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케이벤처그룹, 필리핀 핀테크 벤처 대상 첫 해외투자
카카오의 투자전문 자회사 케이벤처그룹이 필리핀 핀테크 벤처기업 SCI(Satoshi Citadel Industries)에 투자했다. 케이벤처그룹은 SCI 지분 40%를 인수해 최대주주가 됐다고 9일 밝혔다.
SCI는 비트코인 기반 송금 서비스 기업으로, 이번 투자는 케이벤처그룹 설립 후 첫번째 해외 투자 사례다. 케이벤처그룹은 SCI의 송금 및 모바일 월렛 사업 확대를 위해 투자에 참여했으며, SCI는 투자금을 통해 필리핀, 싱가포르, 미국에서 이용자를 확보할 계획이다.
필리핀은 세계 3위 외화송금수취국가(2015년 기준)로 시장규모는 약 27조 원에 달한다. 하지만 송금 처리에 통상 2~3영업일이 소요되고, 최대 일주일까지 걸리는데다 수수료 또한 12% 수준으로 부담이 컸다. 송금 과정에 다양한 중간 이해관계자가 존재해 환전 수수료, 중개 및 수취 수수료 등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SCI는 비트코인을 활용해 이같은 송금 과정의 비효율과 높은 수수료 문제를 해소한다. SCI의 핵심 서비스인 '리빗(Rebit)'은 비트코인으로 거래소 간 자유로운 송수신을 지원하고, 중간단계를 간소화함으로써 송금 처리 시간을 1영업일 내로 줄이고 수수료도 0~1% 수준으로 크게 낮췄다.
또 SCI는 선불 결제카드, 모바일 결제 및 모바일 월렛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금융 플랫폼을 통해 은행 계좌 개설율 31%, 신용카드 보급율 약 3%에 그치는 필리핀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금융시장을 혁신하겠다는 목표다.
박지환 케이벤처그룹 대표는 "동남아시아에서 비효율성이 가장 높은 영역 중 하나가 금융 서비스로, 특히 온라인 송금 및 결제에 있어 모바일이 만들어 낼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비트코인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해결책을 내는 SCI의 사업방식에 매력을 느꼈다"고 말했다.
존 베일론 SCI 대표는 "케이벤처그룹의 이번 투자는 카카오가 그동안 한국에서 보여준 모바일 금융혁신의 노하우와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케이벤처그룹은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향후 국내뿐 아니라 해외 모바일 생태계 영역의 투자기회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테크M=조은아 기자(echo@techm.kr)]
-
티맥스소프트, 국민대와 SW 인재 양성 협력(임홍재 국민대 부총장(오른쪽)과 손용제 티맥스소프트 공공사업본부장이 산학협력 협약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SW) 기업인 티맥스소프트는 국민대학교와 SW 인재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이에 따라 국민대는 산업체 수요에 맞는 SW 인재육성을 위한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해 운영하기로 했으며, 티맥스소프트는 다양한 인턴십 제도를 운영해 우수한 인재가 육성돼 취업까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2016-06-13 17:40:05주다은 인턴기자
-
정부 투자 R&D 사업 여성 책임자 비율 15% 불과정부 연구개발(R&D) 투자사업에서 여성 연구책임자 비율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15%에 못 미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미래창조과학부가 13일 발표한 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R&D 지원사업의 연구책임자는 남성(2만9309명, 85.8%)이 여성(4836명, 14.2%)보다 6.1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남성 연구자의 1인당 연구비는 4억4000만2016-06-13 17:40:01최수지 인턴기자
-
[이슈 브리핑] 저평가 불구 상장 택한 라인, 1조 원 어디에 쓸까?[테크M=테크M 취재팀] 네이버의 100% 자회사 라인이 미국과 일본 동시 상장으로 확보하는 자금을 어디에 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라인은 시장가치가 크게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상장을 통한 자금 확보를 추진하는 것이어서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라인은 7월 14일과 15일 각각 미국 뉴욕과 일본 도쿄에 증시에 상장한다. 상장을 통해 라인은 약 1조 원의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네이버는 최근 공시를 통해 라인의 해외 상장 목2016-06-13 15:10:13테크M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