주로 더민주에 포진해 있다. 온라인 게임 업체 웹젠의 김병관 의장, 유영민 전 포스코경영연구소 사장, 양향자 전 삼성전자 상무 등이 영입인사로2016-03-03 16:53:11장윤옥 기자, 최수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