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이슈 브리핑] 누적 대출 1000억 넘은 P2P금융, 숙제도 많아
P2P금융업계의 상위 5개 기업 누적 대출금이 1000억 원을 넘어셨다.
6월 22일 기준 P2P금융 상위 5개 업체의 누적 대출액(투자액)은 8퍼센트 261억 원, 테라펀딩 243억 원, 빌리 205억 원, 투게더 151억 원, 렌딧 151억 원 등 총 1013억 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P2P금융기업의 누적 대출금액은 200억 원에 못미쳤다. 6개월 만에 5배 이상 성장한 셈이다.
P2P대출 시장은 저축은행, 대부업체보다 낮은 연 10%선의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게다가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서 예·적금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 주목받으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빌리가 홈페이지에 밝힌 펀딩 성공사례) |
(테라펀딩이 홈페이지에 게재한 부동산 담보채권 투자상품 펀딩 성공사례) |
하지만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우선 여전히 P2P대출시장에 대한 우려의 시선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대출자가 이자를 연체하거나 원금 상황을 못하면 고스란히 투자자 손실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점 때문이다.
P2P금융업체들은 대출 승인율이 5% 정도밖에 안될 정도로 까다롭게 심사를 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업력이 짧은데다 본격적으로 상환이 이뤄지게 되는 시점이 도래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좀 더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2P 대출 규모가 계속 커지면 자연스럽게 연체율은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게다가 글로벌 금융플랫폼 1위 업체인 렌딩클럽 최고경영자(CEO) 르노 라플랑셰 회장의 부정 대출 사건이 터지면서 급팽창하는 국내 P2P대출시장에 대한 우려도 점차 커지는 분위기다.
업계도 나름의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P2P금융업체 연합체인 한국P2P금융플랫폼협회는 주요 P2P 대출 플랫폼에서의 중복 대출을 제한하는데 뜻을 모았다. 대출 이력을 공개해 악의적인 중복 대출을 방지하자는 것이다. 현재 7개인 회원사 이외의 업체들이 협회에 가입하면 대출 정보 공유 범위도 커져 좀 더 효과적으로 악의적인 중복 대출을 막을 수 있다.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도 풀어야할 문제 중 하나다.
피플펀드, 테라펀딩, 펀다 등 수수료를 받고 있는 기업도 있지만 아직까지 많은 P2P대출기업이 시장 확대를 위해 중개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다. 하지만 벤처캐피털 투자금만으로는 사업유지가 어려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수료 부과는 피할 수 없는 관문인 셈이다.
유료 전환에 대한 이용자의 반발을 풀어가는 것 또한 P2P대출업계의 숙제로 남아있다.
[테크M=조은아 기자(echo@techm.kr)]
-
네이버, 하반기 퍼스널 로봇 내놓는다[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네이버는 로보틱스, 모빌리티, 스마트홈 영역에서 오프라인 어디서도 네이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나 내년 초에 관련 서비스가 출시될 예정이다."네이버의 기술개발 조직인 네이버랩스를 이끌고 있는 박종목 네이버 이사는 28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주관하는 '굿인터넷클럽' 행사에서 네이버가 개발 중인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가 접목된 서비2016-06-28 16:40:12도강호 기자
-
미래부, SW사업 클라우드 우선 적용 명문화[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부 공공기관이 소프트웨어(SW) 사업을 추진할 때 클라우드 컴퓨팅을 우선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규정에 명문화했다. 또 미래부는 정부 공공기관이 국가정보화 사업 이외 SW 사업까지 SW사업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했다.28일 정부관계자들과 SW업계에 따르면, 미래부는 ‘SW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을 개정해 시행에 들어갔다.미래부 장관이 정하는 이 기준은 국가2016-06-28 16:40:05강진규 기자
-
인공지능, 토털서비스...클라우드 대전 승자 변수는[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클라우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IDC는 2015년 발표한 자료를 통해 전체 IT 인프라에서 클라우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27.9%에서 2019년 45.95%로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비용면에서는 2014년 5%에서 2018년 11%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인프라뿐만 아니라 플랫폼과 서비스 비용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전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같은 기간 연평균 22.5% 증가할2016-06-28 09:40:03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