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KEB하나은행, 각국 사정 맞는 상품으로 세계 시장 잡는다

[주요 은행 스마트금융 전략]

2016-03-06조은아 기자


국내 최초 스마트폰 뱅킹 서비스, 국내 최초 모바일 전용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국내 최초 기업전용 스마트폰뱅킹 서비스, 국내 은행권 최초 모바일 전자지갑….

KEB하나은행은 각종 스마트금융 서비스를 한발 앞서 선보였다.

업계 최초로 금융그룹 통합 멤버십 제도 ‘하나멤버스’도 출시했다.

그동안 나온 포인트 서비스의 경우, 특정 가맹점에서만 사용하거나 현금 출금에 제약이 있었지만 하나머니는 ATM으로 출금하는 것은 물론 계좌 입금과 카드 결제도 지원한다. 또 OK캐시백, SSG페이, CJ One 등 대형 멤버십 기업과 포인트 전환을 통해 제휴처에서 쉽게 포인트를 쓸 수 있는 오픈형 플랫폼을 지향한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캐나다를 테스트 베드 삼아 비대면 계좌 개설, 전화번호 기반 P2P 송금 등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새로 선보인 하나1Q(원큐) 앱은 기술면에서의 차별화도 신경을 썼다.

앱 하나로 스마트뱅킹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되 파일 용량을 최소화 해 구동시간을 단축하고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도 높였다. 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공인인증서 대체 수단을 통해 계좌이체를 할 수 있도록 했다.

김경호 KEB하나은행 미래금융사업부 부장은 “기존 FIDO 방식의 지문인증에다 자체 본인인증을 추가, 보안을 강화했고 T-OTP를 보안매체로 도입해 고객정보가 해킹에 노출되지 않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6월 출시할 은행권 공동 핀테크 오픈플랫폼인 오픈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도 참여하고 있다. 다만 본격적인 참여시기는 올해 6월 적용되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간의 전산통합에 따라 조정될 전망이다.

비대면 채널 원큐뱅크로 해외 시장 공략
이같은 새로운 시도는 해외에서까지 인정받고 있다. ‘

하나앤월렛’은 금융 미디어 더뱅커(The Banker)가 수여하는 글로벌 테크놀로지 혁신상 중 ‘올해의 테크놀로지 프로젝트’ 등 3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또 미국 금융 리서치 셀런트(Celent)의 글로벌 모델 뱅크 어워드에서도 2회 수상한 바 있다.

캐나다에서는 이미 원큐뱅크(1Q Bank)란 이름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을 운영중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캐나다를 테스트 베드 삼아 비대면 계좌 개설, 전화번호 기반 P2P 송금, 인터넷 기반 대출, 여신심사 자동화, 간편 해외 송금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시스템, 서비스, 채널, 상품 등을 모듈 단위로 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국가별 상황에 맞춰 운영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이같은 원큐뱅킹 플랫폼을 활용, 글로벌 모바일 뱅킹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인도네시아 등 리테일 뱅킹에 강점이 있는 해외 네트워크부터 원큐뱅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박승배 KEB하나은행 글로벌미래금융부 부장은 “중국은 정부가 나서 핀테크를 장려하는 분위기지만 외국계 금융기관에 대한 보이지 않는 장벽이 있어 어려움이 많다”며 “일찍부터 꾸준히 진출을 준비해 온 만큼 원큐뱅크 출시를 통해 중국 현지 고객을 꾸준히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