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클라우드, 인프라 경쟁은 끝…세부 기술에 주목해야"
2016-03-30도강호 기자
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투자를 보면 미래가 보입니다. 클라우드 분야 투자 중에서 보안에 대한 투자가 가장 많습니다.”
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에서 이한주 스파크랩 대표는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기술로 보안을 꼽았다.
이 날 행사에서 이한주 대표는 "미국 실리콘벨리 유명 투자사인 안드리센 호로위츠의 클라우드 관련 투자 15건 중 5건이 보안기업에 대한 투자이며, 보안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경우 매달 클라우드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투자 계약이 일어난다"며 클라우드 분야에서의 보안 기술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트렌드로 데이터, 데이터의 활용, 아마존과 경쟁 혹은 공존, 중국의 성장을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트렌드로 꼽았다.
이 대표는 “데이터가 돈”라며 아마존, 구글 등이 고객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 공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두고 “돈을 모으고 있다”고 표현했다.
이 대표는 또 "B2B 클라우드 분야가 더 커질 것"이라며 "특히 클라우드 관련 컨설팅, 클라우드 매니지먼트·모니터링·보안 등 부가 서비스가 실제 매출을 올리는 중요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대표는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데이터 분석기술도 투자가 집중되는 분야라고 소개했다.
클라우드 분야는 아마존을 빼놓을 수 없다. 아마존이 보유한 클라우드 인프라가 다른 모든 기업의 인프라를 더한 것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그만큼 ‘아마존 따라가기’와 ‘아마존 대항’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마존 따라가기는 사용자가 아마존을 완전히 떠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아마존의 인프라와 자신들의 인프라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대표는 “구글은 기술력은 아마존과 동등하다”면서도 “구글은 스택드라이버라는 업체를 인수해 구글 클라우드와 아마존 웹 서비스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대표는 아마존에 대항하는 방법으로 ‘컨테이너’ 기술을 소개했다. 컨테이너는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실제 서비스를 작동시키는 일종의 가상화 기술이다. 컨테이너를 이용하면 특정 인프라에 종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서비스를 옮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중국 클라우드 시장의 부상에 주목했다. 중국 정부가 클라우드 분야에 전폭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지난해 12월에 있었던 VM웨어와 수곤의 제휴를 꼽았다. 수곤은 슈퍼컴퓨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이다. 이 대표는 “VM웨어가 수곤에게 소스코드를 넘기고 수곤이 중국 정부가 쓸 클라우드를 만들기로 했다”며 “미국 기업이 소스코드를 넘기면서 중국과 제휴를 할 정도로 중국의 위상이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인프라는 이전만큼 중요하지 않다”며 “한국 기업도 투자 동향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보안 등 특정 분야에 집중한 기술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비욘드 테크] 과학기술에서 성장동력 찾으려면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테크M 4월호]요즘 TV드라마 장영실을 보면서 550여 년 전 우리 선조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지혜와 혜안에 감탄한다. 과학기술로 백성의 삶을 편하게 하려는 세종과 장영실이 당시 지배세력인 사대부들과 마찰을 일으키는 것도 낯설지 않다.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려는 세력과 기득권을 지키려는 세력 간의 갈등은 고금과 동서를 막론하고 존재해 왔다. 과거 경제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한 현 정부의 혁신이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렇다고 지금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선도자(first mo2016-03-30 17:09:18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
"클라우드, 인프라 경쟁은 끝…세부 기술에 주목해야"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투자를 보면 미래가 보입니다. 클라우드 분야 투자 중에서 보안에 대한 투자가 가장 많습니다.” 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에서 이한주 스파크랩 대표는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기술로 보안을 꼽았다. 이 날 행사에서 이한주 대표는 "미국 실리콘벨리 유명 투자사인 안드리센 호로위츠의 클라우드 관련 투자 15건 중 5건이 보안기업에 대한 투자이며, 보안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경우 매달 클라우드2016-03-30 17:08:05도강호 기자
-
4차 혁명 핵심기술 산실 실리콘밸리를 벤치마킹하자트랜지스터 발명과 함께 시작된 실리콘밸리는 명실상부한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혁신의 중심이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과 같은 대기업이 쉴 틈 없이 새로운 소식을 전해주고 수많은 스타트업이 활력을 더한다. 반도체의 핵심소재인 실리콘에서 따온 실리콘밸리는 반도체 기업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되기 시작했고 컴퓨터를 거쳐 최근에는 소프트웨어(SW) 메카로 발전을 거듭해왔다. 현재 실리콘밸리에는 150개의 세계적 기업과 6000개 이상의 벤처기업이 자리잡고 있다. ICT 기업뿐 아니라 맥도날드, 폭스바겐, 아멕스 등 비 ICT 기2016-03-30 09:34:52심상엽·추창연 산호세대 교수, 신혜원 쿠란넷트웍스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