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폴더블폰 대전 2라운드... 갤럭시Z플립vs모토로라 레이저vs화웨이 메이트Xs 3파전?
갤럭시Z플립 조개껍질 모양 형태 주목…가격 낮추고 '폴더블폰 대중화' 박차
삼성전자의 '갤럭시폴드'와 화웨이의 '메이트X'가 맞붙었던 폴더블폰 1차대전에 이어 새로운 접는 폰 전쟁이 시작된다.
먼저, 삼성전자는 다음달 1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신제품 공개행사 '언팩'을 개최하고, 상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20와 함께 '갤럭시X플립'을 공개한다.
갤럭시Z플립은 세로축을 중심으로 책처럼 여닫는 갤럭시 폴드와 달리 위아래로 접히는 클램셸(조개껍질) 모양의 폴더블폰이다. 접으면 손바닥만한 크기의 정사각형 형태로, 펼치면 6.7인치 직사각형 화면이다. 한손에 들어와 휴대성을 높였다.
갤럭시Z플립은 화면 보호를 위해 초박형유리(UTG)를 탑재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주름 문제가 발생했던 기존 폴리이미드(PI) 필름와 달리 접히는 부분의 주름 흔적이 거의 남지 않는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가격은 1,400유로(약180만원) 선으로 예상되며, 이는 240만원에 육박했던 갤럭시폴드 출고가보다 저렴하다. 일부 사양을 낮추면서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폴더블폰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맞서 모토로라는 다음달 6일 미국 등 북미시장에 피처폰 '레이저'를 닮은 폴더블폰 '레이저'를 출시한다. 원래 이달 9일 출시될 예정이었지만 공급물량 부족 문제로 출시를 연기한 바 있다.
모토로라의 레이저 폴더블폰은 갤럭시Z플립처럼 가로축을 중심으로 접히는 형태다. 기존 레이저의 독특한 외관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했다. 펼쳤을 때 화면 크기는 6.2인치이며, 외부에는 알림 확인용 2.7인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모토로라는 레이저 폴더블폰을 버라이즌을 통해 독점 공급될 예정이다. 가격은 1,500달러로 약 206만원이다.
한편, 화웨이도 기존 폴더블폰 '메이트X'의 후속작을 준비 중이다. 2월말 스페인에서 열리는 모바일 전시회 MWC에서 후속작 '메이트Xs'를 공개할 계획이다.
메이트X는 지난해 11월 중국에서만 출시됐고 가격은 1만6,999위안으로 우리돈으로 환산하면 약 283만원에 달한다.
메이트 Xs는 아직 구체적인 사양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화웨이의 자체 칩셋인 기린 990 5G 칩셋을 탑재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또한, 기존 제품과 비교하면 힌지와 디스플레이 내구성, 디스플레이 수율 등을 개선하면서 1세대 모델보다 저렴한 가격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스티커 한 장으로 만드는 1인 방송 소통 공간…AI 스타트업 '트리니들'[앵커멘트]스티커를 붙인 티셔츠나 종이를 모니터 화면처럼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최근 유튜브를 비롯한 1인 방송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는데요. 삼성전자 사내벤처 프로그램 C랩 통해 독립한 스타트업 '트리니들'의 기술입니다. 고장석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사연을 읽어주는 인터넷 1인 방송.얇은 종이에 그림을 띄워서 사연을 더 생동감 있게 읽어줍니다.[지라라 1인 방송인: 아 이거 그린라이트다 해서 자녀 계획까지 세우셨다는 (사연입니다.) 자녀 계획을 세웠다고 해서…. 가족사진을2020-01-29 12:05:55머니투데이방송 고장석 기자
-
중저가 5G 요금제 확대되나…이통3사, 청소년·고령층부터 적용할듯[앵커멘트]통신업계가 정부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5G 중저가 상품 확대를 검토 중입니다. 청소년과 고령층 등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요금제가 먼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통신사들은 고가요금제와 달리 중저가 상품이 수익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부담스러워 하고 있고 알뜰폰 업계의 반응도 미지근합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5G 중저가 상품 라인업 확대에 대한 요구가 잇따르자 통신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현재 이통3사가 내놓은 건 5만원대 요금제 각각 하나. 선택의 폭을 넓히고2020-01-29 11:46:29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 기자
-
'역대급 전사 포상' 김택진 엔씨 대표, 성과 저조 임원에겐 '경고장'최근 '리니지2M'의 흥행으로 전사 직원들에게 150억원 상당의 포상을 내놓은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성과가 부진한 임원들을 대상으로는 "주기별 실적평가를 통해 진퇴를 결정하겠다"며 '경고장'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엔씨소프트는 개발과 사업의 주요 포스트 임원들이 실적을 내지 못해도 퇴사시키지 않고 꾸준히 자리를 보장해 왔는데, 앞으로 다른 기업들처럼 임원들의 진퇴를 실적 베이스로 가리겠다는 것이다.김택진 대표는 임원 처우와 관련해선 보통 대기업에서 보기 힘든 '온정주2020-01-28 17:52:44머니투데이방송 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