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VR 시장을 여는 기업들
2016-04-25강동식 기자
가상현실(VR)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국내 VR 산업은 본격적인 개화를 위한 태동기에 접어들었을 뿐이지만, 산업 규모가 2014년 6768억 원에서 2020년 6조 원으로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많은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VR 분야에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벤처기업들이 주로 포진한 VR 콘텐츠 제작 및 솔루션 분야를 비롯해 VR 산업의 지지대 역할을 해야 하는 VR 콘텐츠 유통 플랫폼 분야,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 VR 기기 및 카메라 분야, 그리고 VR 기기 등에 적용되는 부품 분야의 기업들이 VR 산업 생태계를 만들기 시작하고 있다.
한편, VR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너도 나도 VR 사업을 전면에 내세우는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옥석 가리기도 진행될 전망이다. VR 산업이 반짝하고 사그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기업들이 꾸준히 콘텐츠와 솔루션을 내놓고 이를 하나로 묶는 모델을 만들어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VR 플랫폼
자몽
-VR 플랫폼 ‘VR 콘텐츠 허브’ 운영
(콘텐츠 판매 지원, VR 플레이어, 인코딩 등 지원)
-VR 실시간 중계 서비스 제공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모바일 동영상 공급 플랫폼을 통해 VR 콘텐츠 제공
-VR 전문기업과 협력해 VR 콘텐츠 제작
VR 콘텐츠 및 솔루션
에프엑스기어
-평창 동계올림픽 인터랙티브 VR 콘텐츠, VR 의료 교육 콘텐츠 제작
-VR 렌더링 솔루션, VR 영상 자동 후처리 기술 보유
무버
-VR 뮤직비디오, 콘서트 등 케이팝 콘텐츠 제작
-전문가용 VR 카메라 '무브릭' 제작
써틴플로어
-에버랜드 체험하는 VR '찾아가는 테마파크' 제작
-VR 영상 공유 플랫폼 '13F TV' 개발 중
-VR 360 스티칭 솔루션 개발
벤타VR
-VR용 영화, 뮤직비디오 등 제작
-VR 데이트 시뮬레이션 공개 예정
베레스트
-아이돌 콘서트 등 음악과 댄스 기반 영상 콘텐츠, 웹드라마 제작
와이드비주얼
-VR 드라마 '쓰리 바이 쓰리', VR 뮤직비디오 제작
글로브포인트
-VR 교육 콘텐츠 저작 솔루션 'VR 웨어' 개발
VR 게임
앱노리
-VR 야구게임 '베이스볼 킹스 VR' 개발
스코넥엔터테인먼트
-기어VR용 건슈팅 게임 '모탈블리츠' 개발
한빛소프트
-게임 '오디션' VR 버전 변환, 영어 교육용 게임 '오잉 VR' 개발
볼레크리에이티브
-음성인식과 VR 기술을 더한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개발
조이시티
-소니와 협업. VR 슈팅게임 '건십배틀2 VR' 개발
VR 기기 및 카메라
삼성전자
-스마트폰 탑재해 사용하는 VR 헤드셋 '기어 VR' 개발
-화각 195도 어안렌즈 두 개를 탑재한 VR용 카메라 '기어 360' 개발
LG전자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하는 VR 기기 'LG 360 VR' 개발
-화각 200도 카메라를 앞뒤로 장착한 VR용 카메라 'LG 360캠' 개발
넥스트코어
-스마트폰 탑재형 VR 헤드셋 'NOON VR' 개발
고글텍
-VR 뷰어 '고포디 C1-글래스' 구글 스토어 통해 판매
VR 관련 부품
코렌
-VR 렌즈 개발, 오큘러스에 공급
이미지스
-VR 입력장치로 황용 가능한 스마트밴드 개발
나무가
-VR 기반 3D 센싱 카메라 모듈 개발
<본 기사는 테크M 제36호(2016년4월) 기사입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많은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VR 분야에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벤처기업들이 주로 포진한 VR 콘텐츠 제작 및 솔루션 분야를 비롯해 VR 산업의 지지대 역할을 해야 하는 VR 콘텐츠 유통 플랫폼 분야,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 VR 기기 및 카메라 분야, 그리고 VR 기기 등에 적용되는 부품 분야의 기업들이 VR 산업 생태계를 만들기 시작하고 있다.
