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토박이vs.컴퓨터, 길 찾기 대결 승자는?
길 탐색 최적화 알고리즘
2016-04-12조은아 기자
지도 앱은 사람들의 일상에 시나브로 파고들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지도 앱이 동네 토박이만큼 정확한 길을 안내하기 시작하면서 자리 잡은 현상이다.
실시간 교통 정보까지 반영되면서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는 지도 앱의 원리는 최근 화제가 된 알파고의 바둑 알고리즘과 닮았다. 수많은 바둑 기보를 참고해 승률이 높은 최적의 수를 찾는 알파고처럼 주어진 가중치 그래프에서 최적화된 길을 찾는다.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수많은 지점들을 연결한 선(도로)을 바탕으로 거리, 시간, 길의 상태 등을 수치화한 값에 가중치를 주는 것.
최단거리를 찾고자 한다면, 그래프의 가중치를 ‘거리’로 해야 할 것이다. 가장 먼저 꺾어지는 길을 택하거나 가장 꺾어지는 횟수가 적은 길을 보여주는 식이다. 여기에 실시간 교통정보, 고속도로 우선 등의 옵션을 추가해 교정된 소요시간을 따져 최단거리 경로를 산출하게 된다.
그렇다면 샛길까지 빠삭한 동네 토박이와 컴퓨터 기반 지도 앱 중 누가 더 정확하고 빠른 답을 내놓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컴퓨터다.
나현숙 숭실대 컴퓨터학부 교수는 “길 찾기 문제는 바둑 대국보다 더 쉬운 문제”라며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가중치의 합이 최소가 되는 알고리즘은 매우 많이, 잘 개발된 상태로 두 번째 짧은 길, K번째 짧은 길 모두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도 앱이 사람을 100% 만족시키는 결과를 내놓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시간별로 상황이 바뀌기 때문이다. 교통에는 돌발 변수가 많아 최적화된 길을 출력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게다가 사람마다 선호하는 길이 다른데, 내비게이션 알고리즘은 개인별 선호도를 모두 반영하기는 어렵다. 사람들은 최단 거리, 고속도로 우선, 무료 도로 등의 요소에 대해 항상 우선시하는 것이 아니라 때에 따라 요소들의 적당한 조합을 찾기 때문. 이용자는 거리와 시간은 최적 값의 1.2배 정도 수용할 수 있고, 요금은 4000원까지 더 낼 수 있는 등 선호하는 길이 있지만 현재 내비게이션은 일반적인 기호를 감안한 결과를 보여준다.
나 교수는 “사람마다 다른 선호도를 반영한 ‘가중치’의 그래프(도로지도)를 개발하고 제공하느냐는 고려할 요소가 많은 문제”라며 “최근 ‘추천경로’ 옵션이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는 시도를 한 알고리즘”이라고 설명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36호(2016년4월) 기사입니다>
-
VR 제작 지원 어디에서 지원받을 수 있나가상현실(VR) 기기가 상용화되고 VR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도 산업 육성에 팔을 걷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8년까지 5개 과제에 예산 1800억원을 투입한다. 문화콘텐츠와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세계에서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게임 등 VR, 오감·인터랙션(상호동작) 콘텐츠가 대상이다. VR 게임, VR유통 플랫폼, 다면영상시스템, 실시간 VR 영상 구현 등 VR 기술이 직간접적으로 사용되는 과제로 구성된다. 기존 개별기업 단위로 지원하는 소형과제에서 벗어나 SW와 콘텐츠(창작, 스토2016-04-12 09:10:17최현숙 기자
-
풍부한 경험으로 유튜브 조회수 톱3 등극“VR의 핵심은 결국 콘텐츠입니다. 첨단 기술로 만들어도 사람들은 재미없으면 안봅니다. 하지만 정말 재미있는 내용이라면 멀미약을 먹어서라도 보겠죠.” VR 영상 제작업체 베레스트의 최우선 가치는 ‘재미’다. 제작자 스스로 즐겁지 않는 콘텐츠는 무의미하다고 여긴다. 이들이 제작한 ‘밤비노’ 영상은 유튜브 조회 수 약 820만(3월 14일 기준) 에 달한다. 전 세계 VR 영상 중 톱3에 드는 수치다. 이 영상은 걸그룹 밤비노의 춤과 노래를 VR 기술로 구현한 것으로 실감나는 영상을 보여줘 화제가 됐다. 베레스트는 네이버TV캐스트를2016-04-12 07:10:25조은아 기자
-
토박이vs.컴퓨터, 길 찾기 대결 승자는?지도 앱은 사람들의 일상에 시나브로 파고들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지도 앱이 동네 토박이만큼 정확한 길을 안내하기 시작하면서 자리 잡은 현상이다. 실시간 교통 정보까지 반영되면서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는 지도 앱의 원리는 최근 화제가 된 알파고의 바둑 알고리즘과 닮았다. 수많은 바둑 기보를 참고해 승률이 높은 최적의 수를 찾는 알파고처럼 주어진 가중치 그래프에서 최적화된 길을 찾는다.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의 수많은 지점들을 연결한 선(도로)을 바탕으로 거리, 시간, 길의 상태 등을 수치화한 값에 가중치를 주는 것. 최단거리를2016-04-12 07:10:02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