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수퍼트리, 3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유치...블록체인 게임 개발력 입증받아
SBI인베스트먼트-한국투자파트너스, 수퍼트리에 투자 단행
블록체인 게임 개발 선두주자 수퍼트리가 총 3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수퍼트리는 NHN, 넷마블, 엔씨소프트, 아이템베이 등 게임업계에서 활약해온 인사들로 구성된 블록체인 게임 개발 전문 스타트업이다.
이번 투자에는 국내 최대 벤처캐피탈 SBI인베스트먼트와 한국투자파트너스 2곳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유명 게임 IP(지식재산권) 확보와 블록체인 게임화를 위한 기술 개발에 사용하고, 나아가 블록체인 게임 서비스 플랫폼 ‘플레이댑(PlayDapp)’ 개발 고도화에 집중 활용될 계획이다.
수퍼트리는 글로벌 인기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게임 ‘크립토도저’(CryptoDozer)와 ‘도저버드’(DozerBird)를 개발 및 성공시킨 주역으로, 두 게임은 지난해 ‘삼성 블록체인 월렛’에 탑재되고 미국 SDC19(삼성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소개되어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현재 이 회사는 블록체인 디앱 게임 개발을 넘어 블록체인 상에서 유저간 아이템을 직접 거래할 수 있는 C2C 마켓 플레이스와 실시간 경쟁이 가능한 게임 토너먼트 플랫폼 ‘플레이댑’을 개발중이다.
SBI인베스트먼트 이주혁 팀장은 “전 세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게임 산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지난해 3월 암호화폐 시가총액 3위 리플(Ripple)은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포르테(Forte, CEO 케빈추)와 게임 산업내 블록체인 도입 가속화를 위한 1억 달러(한화 약 1,160억원)의 자금을 조성하고 투자를 지속하는 등 관심이 상당히 높은 상황”이라며, “향후 수퍼트리가 개발중인 디앱게임과 블록체인 게임 서비스 플랫폼 ‘플레이댑’에 대한 가치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수퍼트리 최성원 대표이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개발중인 C2C 마켓 플레이스, 토너먼트등의 개발 완성도를 높이고 국내외 검증을 거쳐 빠른 시일내 상용화 단계에 이르게 할 계획”이라며, “지난 20여년간 쌓아온 게임 업계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게임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과 남다른 실행력으로 산업을 리드하는 글로벌 NO.1 개발사로 성장하겠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편, 이번 투자를 결정한 SBI인베스트먼트와 한국투자파트너스는 각각 1986년, 2003년에 설립된 국내 최대 벤처 캐피탈로, 헬스케어, IT, 모바일, B2C, 콘텐츠, 블록체인 등의 분야에서 성공적인 투자를 진행해 오고 있다.
-
"리니지2M 쇼크 극복"…게임사들 신작 경쟁 '춘추전국시대'[앵커멘트]'리니지2M'과의 격돌을 회피하며 신작 출시를 미루던 게임사들이 새해들어 잇달아 신작을 쏟아내 시장 경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지난해 늦가을부터 게임업계 관심사는 '리니지2M' 출시 시점과 파급효과에 온통 쏠렸습니다. '리니지' 브랜드 파워와 맞서 이길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고 몸을 사렸기 때문입니다.넷마블도 지난해 연말 출시 예정이던 'A3 스틸 얼라이브'의 사전예약을 22일이 되어서야 시작했습니다. 코웨이2020-01-23 21:04:05머니투데이방송 서정근 기자
-
고객 빼가기' 현실로?…LG헬로비전, LGU+ 망 알뜰폰 대거 출시LG유플러스로 인수된 LG헬로비전(구 CJ헬로)이 기존보다 헤택 좋은 알뜰폰 상품을 대거 출시, 인수 과정부터 경쟁사들이 우려했던 '알뜰폰 가입자 빼가기'가 현실화될지 관심이 모인다.LG헬로비전 헬로모바일이 LG유플러스 망 알뜰폰 서비스를 첫 출시, 오프라인 매장과 다이렉트몰을 통해 상품 판매에 돌입했다고 22일 밝혔다.새로 나온 LG유플러스 망 요금제는 무려 49종. ▲데이터 걱정 없는 LTE형(대용량∙속도제어) 8종 ▲스테디셀러형(The착한 데이터∙CU) 15종 ▲LTE 중저가형(슬림∙보편) 20종 등과2020-01-23 16:36:24머니투데이방송 황이화 기자
-
[뉴스후] "디즈니플러스를 잡아라"…SKT-KT, OTT 패권 다툼 치열[앵커멘트]유튜브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청이 늘어나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지고 있습니다. 각 OTT 서비스 업체들의 점유율 다툼도 치열한 상황인데요. SK텔레콤의 '웨이브', KT '시즌'이 덩치를 키우고 있는 가운데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콘텐츠 확보를 위한 동맹 맺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기사내용]앵커 1) 올해 OTT 서비스 경쟁이 가속화되는 모양새입니다. OTT 출범부터 가입자 늘리기, 동맹군 결성 등 진행상황에 대해2020-01-22 14:51:09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