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구글 캠퍼스서울 1년 "양적 성장 넘어 질적 성장 돕겠다"
(10일 열린 캠퍼스서울 설립 1주년 기념 행사에서 임정민 캠퍼스서울 총괄이 성과와 향후 운영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다양한 교육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창업가들의 글로벌 네트워킹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나아가 서울이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는 허브로 성장하도록 돕겠다." (임정민 구글 캠퍼스서울 총괄)
10일, 구글이 만든 창업가 공간 '캠퍼스서울'이 설립 1주년을 맞았다. 캠퍼스서울은 아시아 최초로 설립된 구글캠퍼스로 지난해 5월 문을 열었다.
지난 1년 캠퍼스서울은 사업가에게 필요한 엔지니어링, 마케팅, 디자인, 데이터 분석, 법률, 회계 등을 교육하고 회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을 했다. 파트너사인 500스타트업, 스트롱벤처스와 함께 국내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투자를 진행하고,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투자자 네트워킹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1년 간 진행한 창업 관련 행사만 450건이 넘는다.
캠퍼스서울은 설립 1년 만에 1만3000명 이상의 창업가, 투자자, 창업 준비자 등이 커뮤니티 회원으로 가입하는 등 창업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입주사 전용공간에는 콜버스랩, 피스칼노트, 플런티 등 초기 단계 스타트업 7곳이 입주해있으며, 이곳을 거쳐간 스타트업만 9곳이다. 이들 스타트업이 지난 한 해 유치한 금액만 120억 원 이상이다.
개인 맞춤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데이블을 운영하는 이채현 대표는 "구글캠퍼스 입주 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많이 받았다"며 "스타트업을 위한 계약서 쓰는 법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김앤장 변호사에게 계약서 검토를 받을 수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2년차를 맞은 캠퍼스서울의 다음 고민은 양적 성장보다 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우선 스타트업의 글로벌 네트워킹 기회 확대를 위해 캠퍼스 익스체인지 프로그램에 더해 구글 글로벌 엑스퍼트 위크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영업, 마케팅, 개발 등 각 분야 전문가인 전세계 구글 직원들이 2주간 서울에 상주하며 국내 스타트업에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멘토링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성장 단계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집중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구글 내부 인력을 멘토링에 참여시켜 기술, 창업, 디자인,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임정민 총괄은 "서울은 스타트업 허브가 되기 위한 요건은 충분하지만, 아직 외국인이 창업을 하기엔 개선할 여지가 많고, 국내 스타트업이 해외 진출을 할 때도 내수와 해외 사업을 모두 하기엔 어렵다"며 "서울 자체가 글로벌 시장이 돼야 한다"며 서울의 글로벌화를 위한 토대 역할을 강조했다.
[테크M =조은아 기자(echo@techm.kr)]
-
IBM, 코그너티브 적용 로봇 '나오미' 공개(IBM 코그너티브 기술이 적용된 로봇)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정보를 알려주고, 춤을 춰달라는 요청에 응하는 로봇.IBM의 코그너티브 컴퓨팅 기술이 적용된 로봇 ‘나오미’가 국내에 최초로 소개됐다. 나오미는 IBM 왓슨 기술을 통해 사람의 말을 인식하고, 정보를 검색해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코니’라는 이름으로 힐튼호텔에서 호텔 내부와 주변지역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나오미는 12일 서울 강남2016-05-12 17:40:12도강호 기자
-
[기획]1000개 기업, 7만 직장인의 '벤처도시'[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최현숙 기자 박상은·최수지 인턴기자] ‘상전벽해’. 판교테크노밸리를 얘기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 중 하나다. 10년 전만 해도 판교는 농부들이 경운기를 몰며 밭을 갈던 농촌이었다.2016년 현재 판교는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생명공학기술(BT), 문화기술(CT) 분야에서 1000개가 넘는 기업, 7만여 명의 직원들이 24시간 불을 밝히는 한국 최고의 산업단지가 됐다.제2 판교가 완성되면 스마트 에너지·헬스케어·미디어가 융합된2016-05-12 17:10:37최현숙 기자, 박상은·최수지 인턴기자
-
[MIT리뷰/AI①] 딥러닝 기술로 전성기 맞은 인공지능더 많은 기업이 어떻게 인공지능을 활용할지 모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의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2015년은 보험사 USAA의 데이터정보부장 로버트 웰본에게 머신러닝을 상업적으로 활용한 첫 해다. 향상된 머신러닝 도구의 사용, 저렴해진 처리기술, 데이터 저장 비용의 급락 덕분이다. 여기에 USAA의 풍부한 데이터를 더해 수십 년간 연구했던 기술이 실용화 됐다.보험, 금융, 제조, 석유가스, 자동차 제조, 헬스케어 등은 인공지능하면 처음 떠오르는 산업은 아니다. 그러나 구글과 바이두 등 기술기업이 연구소를 세우고2016-05-12 09:10:01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