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과학에 대한 열정과 수학적 재능이 립모션 혁신 발판
2016-04-19장길수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홀츠 립모션 CTO(왼쪽)와 마이클 버크월드 립모션 CEO) |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장길수 칼럼니스트]
립모션은 2010년 마이클 버크월드와 데이비드 홀츠가 함께 설립했다. 둘은 초등학교 때부터 친구 사이로 21세라는 어린 나이에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기업을 설립해본 경험이 있는 버크월드가 CEO를, 수학 박사과정 출신인 홀츠가 3D 동작인식 컨트롤러 개발을 주도하면서 CTO를 맡고 있다.
버크월드는 조지워싱턴대학에서 정치학과 철학을 전공한 인물로 자주바(Zazuba)라는 온라인 리스팅 기업을 창업했으며 나중에 전화번호부 업체에 매각한 경험을 갖고 있다. 그는 한때 아프리카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컴퓨터 보급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1년간 살면서 개발도상국 어린이들에게 오픈소스 컴퓨터를 공급하는 비영리재단인 OLPC(One Laptop per Child)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립모션의 3D 동작인식 기술을 개발한 데이비드 홀츠는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수학 박사과정 출신이다. 학업을 마치지 못한 채 창업의 길로 들어섰다.
데이빌드 홀츠는 매우 흥미로운 인물이다. 스티브 잡스를 가까이에서 지켜본 애플 출신의 앤디 밀러 사장은 홀츠를 스티브 잡스와 같은 종류의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테크엠 뉴스레터 신청하기(http://techm.kr/bbs/register.php)
홀츠는 어릴 때부터 만들기를 좋아하던 인물이었다. 집 차고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을 해체 또는 조립하고 컴퓨터를 만지작거리는 것을 좋아했다. 한 때 종이비행기 접기에 빠졌는데 종이비행기 작동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풍동(wind tunnel)을 만들어 직접 테스트해볼 정도였다.
또 한 가지에 빠지면 끝장을 보는 스타일이다. 그의 ‘해커 정신’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았다. 어머니는 직접 로켓을 만들어 집 근처에서 시험을 해볼 정도로 테크놀로지에 관심이 많았고, 아버지는 집안에 화학 실험실을 만들어놓았을 정도라고 한다.
홀츠의 괴짜 기질은 이런 집안 분위기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홀츠는 학창시절 수학에 재능을 보였는데 그가 박사과정을 밟은 노스캐롤라이나대학은 수학 분야에서 최고의 인재들이 몰려들었으며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서설을 갖추고 있었다. 그의 수학적인 재능은 립모션의 3D 동작인식 기술 개발에 큰 역할을 했다.
그는 대학원 시절 수학에 심취해 있으면서도 NASA 랭글리 리서치센터의 레이저 레이더와 화성의 메탄에 관한 연구에 참여했으며 막스플랑크 플로리다 연구소와 같이 신경과학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다양한 지적 편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컴퓨터와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동작 기반 센싱 기술에 관심을 가져 대학원 시절 3D 동작인식 기술의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립모션 혁신의 중심에는 홀츠의 수학적인 재능과 과학에 대한 열정이 숨어 있는 것이다.
립모션 주요 연혁
2008년 데이비드 홀츠 공동 창업자, 3D 동작인식 기술 최초 개발
2010년 마이클 버크월드와 데이비드 홀츠, 립모션 공동 창업
2011년 시리즈A 펀딩 통해 1275만 달러 투자 유치
2012년 립모션 3D 동작인식 컨트롤러 공개
2013년 시리즈B 펀딩 통해 3000만 달러 투자 유치
에이수스·HP에 립모션 컨트롤러 공급
2014년 오큘리스 리프트용 동작인식 솔루션 런칭
2015년 ‘CES 2015’에 드래곤플라이 모듈 시제품 출품
SK텔레콤과 5G서비스 개발 협약 체결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장길수 칼럼니스트]
<본 기사는 테크M 제36호(2016년4월) 기사입니다>
-
미래를 좌우할 파괴적 혁신에 동참하라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클라우스 슈밥 지음 | 송경진 옮김 | 새로운현재 펴냄 | 1만5000원 지난해 말, 다보스포럼이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세계경제포럼의 창립자 클라우스 슈밥이 한국을 방문했다.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당시 카이스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의 주제로 ‘파괴적 혁신이 인류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택했다. 이후에도 같은 고민을 이어가던 그는 올해 다보스포럼의 주제로 ‘제4차 산업혁명’을 채택하기에 이른다. 세계경제포럼의 46년 역사 속에서 단 한 차례도 없었던 과학기술분야 의제를 선정한 것2016-04-22 16:10:26최수지 인턴기자
-
생태계 만들기 경쟁…하드코어 게임에 주목(삼성 갤럭시 언팩 2016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기어VR를 착용하고 가상 현실을 통해 제품 소개를 즐기는 모습) 세계가전전시회(CES) 2016은 콘텐츠·미디어 플랫폼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중에서도 주목받는 플랫폼이 VR와 AR이다. AR 기반 스마트 글래스 구글글래스가 원형으로 스마트폰 네트워크와 컴퓨팅 파워의 도움을 받는다. 배터리를 기반으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됐다. 따라서 움직이며 이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생태2016-04-22 15:40:12황병선 빅뱅엔젤스 대표
-
[MIT 10대혁신기술⑦] 테슬라 무료충전 비결, 솔라시티 태양광 패널(10만 9000㎡에 달하는 기가팩토리는 북미 최대의 태양광 패널 제조 공장이다.) 솔라시티의 기가팩토리 버팔로에 위치한 7억5000만 달러의 태양열 공장이 연간 기가와트 규모의 고효율 태양광 패널을 생산, 가정용 패널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다. ● 무엇이 혁신인가 단순화된 저비용 제조공정으로 생산된 고효율 태양광 패널 ● 왜 혁신인가 태양열 산업이 화석연료와 경쟁하려면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 누가 주2016-04-22 10:40:01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