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유아들에게도 SW 교육을? 절차적 사고 돕는 해외 이색 SW 교구들

2016-03-13박상은 인턴기자

위글 [출처: 위글 트위터]
세계적으로 SW 열풍이 불면서 해외에는 유아들도 SW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색 교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어린 아이들에게 어려운 코드를 가르치려는 것은 아니다. 본격적인 SW교육 전에 SW에 친숙함을 갖도록 하고 절차와 논리를 중시하는 태도를 길러주자는 것. 아이들이 알파벳 노래를 부르거나 카드를 가지고 놀며 영어에 자연스럽게 친숙해지도록 하는 것과 비슷하다.

비봇
영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소프트웨어 교구로 꼽히는 ‘비봇’ 은 영국의 80%가 넘는 유아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친근한 꿀벌이 둥그렇게 누워 있는 모습의 이 제품은 몸체에 방향버튼 4개와 정지, 취소 등 총 7개의 버튼이 있다. 지도에 비봇이 도달해야 할 목표 지점을 지정하면 아이들은 버튼을 눌러 비봇의 방향과 순서를 정하고, 명령어를 입력한다. 자연스럽게 절차와 동작언어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음악을 듣고 움직이는 ‘위글’도 있다. 리코더나 플루트로 연주하면 음에 따라 앞, 뒤, 좌, 우로 다르게 움직인다. ‘도’를 연주하면 앞으로, ‘파’를 연주하면 오른쪽으로 도는 식이다. 아이가 위글을 움직이게 하려면 움직임을 보며 악기를 연주해야 한다. 이런 상호작용을 통해 가장 빨리 목표 지점에 도달하거나, 장애물을 피해가기 위해 어떤 음을 불지 머릿속으로 생각하게 된다.
올초 CES2016에서 소개돼 인기를 끈 ‘코드 어 필라’도 있다. 완구 제조업체 피셔프라이스가 만든 이 로봇은 애벌레 모양을 하고 있다. 몸통을 이루는 각 마디의 상단엔 출발, 회전 같은 명령단어가 쓰여 있다. 명령을 차례로 키워 맞추면 로봇의 머리가 그 명령을 인식해 그대로 순서대로 움직인다. 아이는 로봇의 움직임을 예측해 순서를 정한 후 이에 맞게 로봇을 조립해야 한다.

세 교구는 생김새는 다르지만 기능이 비슷하다. 움직이는 방향을 아이가 직접 정하는 과정에서 결과를 미리 예측하고, 이를 통해 절차적 사고를 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알고리즘의 기초를 익힐 수 있다.

코드 어 필라 [출처: 피셔 프라이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