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전기차 정책 주도할 컨트롤타워 필요”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1차 전기차리더스포럼에서는 정책지원 컨트롤타워 신설, 보조금 확대, 시장개방 등 전기차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조은아 기자] “우리나라 전기차 산업이 활성화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관련업무가 3개 부처, 7개 실국으로 나뉘어 있다보니 집중적 정책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전기차 보급은 이제 정책부서만의 과제가 아니라 최선의 친환경적 선택이자 미래 성장을 견인할 산업이다.” (심재철 국회부의장)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1차 전기차리더스포럼에서는 위기에 부딪힌 국내 전기차 시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국내 전기차 시장은 해외 주요국과 비교하면 아직 시장 형성 단계다.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 누적 판매대수는 100만 대를 돌파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전기차는 5767대, 공공급속충전시설은 337기에 불과하다.
김필수 한국전기차협회장은 “올해 8000대 보급을 목표로 하는데 소비자 반응은 차갑다.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중국 전기차 시장은 급성장하는 반면, 우리는 강력한 전기차 인센티브 정책이 없다”며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점도 심각하고 현대차 등 국내 회사의 움직임도 약하다”며 공격적인 정책지원을 주문했다.
또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최근 테슬라 때문에 국내 전기차 수요가 대기수요로 바뀌면서 국내 전기차 보급 목표 수요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며 "테슬라로 돌아선 수요를 렌트카와 택시같은 영업용 차량으로 돌리는 것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희룡 도지사는 또 "이미 시장이 형성된 후에 올라타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보조금 지급과 같은 극약처방의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패널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국내 전기차 시장이 위기라고 지적했다.
김동준 신한금융투자 상무는 “최근 테슬라 CEO의 "삼성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발언과 삼성SDI와 LG화학의 중국 정부의 배터리 인증 획득 실패 등 두 가지 이슈가 증시에 영향을 미쳤던 부분이 아쉬웠다”며 “늘 한국 시장은 작다는 것이 약점으로 꼽히지만, 역으로 테스트베드로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전기차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정흥순 서울시 대기관리과장은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1200여대의 전기차가 보급됐다. 매년 200대 정도 늘어난 셈인데, 올해는 현재까지 54대를 보급했다. 숫자상으로는 위기가 맞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정흥순 과장은 또 “서울시에서는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논의 중이다. 나눔카 전기차 비율을 높이고, 공공주차장의 전기차 우선구역 신설, 환경친화적 차 관련 조례 통과 등의 시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날 토론에서는 전기차 시장 창출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시장 개방이 제시돼 관심을 모았다.
박경린 제주대 교수는 “국내 전기차 모델이 다양하지 않다"며 "국내 자동차업계 보호도 중요하지만 시장을 열어줘야 국내 메이커 업체들도 변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조은아 기자(echo@techm.kr)]
-
네이버, 하반기 퍼스널 로봇 내놓는다[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네이버는 로보틱스, 모빌리티, 스마트홈 영역에서 오프라인 어디서도 네이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나 내년 초에 관련 서비스가 출시될 예정이다."네이버의 기술개발 조직인 네이버랩스를 이끌고 있는 박종목 네이버 이사는 28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주관하는 '굿인터넷클럽' 행사에서 네이버가 개발 중인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가 접목된 서비2016-06-28 16:40:12도강호 기자
-
미래부, SW사업 클라우드 우선 적용 명문화[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부 공공기관이 소프트웨어(SW) 사업을 추진할 때 클라우드 컴퓨팅을 우선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규정에 명문화했다. 또 미래부는 정부 공공기관이 국가정보화 사업 이외 SW 사업까지 SW사업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했다.28일 정부관계자들과 SW업계에 따르면, 미래부는 ‘SW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을 개정해 시행에 들어갔다.미래부 장관이 정하는 이 기준은 국가2016-06-28 16:40:05강진규 기자
-
인공지능, 토털서비스...클라우드 대전 승자 변수는[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클라우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IDC는 2015년 발표한 자료를 통해 전체 IT 인프라에서 클라우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27.9%에서 2019년 45.95%로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비용면에서는 2014년 5%에서 2018년 11%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인프라뿐만 아니라 플랫폼과 서비스 비용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전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같은 기간 연평균 22.5% 증가할2016-06-28 09:40:03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