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쉐어하우스, 협업으로 만드는 생활밀착형 영상 서비스
쉐어하우스는 노하우 정보를 영상으로 제작·공유하는 서비스다. 전문가들이 가진 노하우가 주요 내용이지만, 창작자가 제작과 출연을 모두 담당하는 기존 MCN과 다르다. 전문가들이 노하우나 역량을 제공하면, 쉐어하우스가 영상을 제작·배포한다.
쉐어하우스는 콘텐츠 제작 파트너인 전문가들을 ‘하우스메이트’라고 부른다. 하우스메이트가 꼭 개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쉐어하우스와 공동 제작하거나, 쉐어하우스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나와, SK엔카 등의 기업도 있다.
현재 쉐어하우스의 SNS 채널 구독자는 100만 명 정도다. 콘텐츠는 SNS뿐만 아니라 20여 개의 온·오프라인 제휴 채널을 통해 노출된다.
배윤식 쉐어하우스 대표는 “콘텐츠가 많이 알려지면 좋기 때문에 다채널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영상 1개당 재생 횟수가 최소 10만회는 넘는다”고 말했다.
쉐어하우스는 모바일 환경에서 줄어드는 온라인 광고의 영향력에 대안을 제시한다. 모바일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기업의 제품이나 철학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와 진행하고 있는 공공 캠페인은 일상에 녹아드는 내용으로 공감을 얻고 있다.
누구나 전문가…모두가 협업 대상
배윤식 대표는 “광고에는 편견을 가지기 때문에 광고라고 인식되지 않도록 한다”며 “알려지면 좋은 정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노하우 같은 생활 밀착형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의 좋은 점을 직접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가 차량 관리 노하우를 보여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쉐어하우스 활동의 핵심은 협업이다. 양질의 콘텐츠를 끊임없이 만들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와의 협업이 필수다.
배 대표는 “세상 사람들 모두가 재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떡볶이 맛집의 할머니가 가진 떡볶이 잘 만드는 비법, 작은 아이디어로 사람의 행동을 바꾸는 것도 모두 노하우”라고 강조했다. 모두가 협업 포인트라는 것이다. 그래서 노하우를 가진 사람이 영상에 직접 출연하지 않더라도 누구의 노하우인지 반드시 표시한다.
쉐어하우스는 협업하는 사람들이 콘텐츠를 더 많이 만들고, 수익을 가져갈 수 있도록 고민하고 있다.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을 더 많이 알리고, 이를 통해 창작자와 소비자가 상생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자에게 보상을 주는 방법, 미디어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
[테크M=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본 기사는 테크M 제38호(2016년6월) 기사입니다>
-
티맥스소프트, 국민대와 SW 인재 양성 협력(임홍재 국민대 부총장(오른쪽)과 손용제 티맥스소프트 공공사업본부장이 산학협력 협약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SW) 기업인 티맥스소프트는 국민대학교와 SW 인재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이에 따라 국민대는 산업체 수요에 맞는 SW 인재육성을 위한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해 운영하기로 했으며, 티맥스소프트는 다양한 인턴십 제도를 운영해 우수한 인재가 육성돼 취업까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2016-06-13 17:40:05주다은 인턴기자
-
정부 투자 R&D 사업 여성 책임자 비율 15% 불과정부 연구개발(R&D) 투자사업에서 여성 연구책임자 비율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15%에 못 미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미래창조과학부가 13일 발표한 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R&D 지원사업의 연구책임자는 남성(2만9309명, 85.8%)이 여성(4836명, 14.2%)보다 6.1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남성 연구자의 1인당 연구비는 4억4000만2016-06-13 17:40:01최수지 인턴기자
-
[이슈 브리핑] 저평가 불구 상장 택한 라인, 1조 원 어디에 쓸까?[테크M=테크M 취재팀] 네이버의 100% 자회사 라인이 미국과 일본 동시 상장으로 확보하는 자금을 어디에 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라인은 시장가치가 크게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상장을 통한 자금 확보를 추진하는 것이어서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라인은 7월 14일과 15일 각각 미국 뉴욕과 일본 도쿄에 증시에 상장한다. 상장을 통해 라인은 약 1조 원의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네이버는 최근 공시를 통해 라인의 해외 상장 목2016-06-13 15:10:13테크M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