한편, VR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너도 나도 VR 사업을 전면에 내세우는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옥석 가리기도 진행될 전망이다. VR 산업이 반짝하고 사그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기업들이 꾸준히 콘텐츠와 솔루션을 내놓고 이를 하나로 묶는 모델을 만들어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VR 플랫폼
자몽
-VR 플랫폼 ‘VR 콘텐츠 허브’ 운영
(콘텐츠 판매 지원, VR 플레이어, 인코딩 등 지원)
-VR 실시간 중계 서비스 제공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모바일 동영상 공급 플랫폼을 통해 VR 콘텐츠 제공
-VR 전문기업과 협력해 VR 콘텐츠 제작
VR 콘텐츠 및 솔루션
에프엑스기어
-평창 동계올림픽 인터랙티브 VR 콘텐츠, VR 의료 교육 콘텐츠 제작
-VR 렌더링 솔루션, VR 영상 자동 후처리 기술 보유
무버
-VR 뮤직비디오, 콘서트 등 케이팝 콘텐츠 제작
-전문가용 VR 카메라 '무브릭' 제작
써틴플로어
-에버랜드 체험하는 VR '찾아가는 테마파크' 제작
-VR 영상 공유 플랫폼 '13F TV' 개발 중
-VR 360 스티칭 솔루션 개발
벤타VR
-VR용 영화, 뮤직비디오 등 제작
-VR 데이트 시뮬레이션 공개 예정
베레스트
-아이돌 콘서트 등 음악과 댄스 기반 영상 콘텐츠, 웹드라마 제작
와이드비주얼
-VR 드라마 '쓰리 바이 쓰리', VR 뮤직비디오 제작
글로브포인트
-VR 교육 콘텐츠 저작 솔루션 'VR 웨어' 개발
VR 게임
앱노리
-VR 야구게임 '베이스볼 킹스 VR' 개발
스코넥엔터테인먼트
-기어VR용 건슈팅 게임 '모탈블리츠' 개발
한빛소프트
-게임 '오디션' VR 버전 변환, 영어 교육용 게임 '오잉 VR' 개발
볼레크리에이티브
-음성인식과 VR 기술을 더한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개발
조이시티
-소니와 협업. VR 슈팅게임 '건십배틀2 VR' 개발
VR 기기 및 카메라
삼성전자
-스마트폰 탑재해 사용하는 VR 헤드셋 '기어 VR' 개발
-화각 195도 어안렌즈 두 개를 탑재한 VR용 카메라 '기어 360' 개발
LG전자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하는 VR 기기 'LG 360 VR' 개발
-화각 200도 카메라를 앞뒤로 장착한 VR용 카메라 'LG 360캠' 개발
넥스트코어
-스마트폰 탑재형 VR 헤드셋 'NOON VR' 개발
고글텍
-VR 뷰어 '고포디 C1-글래스' 구글 스토어 통해 판매
VR 관련 부품
코렌
-VR 렌즈 개발, 오큘러스에 공급
이미지스
-VR 입력장치로 황용 가능한 스마트밴드 개발
나무가
-VR 기반 3D 센싱 카메라 모듈 개발
<본 기사는 테크M 제36호(2016년4월) 기사입니다>
-
챗봇, 기술의 진보를 통한 새로운 사회 존재의 등장다른 기업들이 시리, 구글 나우, 코타나, 에코를 만들 때 페이스북은 다른 유형의 가상 비서를 소개했다. 엠(M)이라는 가상 비서는 페이스북 메신저에서 사용자와 채팅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해주거나 구매나 예약을 도와주는 인공 지능 기반의 채팅 봇이다. 엠은 2015년 1월 페이스북이 인수한 위트에이아이라는 회사의 개발진이 중심이 되어 선보였지만 일부 사용자에게만 허용되었고,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을 위해 1,000 명 정도의 사람들이 지도 학습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번 F8에서 페이스북은 본격적으로 메신저 플랫폼과 메신저2016-04-27 00:15:06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 소장
-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보호의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미국 뿐 아니라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2015년 12월 샌버나디노 총기 난사 사건의 총성이 울려 퍼진 지 2개월 뒤에 그 사건이 IT 업계를 흔드는 지진파로 바뀔 것으로 예상한 이들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샌버나디노 사건은 2015년 12월 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동부에 있는 샌버나디노시 소재 발달장애인 복지재활시설인 ‘인랜드 리저널 센터’에서 일어난 총기 난사 사건으로 이날 최소 14명이 사망했고 22명이 다쳤다. 우발적 범행이 아닌 무슬림 부부의 계획적 테러 사건을 추적하던 FBI와 IT 업계의 충돌은 그야말로2016-04-27 00:10:23최필식 테크G 발행인
-
중국 청두, 한국 기업·창업자 유치 추진 본격화푸용린 중국 청두시 부시장이 26일 열린 '한중창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에서 청두시 고신구에 위치한 한중창업단지를 소개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중국 진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청두시가 한국 기업과 창업 희망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혔다. 중국 쓰촨성 청두시 정부는 2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한중창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을 열고 지난해 10월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 정상회담 결과의 하나로 만들어진 '한중창업단지'를 소개했다. 중국 과기부와 청두시는 청두시 고신구(Hi-Tec2016-04-26 21:10:25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