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VR 드라마에 항공촬영까지…앞선 노하우
VR 전문 기업들이 뛴다 ⑧서커스컴퍼니
2016-04-20박상은 테크엠 기자
![]() |
와이드비주얼의 평창 VR 영상 |
광고·뮤직비디오 연출 감독인 임재경 와이드비주얼 대표는 2014년 11월부터 증강현실(VR) 영상을 제작해왔다.
광고에서 VR의 가능성을 본 것이 계기였다.
VR 광고에선 제품의 측면·후면까지도 볼 수 있다.
또 VR 기기로 볼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지해 제품을 3초 이상 응시하면 구매 정보를 띄워주는 등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와이드비주얼은 가수 남영주, 앤씨아의 VR 뮤직비디오, 국내 최초 VR 드라마 ‘쓰리바이쓰리’, 평창동계올림픽 VR 영상 등을 제작했다.
드론에 카메라를 달아 촬영한 평창올림픽 VR 영상은 촬영에만 두 달이 걸렸다.
바람, 드론 프로펠러의 진동과 같이 일반 영상에선 문제없던 것들이 난관이었다. 촬영 카메라 7대를 앞뒤로 붙여 360도 영상을 만들기 때문에 카메라가 흔들리면 스티칭 작업에 치명적이다.
결국 진동에도 흔들리지 않는 안정 장치를 제작, 문제를 해결했다. VR 도입 초기, 문제에 부딪쳐가며 노하우를 습득한다는 것이 임 대표의 설명이다.
VR 드라마, 뮤직비디오 같은 세트 촬영에서도 문제는 있다. 스태프나 조명이 카메라 뒤쪽에도 있을 수 없는 것.
스태프는 전부 옆방에서 지켜보고, 조명은 소품 사이에 숨겼다. 촬영 전 조명의 위치를 치밀하게 계산하는데, 오랜 연출 경험이 빛을 발했다.
와이드비주얼의 목표는 플랫폼 업체로 도약하는 것이다.
임 대표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VR 콘텐츠 제작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36호(2016년4월) 기사입니다>
-
미래를 좌우할 파괴적 혁신에 동참하라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클라우스 슈밥 지음 | 송경진 옮김 | 새로운현재 펴냄 | 1만5000원 지난해 말, 다보스포럼이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세계경제포럼의 창립자 클라우스 슈밥이 한국을 방문했다.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당시 카이스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의 주제로 ‘파괴적 혁신이 인류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택했다. 이후에도 같은 고민을 이어가던 그는 올해 다보스포럼의 주제로 ‘제4차 산업혁명’을 채택하기에 이른다. 세계경제포럼의 46년 역사 속에서 단 한 차례도 없었던 과학기술분야 의제를 선정한 것2016-04-22 16:10:26최수지 인턴기자
-
생태계 만들기 경쟁…하드코어 게임에 주목(삼성 갤럭시 언팩 2016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기어VR를 착용하고 가상 현실을 통해 제품 소개를 즐기는 모습) 세계가전전시회(CES) 2016은 콘텐츠·미디어 플랫폼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중에서도 주목받는 플랫폼이 VR와 AR이다. AR 기반 스마트 글래스 구글글래스가 원형으로 스마트폰 네트워크와 컴퓨팅 파워의 도움을 받는다. 배터리를 기반으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됐다. 따라서 움직이며 이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생태2016-04-22 15:40:12황병선 빅뱅엔젤스 대표
-
[MIT 10대혁신기술⑦] 테슬라 무료충전 비결, 솔라시티 태양광 패널(10만 9000㎡에 달하는 기가팩토리는 북미 최대의 태양광 패널 제조 공장이다.) 솔라시티의 기가팩토리 버팔로에 위치한 7억5000만 달러의 태양열 공장이 연간 기가와트 규모의 고효율 태양광 패널을 생산, 가정용 패널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다. ● 무엇이 혁신인가 단순화된 저비용 제조공정으로 생산된 고효율 태양광 패널 ● 왜 혁신인가 태양열 산업이 화석연료와 경쟁하려면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 누가 주2016-04-22 10:40:01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