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MIT리뷰] ④스노든 사건 그 후 : 암호화를 위한 절반의 노력
2016-03-25MIT테크놀로지리뷰

(전 CIA요원 에드워드 스노든) |
-
[비욘드 테크] 과학기술에서 성장동력 찾으려면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테크M 4월호]요즘 TV드라마 장영실을 보면서 550여 년 전 우리 선조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지혜와 혜안에 감탄한다. 과학기술로 백성의 삶을 편하게 하려는 세종과 장영실이 당시 지배세력인 사대부들과 마찰을 일으키는 것도 낯설지 않다.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려는 세력과 기득권을 지키려는 세력 간의 갈등은 고금과 동서를 막론하고 존재해 왔다. 과거 경제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한 현 정부의 혁신이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렇다고 지금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선도자(first mo2016-03-30 17:09:18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
"클라우드, 인프라 경쟁은 끝…세부 기술에 주목해야"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투자를 보면 미래가 보입니다. 클라우드 분야 투자 중에서 보안에 대한 투자가 가장 많습니다.” 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에서 이한주 스파크랩 대표는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기술로 보안을 꼽았다. 이 날 행사에서 이한주 대표는 "미국 실리콘벨리 유명 투자사인 안드리센 호로위츠의 클라우드 관련 투자 15건 중 5건이 보안기업에 대한 투자이며, 보안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경우 매달 클라우드2016-03-30 17:08:05도강호 기자
-
4차 혁명 핵심기술 산실 실리콘밸리를 벤치마킹하자트랜지스터 발명과 함께 시작된 실리콘밸리는 명실상부한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혁신의 중심이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과 같은 대기업이 쉴 틈 없이 새로운 소식을 전해주고 수많은 스타트업이 활력을 더한다. 반도체의 핵심소재인 실리콘에서 따온 실리콘밸리는 반도체 기업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되기 시작했고 컴퓨터를 거쳐 최근에는 소프트웨어(SW) 메카로 발전을 거듭해왔다. 현재 실리콘밸리에는 150개의 세계적 기업과 6000개 이상의 벤처기업이 자리잡고 있다. ICT 기업뿐 아니라 맥도날드, 폭스바겐, 아멕스 등 비 ICT 기2016-03-30 09:34:52심상엽·추창연 산호세대 교수, 신혜원 쿠란넷트웍스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