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핏 21세기의 지식, 글로벌, 모바일 경제는 20세기 이전의 굴뚝 산업 경제와 근본적으로 달라졌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불황의 본질은 하나도 달라진 것이 없다. 불황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논쟁의 와중에 세이처럼 많은 오해를 받았던 사람도, 세이처럼 인정받지 못했던 사람도 드물다. 케인즈는 세이를 그릇된 경제 이론의 대명사처럼 취급했고, 마르크스는 노동가치론을 부정한 그를 노골적으로 우물(愚物)이라고 조롱하기까지 했다. 세이는 정말 말도 안 되는 경제 이론을 전개한 이류 사상가에 불과했을까. 케인즈 덕분에 오늘날 일명 ‘세이의 법칙(Say’s Law)’으로 알려진 그의 판로(debouches)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자. 2007년 금융위기 이후 양적 완화와 금리 인하, 감세 정책, 부동산 거래 규제 완화, 고용 유연화, 벤처 창업 활성화 등 온갖 정책에도 불구하고 탈피할 기미가 안 보이는 불황, 도대체 어디에 초점을 두어야 할까. 케인즈는 그의 유명한 ‘화폐, 고용, 이자의 일반이론’에서 종전의 경제학이 “세이의 법칙이라는 잘못된 사상에 입각해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케인즈는 세이의 법칙을 이른바 ‘공급은 수요를 창출한다’는 명제로 요약했다. 시장의 법칙(law of market) 케인즈는 이를 다시 부연해서, 재화가 생산되면 거기에 투입된 생산비용은 생산요소의 소득으로 다시 여타 재화를 구입하는 데 지출되고 그에 따라 경제 전체에서 총수요와 총공급은 항상 일치하게 되어 있다는 주장이, 세이의 시장 법칙이라고 정리했다. 그래서 세이의 법칙을 암묵적으로 수용한 종전의 경제학은 경기 침체와 비자발적 실업을 전혀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세이 본인은 총수요와 총공급이 항상 일치한다는 주장을 한 적이 없다. 세이가 그의 ‘정치경제학 논고(Traite d’Economie Politique, 1803 1판~1826년 5판)’의 여러 판에서 주장한 내용들은 조금씩 차이가 있고 표현이 모호한 부분이 있지만, 그가 주장하고자 했던 내용의 핵심은 경기 침체가 일어나는 원인은 화폐 부족이 아니라 생산 활동이 활발하지 못해서라는 것이었다. 흔히 사람들은 재화를 구매하는 것은 화폐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는 재화(생산물)가 재화(생산물)를 구매한다는 이면의 본질을 강조했다. 사실 이런 생각은 세이가 독창적으로 해낸 것이라기보다는 당시 경제학자들 사이에 흔히 오가던 논리였다. 영국의 제임스 밀(1773-1835)3)은 ‘상업옹호론(Commerce Defeneded, 제2판 1808)’에서 이 생각을 매우 체계적으로 전개한 또 한 사람의 인물이었다. 둘 중 누군가는 틀림없이 상대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영어권에서는 시장 법칙이라고 통용되지만, 세이가 사용했던 원래의 프랑스어 ‘debouches’는 시장이라기보다는 출구, 통로(outlet, vent)의 뜻이다. 내 물건을 팔려면 반드시 그 물건을 내보낼 수 있는 통로가 있어야 하는데, 다른 곳에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어야만 비로소 그 통로가 형성되며, 타인의 화폐 자체는 표면의 현상일 뿐 결코 본질적인 통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다. 세이는 소비가 아니라 생산을 활성화시켜야 경기 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맬더스와 케인즈는 세이와 반대 입장을 취했던 경제학자다. 맬더스는 지주를 비롯한 부유한 계층의 소비를 증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케인즈는 정부가 재정 지출을 통해 소비를 증가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똑같은 유효 수요라도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당장 동일한 구매력이라도 소비를 통해서 나오는 것과 생산을 통해서 나오는 것은 효과가 너무나 다르다. 