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자몽, "VR 콘텐츠의 허브 꿈꾼다"
[VR 전문 기업들이 뛴다 ③자몽
2016-04-12도강호 기자
![]() |
자몽의 안드로이드 앱 화면 |
자몽은 상업적 VR 콘텐츠 스토어를 서비스하는 스타트업이다. 기본 기능은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와 비슷하다.
동영상 제작자가 채널을 개설하고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사용자가 앱을 통해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자몽 안드로이드앱을 통해 11개 채널에서 120여 편의 유·무료 콘텐츠가 제공된다.
국내 최초로 성인용 VR 콘텐츠도 판매하고 있다.
자몽은 단순히 영상 스트리밍만을 제공하는 유튜브와는 다르다.
자몽은 VR 영상을 반응형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바라봐야만 영상이 계속 재생되거나 특정 시점에서 분기점을 만들어 다른 내용의 영상을 즐기고, 응시하는 곳을 설명하는 팝업을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이승훈 자몽 대표는 “교육용 VR 콘텐츠의 경우 학생이 잘 모르는 부분을 바라볼 때 설명이 나오게 만들어야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반응형 기술을 통해 콘텐츠의 상업적 가치를 높이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자몽은 또 VR 콘텐츠 사업을 원하는 기업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직접 VR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기업에 VR 콘텐츠 플레이어 앱과 서버 인프라 등을 제공하는 식이다. VR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자몽은 VR 콘텐츠 산업의 허브로서 VR 산업 생태계 중심에 서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VR 플레이어와 서버 인프라 등의 VR 솔루션을 개발하고 우수한 독점 콘텐츠를 확보하면서 다양한 VR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다.
현재는 안드로이드 앱 자몽이 출시돼 있고, 4월 ‘아이폰’과 ‘기어VR’를 시작으로 올해 안에 ‘플레이스테이션VR’, HTC ‘바이브(VIVE)’용 앱을 출시할 계획이다.
<본 기사는 테크M 제36호(2016년4월) 기사입니다>
-
[MIT 10대혁신기술②] 작물수확을 늘리는 유전자 편집기술작물을 위한 정밀한 유전자편집 기술 질병과 가뭄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기 위해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쉽고 정밀하게 변형할 수 있다. ● 무엇이 혁신인가 외래 DNA를 남기지 않고 작물의 유전자를 정밀하게 편집하는 저비용 기술 ● 왜 혁신인가 2050년 100억 명으로 늘어날 세계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농업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 ● 누가 주도하나 영국 노리치의 존인스센터와 세인스베리연구소, 서울대, 미네소타대, 베이징유전발달생물학연구소 새로운 유전자편집 기술이 농작물의 수확량을 늘리고 가뭄과 질병에 더 효과2016-04-17 00:40:14MIT테크놀로지리뷰
-
[MIT 10대혁신기술③]딥러닝 적용한 중국 바이두의 음성인식중국 대표 인터넷 기업의 막강한 음성기술 덕분에 스마트폰 사용이 더 쉬워졌다. ● 무엇이 혁신인가 음성인식 기술과 자연어 이해 기술을 접목, 세계 최대 인터넷 시장을 겨냥한 효과적인 음성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 왜 혁신인가 컴퓨터와 상호작용할 때 자판으로 입력하면 시간이 걸리고 짜증도 날 수 있다. ● 누가 주도하나 바이두, 구글, 애플, 뉘앙스, 페이스북 관광객, 노래방, 명품 매장으로 가득한 베이징 산리툰의 북적거리는 거리를 거닐다 보면 애플, 삼성, 샤오미의 최신 스마트폰 사용자를 많이 볼 수 있다.2016-04-17 00:40:06MIT테크놀로지리뷰
-
가상현실에서 느낀 성적 모욕감 처벌할 수 있을까?변호사인 필자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 참여하게 될 줄은 상상하지 못했다. 2014년 말 우리나라에도 핀테크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핀테크 열풍에 힘입어 2015년 4월 출범한 한국핀테크포럼의 이사를 맡게 되고, 많은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을 도와 무료 자문을 하다 보니 어느덧 유력한 핀테크 기업들의 지근거리에서 다양한 법률자문을 하게 됐다. 지난해 말에는 내가 자문하던 회사 세 곳(KTB솔루션, 포켓모바일, 한국NFC)이 자신들의 솔루션을 제휴해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내기 시작하더니, 함께 MWC에 진출한다는 것2016-04-16 08:10:11구태언 테크앤로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