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이슈 돋보기] "2025년 30페타플롭급 개발"…국산 슈퍼컴 개발계획 적절성 논란
2016-04-11테크M 취재팀
정부가 지난주 발표한 슈퍼컴퓨터 개발 계획에 대해 적절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뒤늦게나마 슈퍼컴퓨터 개발에 힘을 싣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제시된 목표성능이 적절한가 등을 놓고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슈퍼컴퓨터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슈퍼컴퓨터 개발 계획의 적절성을 놓고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미래부는 지난 4일 일원화된 개발조직인 ‘초고성능컴퓨팅(HPC)사업단’을 설립하고 단계적으로 슈퍼컴퓨터를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슈퍼컴퓨터 개발을 위해 2026년까지 매년 100억 원 안팎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할 예정이며, 2020년까지 1페타플롭(PF) 이상, 2025년까지 30PF 이상의 슈퍼컴퓨터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수립했다. PF은 1초당 1000조회 연산하는 속도다.
이번 계획은 목표 성능, 필요성 등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매년 두 차례 발표되는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를 보면, 중국 광저우 국립슈퍼컴퓨터센터의 ‘톈허2’가 현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3년부터 1위를 유지하고 있는 톈허2의 속도는 34PF이다. 미래부가 2025년 개발 목표로 하는 성능을 이미 몇 년 전에 넘어선 것이다. 이에 따라 국산 슈퍼컴퓨터 목표 성능이 너무 낮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알파고에 대한 관심에 편승해 슈퍼컴퓨터 개발 계획이 충분한 타당성 검토 없이 추진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해 1000억 원으로 책정했던 슈퍼컴퓨터 자체 개발 사업 예산을 82억 원으로 삭감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1년도 되지 않아 슈퍼컴퓨터 자체 개발 사업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크게 달라진 셈이다.
전문가들은 또 슈퍼컴퓨터 개발이 원천기술 확보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슈퍼컴퓨터 개발의 핵심은 분산 병렬 처리다. 한 컴퓨터가 매우 빠른 속도로 연산하는 것이 아니라 PC보다 몇 배 빠른 컴퓨터를 연결해 초고속으로 연산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알파고가 실행되는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도 이런 분산 병렬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제공된다.
이 때 수많은 컴퓨터와 그 안에 들어있는 CPU와 GPU가 하나의 컴퓨터처럼 작동해야 하는 만큼 높은 소프트웨어(SW) 기술이 필요하다. SW 기술이 떨어지는 톈허2의 경우 312만 개의 코어를 사용해 약 34PF의 속도를 내지만 2위인 미국 오크리즈국립연구소의 타이탄은 약 56만 개의 코어로 약 18PF의 속도를 낸다. 타이탄의 효율이 3배가량 높은 것이다.
특히 SW 기술과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에서 슈퍼컴퓨터 개발은 단순히 물리적 컴퓨터의 확보가 아니라 기반 SW 기술과 인력의 양성과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4년째 전 세계 슈퍼컴퓨터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의) |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슈퍼컴퓨터 개발 계획의 적절성을 놓고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미래부는 지난 4일 일원화된 개발조직인 ‘초고성능컴퓨팅(HPC)사업단’을 설립하고 단계적으로 슈퍼컴퓨터를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슈퍼컴퓨터 개발을 위해 2026년까지 매년 100억 원 안팎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할 예정이며, 2020년까지 1페타플롭(PF) 이상, 2025년까지 30PF 이상의 슈퍼컴퓨터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수립했다. PF은 1초당 1000조회 연산하는 속도다.
