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반도체와 배터리 기능 대폭 향상시킬 첨단 소재 원천기술 확보
다결정 소재에 규칙적 결함 심어 성능 향상…네이처 표지논문 게재
한미 공동연구진이 반도체와 배터리 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다결정 소재를 합성해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 연구팀이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 폴 알리비사토스 부총장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보도블록처럼 결정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다결정 소재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다결정 소재는 크기나 모양이 다른 수많은 알갱이가 엉겨 붙은 소재로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만들 수 있어 태양전지 원료인 폴리실리콘이나 배터리에서 흑연 전극처럼 산업에서 널리 쓰인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 1월 16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공동연구팀은 다결정 소재에서 결정 알갱이를 규칙적으로 배열해 알갱이 간 경계에서 생기는 미세한 틈인 경계결함을 일정하게 만들었다. 또 원하는 대로 이 경계결함의 밀도와 구조를 조절해 소재의 물성을 조절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은 벽돌 여러 장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보도블록이 균일한 틈을 가진 것처럼 나노 결정 알갱이를 규칙적으로 배열해 균일한 패턴으로 경계결함을 갖는 나노입자를 합성했다.
이 합성법으로 결정 알갱이 개수를 조절하면 경계결함 밀도와 구조를 조절할 수 있어 소재 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나노 다결정을 실제 수소연료전지 촉매로 사용해보니 촉매활성이 늘어 전지 성능이 향상됐다.
연구진은 금속과 세라믹을 포함한 다양한 결정재료에 이 합성법을 활용할 수 있음도 증명했다. 앞으로 반도체와 배터리 같은 첨단 기능성 소재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성과는 세계적으로 나노입자 합성화학을 선도하는 나노입자연구단과 소재특성제어를 선도하는 UC버클리 연구진의 합작품이다. 공동 제1저자인 오명환 박사와 조민지 연구원 부부가 미국에 진출해 합성법을 완성하고, UC버클리의 최첨단 이미징 기법으로 합성된 소재를 정밀하게 분석하며 긴밀하게 공동연구해 결실을 맺었다.
오명환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전 IBS 연구위원)은 “학계와 산업계에서 결정재료의 경계결함을 최소화시키는데 집중해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오히려 경계결함 밀도를 높이고 그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 것이 핵심”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현택환 IBS 연구단장은 “촉매와 배터리 전극 등 산업에 중요한 소재의 성능을 한층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 선진국과 치열한 소재 산업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고 말했다.
박응서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내년 발사될 순수 국산 발사체 ‘누리호’ 개발 현장을 가다국내 기술로 독자적으로 개발해 내년에 우주로 발사될 순수 국산 발사체 '누리호' 개발 현장이 올해 처음 공개됐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 현장을 지난 15일에 공개했다.이날 고정환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본부장은 나로우주센터에서 75톤급 엔진 연소시험을 시작으로 제2발사대 공사 현장, 엔진지상연소시험설비, 발사체 조립동을 취재진에게 차례로 공개하며, “누리호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rdqu2020-01-20 08:41:25박응서 기자
-
[IT 북카페] 우리는 이미 플랫폼 기업의 영향 아래에 있다 - 플랫폼 기업 전략# 늦잠을 잔 아침, 서두르지 않으면 지각을 할 것 같아 카카오T앱을 켜서 택시를 부른다. 점심시간에는 외출하기 귀찮아 배달앱을 이용해 배달을 시킨다. 잠시 짬이 나 유튜브로 요즘 인기 있는 유튜버의 브이로그 영상을 시청한다. 혼잡한 퇴근길 지하철에서는 페이스북으로 친구들의 근황을 확인하고, 인스타그램에서 최근 관심 있는 인플루언서의 사진을 구경한다. 잠들기 전, 여행지 정보를 찾아보다가 에어비앤비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숙소를 구한다.최근 우리의 삶은 모바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 속에서 이뤄지2020-01-20 08:38:21김태환 기자
-
LG헬로비전 활용한 LGU+ 공세…5G 알뜰폰 전략 고심하는 SKT[앵커멘트]CJ로부터 알뜰폰 1위 업체를 인수한 LG유플러스가 여세를 몰아 알뜰폰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습니다. 특히 5G 알뜰폰 상품을 늘려 5G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데요. 반면 이동통신시장 과반을 점유한 SK텔레콤의 고민은 깊어지는 모습입니다. 황이화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사내용]LG헬로비전이 이달 말부터 LG유플러스 망 알뜰폰 서비스를 처음으로 시작합니다. 이동통신 3사보다 저렴한 5G 요금제도 선보입니다.지난해 KB국민은행과 업계 최초로 5G 알뜰폰을 출시한 LG유플러스. 업계 1위 알뜰폰 사2020-01-20 08:35:04황이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