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정부, '국가전략 프로젝트' 추진…인력양성 등 패키지 지원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1회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국가전략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또 연구개발(R&D) 혁신을 위해 장기 원천연구에 중점을 두고 규제와 간섭 근절도 추진된다.
정부는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한 가운데 제1차 과학기술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이 날 전략회의에서는 국가 전략분야에 대해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가전략 프로젝트(가칭)를 추진하기로 했다. 국가전략 프로젝트는 미래성장동력 분야와 최근 부상하는 경제·사회이슈 분야에서 선정하고, 민관협업을 통해 R&D뿐만 아니라 인력양성, 표준화, 규제개혁까지 패키지 형태로 지원한다.
2017년 우선 추진할 프로젝트는 각 부처 추천과 세부 기획을 거쳐 차기 전략회의에서 확정, 신속히 착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국가 전략분야에 대한 하향식 투자로 정부R&D 투자의 전략성을 강화하기로 하고, 모든 정부R&D사업을 재검토해 재투자할 방침이다. 우선 각 부처가 투자 우선순위에 따라 자체적으로 10% 구조조정하고 부처별 핵심 미션 등에 재투자하며, 과기전략본부는 R&D혁신방향 부합 여부 등에 따라 5% 추가 절감 뒤 절감된 재원(2017년 약 6000억원)을 미래 선도 및 국가 전략분야에 재투자한다.
또 이 날 논의된 정부R&D 혁신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국가적으로 꼭 필요한 전략분야에만 집중하고 나머지는 철저히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해 민간의 자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R&D와 관련해 정부 간섭과 행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연구수행과 관련 없는 지출 금지 사항만 제시하는 네거티브 방식 연구비 집행기준도 시범 도입한다.
우선 대학에 대한 상향식 기초연구를 2016년 1조1000억원에서 2018년 1조5000억원으로 늘리고, 10년 이상 장기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모든 대학의 기초연구사업에 대해 논문 수, 특허 수 등 양적 성과목표를 삭제한다.
출연연은 연구지원(출연금사업)을 기관별 핵심 분야에 대해 70% 이상 집중하도록 하고, 소규모 과제는 축소, 5년 이상 중장기 대형 과제화해 출연연의 원천연구를 강화한다. 또 기존 과제 수주 건수에 따른 연구원 평가·보상 방식을 연구성과에 따른 평가·보상으로 개선한다.
한편, 이 날 첫 회의를 가진 과학기술전략회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컨트롤타워, 국가 R&D정책의 중장기 비전 제시, 과학기술계의 구조적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 3월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기능의 취약점으로 인해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과학기술전략회의를 신설해 핵심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전략을 마련하고 R&D 시스템의 근본적 혁신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테크M= 강동식 기자(dongsik@techm.kr)]
-
가상/증강현실을 통한 융합교육의 현재와 미래1. 들어가면서가상현실과 증강현실(Virtual Reality / Augmented Reality, 이후 VR/AR로 표시)은 현실과 가상세계의 상호 인터렉션을 통해 체험 기반형 콘텐츠 생산이 가능해 흥미, 만족 그리고 몰입형 서비스 개발에 적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VR/AR은 컴퓨터 그래픽(CG)와 홀로그램, 오감 인터렉션, 빅데이터, 다면영상(Screen X)과 클라우드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해 몰입형 실감교육, 심리ㆍ재활치료, 자동차 및 건축 설계, 테마파크 및 방송용 등 고부가가치 콘텐츠 생산이 가능케 한2016-05-18 00:10:01최재홍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IoT·자율주행차 안전성 확보 방안 모색"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첨단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방안을 모색하는 컨퍼런스가 열린다.미래창조과학부와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은 6월 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세이프티 SW 2016'을 주최한다.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부설 소프트웨어공학센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함께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첨단 ICT의 적용 확대에 따라 SW 안전성 대응방안 또한 한 단계 도약해야2016-05-17 11:10:21도강호 기자
-
정규 과정된 SW 교육, 학교혁신의 첫걸음[테크M, 한국인터넷진흥원 공동기획]최근 ‘알파고’ 충격과 더불어 ‘소프트웨어 교육’이 화두이다.2018년부터 중학교에서는 ‘정보’ 과목을 3년간 총 34시간 이상을 이수하도록 의무화했는데, 그 과목은 ‘SW 프로그래밍’이 강조된 내용이다. 초등학교에서도 2019년부터 5-6학년 실과 과목에서 총 17시간을 SW 프로그래밍 교육을 하도록 하였다.고등학교는 ‘정보’ 과목을 현재 심화선택에서 일반선택 과목으로 변경하여 학생2016-05-17 10:10:12김현철 고려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