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도요타,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2016-03-14장길수 로봇신문 국장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한다.
도요타 로봇사업부문은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사업인 ‘프로젝트 블레이드(Project BLAID)'를 추진키로 하고 어깨 위에 두를 수 있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자사 블로그를 통해 공개했다. 블레이드를 항공기용 배개처럼 어깨위에 두르면 시각장애인도 빌딩이나 쇼핑센터의 주요한 지형 지물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는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인식해 시각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에스컬레이터,계단, 문, 출입구 등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스피커와 진동형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음성 명령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도요타측은 언제 제품을 시장에 내놓을지 일정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프로젝트 블레이드는 이제 개발 시작 단계인 것으로 보인다.
도요타측은 이 디바이스가 지팡이, 안내견, GPS 기기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요타는 앞으로 이 디바이스에 매핑, 객체인식, 얼굴인식 등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도요타 북미법인 부사장인 '사이먼 나가타'는 “프로젝트 블레이드는 도요타가 모빌리티의 미래를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우리는 주변 환경, 위치, 능력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모빌리티의 자유를 확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이슈 분석] 인공지능 열풍에서 짚고 가야할 것들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4번째 판에서 이 9단이 첫 승을 거뒀다. 전체 대국이 시작되기 전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상대로 한 판이라도 이긴다면 성공일 것이라는 예상이 다수였다. 하지만 이제는 강력한 인공지능을 상대로 1승을 거둔 이세돌 9단에 대한 찬사가 쏟아지고 있다.동시에 예상 밖의 실력을 선보인 알파고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알파고의 강력한 컴퓨팅 파워.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는 전망. 알파고의 ‘창조주’ 데미스 하사비스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조명까지 여러 가지2016-03-14 08:10:40도강호 기자
-
[딥러닝] 멀리 보고 황금알 낳을 거위를 키워라73.1과 2.3년. 이 두 가지 숫자는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수준을 나타내는 수치다.73.1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앞선 국가인 미국의 기술수준을 100이라고 했을 때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수준이고, 2.3년은 미국과의 인공지능 기술격차를 기간으로 환산한 것이다. 국가 산업기술 연구개발을 기획·평가·관리하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2013년 산업기술수준조사를 통해 이 같은 수치를 도출했다.최근 우리 정부와 연구기관, 민간기업들이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와 연구를 강화해 2013년에 비해 기술수2016-03-14 08:10:32강동식 기자
-
[주간 브리핑] 1m 오차 초정밀 GPS 개발…위치정보 정확도 향상차선까지 구분하는 초정밀 GPS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주요 ICT 기업들이 내비게이션 분야에서 합종연횡을 통해 주도권 확보에 사활을 건 경쟁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초정밀 GPS가 개발됨에 따라 지리정보, 자율주행자동차, 물류, OSO 등 각 분야에 어떤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또 ICT 수출 감소세가 지속돼 우려를 낳았으며, 심야 콜버스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내놓았으나 정부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콜버스랩이 택시사업자들과 협약을 맺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주목된다.■ 차선까지 구분하는 초정밀 GPS 개발2016-03-14 04:10:17테크M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