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장난감 갖고 놀았을 뿐인데 ‘캐리언니의 힘’
모바일 미디어 시대 개척자들 ①캐리소프트
![]() |
권원숙 캐리소프트 대표 |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최현숙 기자] 긴 머리에 커다란 리본이 잘 어울리는 ‘캐리언니’가 비눗방울 만들기 놀이를 하며 까르르 웃는다. 언뜻 보면 다 큰 어른의 ‘혼자 놀기’ 동영상 같기도 하고, 장난감 회사의 홍보 영상이란 추측도 든다.
하지만 유치원생 또래들은 이 동영상에 열광한다.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은 현재 유튜브 구독자가 85만 명이 넘고, 누적 조회 수가 9억6300만 여 건에 이른다.
지난해 말에는 NHN엔터테인먼트로부터 18억 원을 투자받으면서 주목받는 스타트업으로 떠올랐다.
캐리언니는 권원숙 캐리소프트 대표가 2014년 10월 창업과 함께 탄생시킨 캐릭터다.
유럽을 중심으로 기업 출장·여행을 연결해주는 일을 해오던 권 대표는 정보를 찾을 때 유튜브를 보는 일이 많아지면서 모바일 콘텐츠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됐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사용하는 연령이 낮아지는 점에 주목해 키즈 콘텐츠를 선택했다”는 권 대표는 “불황에도 자녀에 대해서만큼은 지갑을 열 것이란 판단도 작용했다”고 말했다.
“하루 한 편, 장난감 협찬 사절” 소신 빛나
‘캐리’가 창업 1년여 만에 모바일 키즈 동영상의 대명사가 된 것은 ‘원칙’을 지키려는 권 대표의 노력이 맺은 결실이다.
권 대표는 “하늘이 두 쪽이 나도 하루 한 편씩 새로운 동영상을 올린다”고 말했다. 권 대표에 따르면 키즈 동영상은 아이들이 시청하는 만큼 재미도 있으면서 부끄럽거나 낯 뜨겁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아주 까다롭다. 매일 새로운 동영상을 접하는 아이들은 캐리 언니를 더욱 신뢰하게 된다.
한번 구축된 신뢰는 동영상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캐릭터 사업으로 연계할 수 있다. 최근 선보인 뮤지컬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이렇게 하루도 빠뜨리지 않고 아이들과 유대감을 쌓은 덕분이다.
동영상에서 나오는 장난감들을 모두 회사에서 직접 구입하는 것도 권 대표의 소신이다. “협찬을 받으면 콘텐츠 기획 의도가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튜브 채널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을 진행하고 있는 캐리언니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은 모바일 동영상이지만 케이블TV VOD, SK브로드밴드 등 TV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처음부터 HD와 UHD급 고화질 영상을 촬영했기 때문이다.
권 대표는 “모바일 조회 수 만으로는 매출을 올리기 힘들기 때문에 TV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진출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촬영시스템 구축비용을 아끼지 않았다”고 말했다.
캐리소프트에선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외에도 어린이용 독서 콘텐츠 채널 ‘캐리 앤 북스’, 여러 가지 단체 놀이를 소개하는 채널 ‘캐리 앤 플레이’도 운영 중이다.
권 대표는 “키즈 콘텐츠는 언어 제약을 덜 받는 편”이라며 “올해에는 중국과 일본, 스페인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최현숙 기자 (coffeet@mtn.co.kr)]
<본 기사는 테크M 제38호(2016년6월) 기사입니다>
-
티맥스소프트, 국민대와 SW 인재 양성 협력(임홍재 국민대 부총장(오른쪽)과 손용제 티맥스소프트 공공사업본부장이 산학협력 협약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SW) 기업인 티맥스소프트는 국민대학교와 SW 인재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이에 따라 국민대는 산업체 수요에 맞는 SW 인재육성을 위한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해 운영하기로 했으며, 티맥스소프트는 다양한 인턴십 제도를 운영해 우수한 인재가 육성돼 취업까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2016-06-13 17:40:05주다은 인턴기자
-
정부 투자 R&D 사업 여성 책임자 비율 15% 불과정부 연구개발(R&D) 투자사업에서 여성 연구책임자 비율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15%에 못 미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미래창조과학부가 13일 발표한 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R&D 지원사업의 연구책임자는 남성(2만9309명, 85.8%)이 여성(4836명, 14.2%)보다 6.1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남성 연구자의 1인당 연구비는 4억4000만2016-06-13 17:40:01최수지 인턴기자
-
[이슈 브리핑] 저평가 불구 상장 택한 라인, 1조 원 어디에 쓸까?[테크M=테크M 취재팀] 네이버의 100% 자회사 라인이 미국과 일본 동시 상장으로 확보하는 자금을 어디에 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라인은 시장가치가 크게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상장을 통한 자금 확보를 추진하는 것이어서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라인은 7월 14일과 15일 각각 미국 뉴욕과 일본 도쿄에 증시에 상장한다. 상장을 통해 라인은 약 1조 원의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네이버는 최근 공시를 통해 라인의 해외 상장 목2016-06-13 15:10:13테크M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