이번 계획은 목표 성능, 필요성 등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매년 두 차례 발표되는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를 보면, 중국 광저우 국립슈퍼컴퓨터센터의 ‘톈허2’가 현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3년부터 1위를 유지하고 있는 톈허2의 속도는 34PF이다. 미래부가 2025년 개발 목표로 하는 성능을 이미 몇 년 전에 넘어선 것이다. 이에 따라 국산 슈퍼컴퓨터 목표 성능이 너무 낮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알파고에 대한 관심에 편승해 슈퍼컴퓨터 개발 계획이 충분한 타당성 검토 없이 추진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해 1000억 원으로 책정했던 슈퍼컴퓨터 자체 개발 사업 예산을 82억 원으로 삭감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1년도 되지 않아 슈퍼컴퓨터 자체 개발 사업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크게 달라진 셈이다.
전문가들은 또 슈퍼컴퓨터 개발이 원천기술 확보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슈퍼컴퓨터 개발의 핵심은 분산 병렬 처리다. 한 컴퓨터가 매우 빠른 속도로 연산하는 것이 아니라 PC보다 몇 배 빠른 컴퓨터를 연결해 초고속으로 연산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알파고가 실행되는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도 이런 분산 병렬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제공된다.
이 때 수많은 컴퓨터와 그 안에 들어있는 CPU와 GPU가 하나의 컴퓨터처럼 작동해야 하는 만큼 높은 소프트웨어(SW) 기술이 필요하다. SW 기술이 떨어지는 톈허2의 경우 312만 개의 코어를 사용해 약 34PF의 속도를 내지만 2위인 미국 오크리즈국립연구소의 타이탄은 약 56만 개의 코어로 약 18PF의 속도를 낸다. 타이탄의 효율이 3배가량 높은 것이다.
특히 SW 기술과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에서 슈퍼컴퓨터 개발은 단순히 물리적 컴퓨터의 확보가 아니라 기반 SW 기술과 인력의 양성과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VR 제작 지원 어디에서 지원받을 수 있나가상현실(VR) 기기가 상용화되고 VR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도 산업 육성에 팔을 걷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8년까지 5개 과제에 예산 1800억원을 투입한다. 문화콘텐츠와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세계에서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게임 등 VR, 오감·인터랙션(상호동작) 콘텐츠가 대상이다. VR 게임, VR유통 플랫폼, 다면영상시스템, 실시간 VR 영상 구현 등 VR 기술이 직간접적으로 사용되는 과제로 구성된다. 기존 개별기업 단위로 지원하는 소형과제에서 벗어나 SW와 콘텐츠(창작, 스토2016-04-12 09:10:17최현숙 기자
-
풍부한 경험으로 유튜브 조회수 톱3 등극“VR의 핵심은 결국 콘텐츠입니다. 첨단 기술로 만들어도 사람들은 재미없으면 안봅니다. 하지만 정말 재미있는 내용이라면 멀미약을 먹어서라도 보겠죠.” VR 영상 제작업체 베레스트의 최우선 가치는 ‘재미’다. 제작자 스스로 즐겁지 않는 콘텐츠는 무의미하다고 여긴다. 이들이 제작한 ‘밤비노’ 영상은 유튜브 조회 수 약 820만(3월 14일 기준) 에 달한다. 전 세계 VR 영상 중 톱3에 드는 수치다. 이 영상은 걸그룹 밤비노의 춤과 노래를 VR 기술로 구현한 것으로 실감나는 영상을 보여줘 화제가 됐다. 베레스트는 네이버TV캐스트를2016-04-12 07:10:25조은아 기자
-
토박이vs.컴퓨터, 길 찾기 대결 승자는?지도 앱은 사람들의 일상에 시나브로 파고들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지도 앱이 동네 토박이만큼 정확한 길을 안내하기 시작하면서 자리 잡은 현상이다. 실시간 교통 정보까지 반영되면서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는 지도 앱의 원리는 최근 화제가 된 알파고의 바둑 알고리즘과 닮았다. 수많은 바둑 기보를 참고해 승률이 높은 최적의 수를 찾는 알파고처럼 주어진 가중치 그래프에서 최적화된 길을 찾는다.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수많은 지점들을 연결한 선(도로)을 바탕으로 거리, 시간, 길의 상태 등을 수치화한 값에 가중치를 주는 것. 최단거리를2016-04-12 07:10:02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