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기획] 판교, 창조경제 실현하는 테크노밸리 되려면
판교테크노밸리는 여러 면에서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을 대표하는 테크노밸리가 되기 위해선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가장 큰 장벽은 높은 임대료와 물가다.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만난 스타트업 대표는 “판교는 거주비가 비싼 데다 주차도 힘들고 음식 값 역시 강남을 웃돈다”며 “젊은이들이 북적거리며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정보를 교류해야 하는데 판교는 몇 시간조차 머물기에 부담스런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스타트업 직원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기업이 서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잠재력이 많음에도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장치와 프로그램이 별로 없는 것 같다”며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장이 좀 더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판교 테크노밸리 SWOT 분석>
대학이 없는 것도 약점이다. 실리콘밸리를 비롯한 세계적 혁신 클러스터의 중심에는 대학이 자리 잡고 있지만 판교에는 아예 대학이 없다.
이는 경기도가 2015년 마련한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 육성종합계획(2016-2020)-판교테크노밸리의 SWOT 분석’에도 언급돼 있다.
스타트업캠퍼스에 성균관대·경희대가 공동운영하는 ‘그랜드 ICT 연구센터’를 두고 기업 수요에 기반을 둔 공동 연구개발(R&D)과 공학 석사과정을 운영하지만 역부족이다.
강선무 경희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일류대학이 들어온다고 실리콘밸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그보다 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계속 머물면서 창업하고 싶은 환경,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이어 “지금까지의 10년이 하드웨어적 인프라 투자에 치중했다면 앞으로의 10년은 SW적인 발전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특히 판교테크노밸리를 구성하는 주체들이 협력할 수 있는 비즈니스 문화를 마련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재웅 대표 역시 판교테크노밸리가 세계적인 테크노밸리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외형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벤처 생태계를 지탱할 수 있는 문화도 함께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실리콘밸리가 평범한 과수지대에서 전 세계 첨단산업과 IT 트렌드를 좌지우지하는 막강한 지위에까지 이르게 된 것은 끊임없이 공급되는 고급인재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업가 정신, 풍부한 투자자금, 마음만 먹으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업지원서비스 등 성공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틀에 박힌 얘기 같지만 아이디어와 열정을 중시하고 실패를 용인해주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테크M = 최현숙 기자(coffee@techm.kr)]
<본 기사는 테크M 제37호(2016년5월) 기사입니다>
-
IBM, 코그너티브 적용 로봇 '나오미' 공개(IBM 코그너티브 기술이 적용된 로봇)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정보를 알려주고, 춤을 춰달라는 요청에 응하는 로봇.IBM의 코그너티브 컴퓨팅 기술이 적용된 로봇 ‘나오미’가 국내에 최초로 소개됐다. 나오미는 IBM 왓슨 기술을 통해 사람의 말을 인식하고, 정보를 검색해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코니’라는 이름으로 힐튼호텔에서 호텔 내부와 주변지역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나오미는 12일 서울 강남2016-05-12 17:40:12도강호 기자
-
[기획]1000개 기업, 7만 직장인의 '벤처도시'[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최현숙 기자 박상은·최수지 인턴기자] ‘상전벽해’. 판교테크노밸리를 얘기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 중 하나다. 10년 전만 해도 판교는 농부들이 경운기를 몰며 밭을 갈던 농촌이었다.2016년 현재 판교는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생명공학기술(BT), 문화기술(CT) 분야에서 1000개가 넘는 기업, 7만여 명의 직원들이 24시간 불을 밝히는 한국 최고의 산업단지가 됐다.제2 판교가 완성되면 스마트 에너지·헬스케어·미디어가 융합된2016-05-12 17:10:37최현숙 기자, 박상은·최수지 인턴기자
-
[MIT리뷰/AI①] 딥러닝 기술로 전성기 맞은 인공지능더 많은 기업이 어떻게 인공지능을 활용할지 모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의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2015년은 보험사 USAA의 데이터정보부장 로버트 웰본에게 머신러닝을 상업적으로 활용한 첫 해다. 향상된 머신러닝 도구의 사용, 저렴해진 처리기술, 데이터 저장 비용의 급락 덕분이다. 여기에 USAA의 풍부한 데이터를 더해 수십 년간 연구했던 기술이 실용화 됐다.보험, 금융, 제조, 석유가스, 자동차 제조, 헬스케어 등은 인공지능하면 처음 떠오르는 산업은 아니다. 그러나 구글과 바이두 등 기술기업이 연구소를 세우고2016-05-12 09:10:01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