소비는 사람의 생존을 유지하거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재화를 소모해버리거나 생존을 지속하고 현상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하는 정도로 끝나지만, 생산에 투입되는 소비는 생산 활동과 소득 증대를 가속화할뿐더러 소비 자체도 활성화할 수 있다. 당장의 생존을 위한 소비와 생산을 위한 소비는 반드시 둘 다 필요하고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경기 침체를 해소하기 위해 오직 소비의 활성화에 초점을 두게 되면 경기 침체는 근원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그래서 세이는 “좋은 정부의 목표는 생산을 장려하는 것이고, 나쁜 정부의 목표는 소비를 권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던 것이다. 케인즈는 세이가 마치 균형의 자동적인 달성을 주장한 인물인 것처럼 왜곡했지만, 세이는 사후에 자신에게 그런 딱지가 붙을 줄은 꿈에도 생각 못했을 것이다. 케인즈처럼 위대한 지성조차도 이렇게 경솔한 왜곡을 범할 수 있었다니 놀랍다. 프랑스인들의 자부심 ‘앙트러프러너’ ‘앙트러프러너(entrepreneur)’. 프랑스인들은 이 프랑스어가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것에 대단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모험적 사업가’로 해석되는 앙트러프러너는 독일어권에서는 같은 뜻으로 ‘Unternehmer’가 흔히 사용되지만, 영어에는 적절한 단어가 없어서 굳이 번역하지 않고 그냥 이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100년 넘게 이 단어를 잊고 살다가 슘페터가 극적으로 부활시킨 이래, 앙트러프러너는 오늘날 사업가는 물론이고 정책 담당자 사이에서도 유행어가 됐다. 세이는 자유주의자로서 앙트러프러너의 특성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했지만, 무엇보다 중개하는 존재(intermediary)의 역할을 강조했다. 먼저 명심해야 할 것은 앙트러프러너가 경제학자들의 어휘집에 늘 등장하는 생산자(producer)와 전혀 다른 성격의 존재라는 사실이다. 세이는 앙트러프러너를 첫째, 모든 생산자 사이의 중개자, 둘째, 생산자와 고객 사이의 중개자라고 규정했다. 아니, 생산자가 곧 기업가 아닌가? 그리고 자본가가 곧 기업가 아닌가? 21세기기 되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 선입견을 지니고 있다. 요즘도 사람들은 반기업 정서, 반 법인(法人)정서, 반 부자(富者) 정서를 한 없이 혼동하고 있다. 하지만 결코 그게 아니라는 것이 세이의 생각이었다. 그는 기업가야말로 생산자, 상인, 자본가 그 어느 주체와도 동일시할 수 없는 별도의 존재라는 사실을 처음 인식했다. 바로 여기에 세이의 위대성이 있다. 앙트러프러너는 이미 자본을 보유한 사람일 수도 자본이 없어서 타인의 자본을 빌려오는 사람일 수도 있다. 오너일 수도 있고 피고용자일 수도 있다. 부자일 수도 있고 가난한 사람일 수도 있다. 개인일 수도 있고 법인의 경영자일 수도 있다. 모든 상인, 모든 기업 오너, 모든 부자, 모든 관리경영자가 다 앙트러프러너인 것은 아니다. 그 어떤 경우에든 앙트러프러너는 자원을 비생산적인 곳으로부터 보다 생산적인 곳으로 이끌어 들이는 존재다. 그는 시장 수요, 가격, 욕구 이 모든 것들을 관찰한 뒤 과연 어떤 새로운 재화를 생산할 것인지, 이를 위해서 어떤 자원들을 끌어들여야 할지 결정한다. 그리고 위험을 감수하고 이를 실천에 옮긴다. 물론 그들도 얼마든지 오판할 수 있고 판매부진에 시달릴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을 통해서 부문별로 재화의 수급은 불일치를 극복하려는 동력을 얻게 된다. 이것이 세이가 바라본 시장 메커니즘의 핵심이다. 그들이 있기 때문에 시장성이 없는 제품은 폐기되고 새로운 상품이 시장에 도입된다. 이들이 없으면 경제는 활력을 잃고 이내 침체에 빠진다. 그가 당시까지 아무도 보지 못했던 앙트러프러너의 역할을 인지하게 된 것은 그 자신이 알코올증류업과 제분업을 영위한 기업가였다는 사실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 당시만 해도 아담 스미스를 비롯한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대부분 실무 경험이 없는 학자들이었다. 그들은 방관자의 입장에서 생산과 소비 현상을 관찰했고, 이로부터 자신의 이론을 만들었다. 당연히 저 불확실한 세계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체감하기 어려웠다.
