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지난해 정보통신기술 수출 207조원, 수입 127조원
올해는 성장 전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1769억달러(약 207조원), 수입이 1084억달러(약 127조원)으로 685억달러(약 80조원) 흑자로 잠정 집계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출은 주력 품목 시장 정체와 중국 등 글로벌 전반의 경기 둔화, 기저효과 등으로 19.7% 감소했다. 수출액은 역대 3위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951.6억달러, △25.7%), 디스플레이(218.4억달러, △21.3%), 휴대폰(120.0억달러, △17.8%)등 3대 주력 품목을 중심으로 부진했다. 반면 2차 전지(74.2억달러, 2.7%↑), TV(30.6억달러, 85.8%↑, 부분품 포함), 컴퓨터(19.8억달러, 28.9%↑, 주변기기 제외) 등 일부 품목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ICT 최대 수출국인 중국(홍콩포함, 867.8억달러, △27.3%), 베트남(271.6억달러, △2.6%), 미국(183.8억달러, △10.5%) 등 주요 국가에서 수출이 감소했다.
2020년 올해 ICT 수출은 글로벌 ICT 성장세, 기술 우위 품목(메모리, OLED 패널 등) 중심의 성장과 지난해 기저효과 등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가트너도 올해 3%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기저 효과, 수요(데이터 센터, 스마트폰 등)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이 예상되며, 또 파운드리 같은 시스템 반도체 강화 지속으로 2020년 ICT 수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mtn.co.kr
-
"리니지2M 쇼크 극복"…게임사들 신작 경쟁 '춘추전국시대'[앵커멘트]'리니지2M'과의 격돌을 회피하며 신작 출시를 미루던 게임사들이 새해들어 잇달아 신작을 쏟아내 시장 경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지난해 늦가을부터 게임업계 관심사는 '리니지2M' 출시 시점과 파급효과에 온통 쏠렸습니다. '리니지' 브랜드 파워와 맞서 이길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고 몸을 사렸기 때문입니다.넷마블도 지난해 연말 출시 예정이던 'A3 스틸 얼라이브'의 사전예약을 22일이 되어서야 시작했습니다. 코웨이2020-01-23 21:04:05머니투데이방송 서정근 기자
-
고객 빼가기' 현실로?…LG헬로비전, LGU+ 망 알뜰폰 대거 출시LG유플러스로 인수된 LG헬로비전(구 CJ헬로)이 기존보다 헤택 좋은 알뜰폰 상품을 대거 출시, 인수 과정부터 경쟁사들이 우려했던 '알뜰폰 가입자 빼가기'가 현실화될지 관심이 모인다.LG헬로비전 헬로모바일이 LG유플러스 망 알뜰폰 서비스를 첫 출시, 오프라인 매장과 다이렉트몰을 통해 상품 판매에 돌입했다고 22일 밝혔다.새로 나온 LG유플러스 망 요금제는 무려 49종. ▲데이터 걱정 없는 LTE형(대용량∙속도제어) 8종 ▲스테디셀러형(The착한 데이터∙CU) 15종 ▲LTE 중저가형(슬림∙보편) 20종 등과2020-01-23 16:36:24머니투데이방송 황이화 기자
-
[뉴스후] "디즈니플러스를 잡아라"…SKT-KT, OTT 패권 다툼 치열[앵커멘트]유튜브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청이 늘어나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지고 있습니다. 각 OTT 서비스 업체들의 점유율 다툼도 치열한 상황인데요. SK텔레콤의 '웨이브', KT '시즌'이 덩치를 키우고 있는 가운데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콘텐츠 확보를 위한 동맹 맺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기사내용]앵커 1) 올해 OTT 서비스 경쟁이 가속화되는 모양새입니다. OTT 출범부터 가입자 늘리기, 동맹군 결성 등 진행상황에 대해2020-01-22 14:51:09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