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피플펀드, 국내 첫 제1금융권 기반 P2P금융 서비스 출시
![]() |
피플펀드 모바일 화면 |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조은아 기자] P2P대출업체 피플펀드가 1일 전북은행과 함께 국내 최초로 제1금융권을 통한 은행통합형 P2P금융 서비스를 시작한다. 피플펀드가 대출자 모집, 신용평가, 투자자 모집을 맡고, 전북은행은 투자금을 담보로 입금부터 출금까지 관리하는 형태다.
원래 피플펀드의 대출상품은 지난해 말 출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이유로 제동을 걸었다. 기존에 없던 사례인 만큼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었다. 피플펀드는 반년 넘게 금융위원회 각 부서별 유권해석을 받으며 정관 개정을 거듭했고 마침내 금융당국 승인을 거쳐 정식 출시에 성공했다.
피플펀드는 현재 금융당국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P2P금융기업으로 대부업체로 등록한 기존 P2P대출업체들과 달리 전자상거래업체로 등록돼있다.
최근 세계 최대 P2P대출기업 렌딩클럽 최고경영자의 부정대출과 대출자의 부도율 증가로 P2P대출 거품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은행통합형 P2P금융 서비스가 대안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피플펀드의 강점은 P2P대출의 편리성과 은행의 안정성을 모두 추구한다는 점이다.
대출을 원하는 고객이 신청정보를 입력하고 비대면 방식으로 신용보고서를 제출하면, 피플펀드의 신용평가 알고리즘이 40초 안에 실시간으로 대출 조건을 제안한다. 금리는 최저 2.99%부터 최고 23.17%까지다.
제시된 조건에 고객이 동의하는 경우 소득 증빙자료만 제출하면 피플펀드를 통해 전북은행 대출 계약으로 연결된다. 은행 지점 방문, 공인인증서, 액티브엑스 등 복잡한 절차 없이 모바일에서 손쉽게 제1금융권 은행 대출이 가능하다.
투자고객의 경우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다. 은행을 통해 대출이 취급되고 투자금 관리가 이뤄지기 때문에 모든 현금흐름이 은행 시스템 안에서 안전하게 관리된다.
또 연체 발생 시 연체 정보가 즉시 은행연합회에 공유되고 은행이 직접 연체관리 및 추심을 진행하기 때문에 연체 시에도 채권 회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실제 제1금융권의 신용대출 부실률은 1% 미만으로 낮은 편이다. 투자금액은 최소 1만 원부터 최대 3000만 원이며, 선호하는 금리대의 채권을 선택해 본인의 투자성향에 맞는 목표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다.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는 “금융당국, 은행과 1년 넘게 준비한 끝에 P2P금융을 제도권 금융에서 구현할 수 있었다. 피플펀드의 은행통합시스템은 국내 최초로 핀테크 기업과 은행이 공동개발한 P2P금융플랫폼에 특화된 전산시스템”이라며 “모든 과정을 자동화해 불필요한 경비 지출을 최소화하고 금융과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조은아 기자 (echo@mtn.co.kr)]
-
“바이오 특성 감안한 창업지원 설계를”(장규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테크M 대담=장윤옥 테크M 편집장] 바이오 분야는 정보통신기술(ICT)과 함께 우리나라의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꼽힌다.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중요한 요소기술이기도 하다.특히 그동안 꾸준히 연구개발 투자를 해 온 제약과 바이오 전문기업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둠에 따라 바이오 연구를 보는 눈이 크게 달라졌다. 주가가 오르고 관련 분야에 진출하려는 사람들도 늘어났다.하지만 아직도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큰2016-06-03 09:40:01대담 = 장윤옥 테크M 편집장
-
인공지능·자율주행 시대, 세이프티 SW 역량 확대해야“LG전자는 1990년대 일본 회사들과의 경쟁했다. 당시 디지털로의 전환에서 빠른 개발 사이클을 만들면서 우위를 점하고 승리했다. 이제부터는 단순히 빨리 해서는 안 된다. 제대로 된 소프트웨어(SW)를 만들어 구글·애플과 같은 한 수 위의 SW 역량을 가진 회사들과 경쟁해야 한다.”민경오 LG전자 SW센터장은 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미래창조과학부와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주최로 열린 &lsqu2016-06-02 21:10:01도강호 기자
-
SK(주) C&C,"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바탕 데이터 서비스 기업 변신"(1일, 이호수 SK(주) C&C IT서비스 사업장 겸 ICT R&D센터장이 데이터 서비스 기업으로서의 사업비전과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SK주식회사 C&C가 SI기업에서 데이터 서비스 회사로 변신을 꾀한다.SK(주) C&C는 1일 서울 종로 SK서린빌딩에서 'IT현안 설명회'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 기업으로서의 SK(주) C&C 사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SK2016-06-02 16:10:13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