![세이가 창설한 세계 최초의 경영대학 ESCP Europe [출처 : 위키미디어]](http://www.techm.kr/data/editor/1602/1981902326_1456213771.56257.png)
(세이가 창설한 세계 최초의 경영대학 ESCP Europe [출처 : 위키미디어]) |
세계 최초로 경영전문대학 설립 세이는 당대의 사업가인 루(Vital Roux, 1766-1846)와 함께 1819년에 세계 최초의 경영대학인 ESCP Europe을 창설했다. 유럽의 대학들은 18세기 중반까지 대개 신학, 철학, 고전, 법률, 자연과학 중심의 교과과정을 유지하다가 18세기 중반 이후에 이르러서야 엔지니어링 교육 대학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그전까지 엔지니어링, 상업, 또는 경영은 동업자들 사이에서나 개발되고 전수되는 지식이었을 뿐, 결코 대학에서 교육할 대상으로 취급되지 않았다. 세이가 최초로 경영전문대학을 설립한 이후 이 모델은 유럽 각지와 미국의 대학으로, 그리고 20세기에는 동아시아 전역의 대학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면서 바야흐로 경영의 시대가 열렸다. 그런 면에서 세이를 현대 경영대학의 발명자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적어도 경제 문제에 관해서는, 한 가지 키워드만 가지고 완전무결한 해법을 제시하는 지식은 없었다. 논쟁의 당사자들은 저마다 자신이 말하는 세계에서는 옳다. 지금도 백가쟁명 식으로 정책 제안이 쏟아져 나오지만, 시대마다 어떤 철학이 정책 담당자의 머릿속을 더 지배하느냐에 따라 현실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주로 소비와 재산의 문제를 가지고 싸워야 하는가, 아니면 생산과 앙트러프러너의 문제를 가지고 고민해야 할 것인가. 세이는 분명히 후자라고 선언했다. 그는 정치경제학자였지만 이미 경영의 중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 점이 그를 그토록 무시했던 케인즈나 마르크스와 분명히 달랐던 점이다.

장-바티스트 세이 장-바티스트 세이(Jean-Baptiste Say, 1767-1832)는 프랑스 리옹에서 출생했다. 정치경제학자, 사업가로서 프랑스의 국가 주도형 통제 경제 시스템을 반대하고 자유무역과 경쟁, 규제 완화를 주장했다. 나폴레옹 정부의 정보 수집 요원으로 영국에 파견되어 당시 발달된 영국 경제 시스템을 견학하고 맬더스, 리카아도 등 당대의 정치경제학자들과 교류했다. 아담 스미스의 사상에서 깊은 감화를 받고 이를 프랑스에 전파하려고 노력했다. 물론 재화의 가치를 주장하는 요인이 노동이 아니라 수요에 있다는 생각은 스미스와는 반대되는 것이었고 당시로서는 혁신적이었다. 대표작으로 ‘정치경제학 논고(Traite d’Economie Politique, 1803 1판~1826년 5판)’가 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35호(2016년3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