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AI교육 시범학교 150곳 운영…전문강사 인력 1000명 양성한다
인공지능·데이터 특화교육 실시... 관련 교과서 개발 및 핵심교원 양성 주력
정부가 인공지능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AI교육 시범학교를 본격 운영하고 청년, 퇴직자 등을 대상으로 실습형 교육을 담당할 전문인력도 대거 양성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SW인재양성·저변확충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이달부터 적극 지원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정부 관련 예산은 작년 대비 23%(384억원) 증가한 1,633억원이며 초·중·고, 대학 등 교육과정을 통해 약 14만명을 교육하고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해커톤, 온라인 SW교육 등을 지원하는 목적으로 쓰인다.
먼저 SW기초교육을 넘어 AI 등을 포함한 심화교육을 초, 중, 고교에서 실시한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특화교육을 제공하는 AI교육 시범학교를 전국 150개교에서 운영하며 AI 등이 포함된 SW 심화과목 개설을 위해 초, 중 교과서 2종과 고교 교과서 4종을 개발하기로 했다.
또 SW, AI 교육 역량을 갖춘 핵심교원 2,500명을 만들기 위해 AI 수업 설계, 교육과정 분석 등 연수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청년, 경력단절여성, 은퇴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한 전문강사 인력도 1,000명 양성한다.
강사들은 SW, AI 교구재를 활용한 실습형 교육 프로그램(150시간)을 담당하게 되며 도서산간 등 지역 인재를 대상으로 한 'SW 미래채움센터'도 기존 5곳에서 10곳으로 확대 개소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산업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수준 높은 맞춤형 SW 실무인재 양성을 위해 SW중심대학 40개교를 지원(800억원)해 SW전공 과정과 융합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밖에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리더급 고급 인재 확보 차원에서 지난해 12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만들었으며 올해 2월 1기 250명을 시작으로 750명, 향후 매년 500명의 혁신 SW인재를 배출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 정책관은 "AI시대에 AI를 구현하는 SW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SW 인재양성을 통한 AI 일등국가 실현을 위해 더욱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리니지2M 쇼크 극복"…게임사들 신작 경쟁 '춘추전국시대'[앵커멘트]'리니지2M'과의 격돌을 회피하며 신작 출시를 미루던 게임사들이 새해들어 잇달아 신작을 쏟아내 시장 경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지난해 늦가을부터 게임업계 관심사는 '리니지2M' 출시 시점과 파급효과에 온통 쏠렸습니다. '리니지' 브랜드 파워와 맞서 이길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고 몸을 사렸기 때문입니다.넷마블도 지난해 연말 출시 예정이던 'A3 스틸 얼라이브'의 사전예약을 22일이 되어서야 시작했습니다. 코웨이2020-01-23 21:04:05머니투데이방송 서정근 기자
-
고객 빼가기' 현실로?…LG헬로비전, LGU+ 망 알뜰폰 대거 출시LG유플러스로 인수된 LG헬로비전(구 CJ헬로)이 기존보다 헤택 좋은 알뜰폰 상품을 대거 출시, 인수 과정부터 경쟁사들이 우려했던 '알뜰폰 가입자 빼가기'가 현실화될지 관심이 모인다.LG헬로비전 헬로모바일이 LG유플러스 망 알뜰폰 서비스를 첫 출시, 오프라인 매장과 다이렉트몰을 통해 상품 판매에 돌입했다고 22일 밝혔다.새로 나온 LG유플러스 망 요금제는 무려 49종. ▲데이터 걱정 없는 LTE형(대용량∙속도제어) 8종 ▲스테디셀러형(The착한 데이터∙CU) 15종 ▲LTE 중저가형(슬림∙보편) 20종 등과2020-01-23 16:36:24머니투데이방송 황이화 기자
-
[뉴스후] "디즈니플러스를 잡아라"…SKT-KT, OTT 패권 다툼 치열[앵커멘트]유튜브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청이 늘어나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지고 있습니다. 각 OTT 서비스 업체들의 점유율 다툼도 치열한 상황인데요. SK텔레콤의 '웨이브', KT '시즌'이 덩치를 키우고 있는 가운데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와 콘텐츠 확보를 위한 동맹 맺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기사내용]앵커 1) 올해 OTT 서비스 경쟁이 가속화되는 모양새입니다. OTT 출범부터 가입자 늘리기, 동맹군 결성 등 진행상황에 대해2020-01-22 14:51:09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