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사람이 기술중독사회의 치료제다
기술중독사회
켄타로 토야마 지음 | 전성민 옮김 | 유아이북스 펴냄 | 1만5000원
기술은 과연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내일을 바꿀 힘이 있는가? 의료기술이 발전했으나 여전히 치료받지 못한 채 죽어가는 이들이 있고, 환경기술이 있지만 여전히 기후변화에 대책은 미흡하다. IT 시대라고 하지만 여전히 컴퓨터를 구경조차 할 수 없는 이들이 존재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기술중독인 이 사회에 다른 치료제가 필요함이 분명하다.
이 책의 저자 켄타로 토야마는 기술로 사회 격차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며 기술을 활용한 여러 프로젝트를 주도했고, 스스로를 기술중독자라 부를 만큼 자신만만했다. 그러나 그는 기술이 다룰 수 없는 인문학적 문제를 발견하게 되면서 시각을 바꾸게 됐다. 기술 발전만이 답이라는 식의 논리에 반기를 든 것이다.
이제 눈을 돌려 기술이 만든 플랫폼 위를 바삐 움직이는 연구자와 사업가, 사용자 등 사람에 주목해 보자. 타야마는 기술을 만들고 이용하는 사람의 영향력이 한참 간과돼 왔음을 발견했다. ‘증폭의 원리’로 설명되는 기술의 사회효과는 사람이 우선시 될 때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어진다. 기술은 있으나 사람이 간과될 때에는 긍정적 증폭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통합 교육구는 교육 시스템에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교육 수준 증진을 기대하며 통 크게 모든 학생에게 아이패드를 줬지만 곧 게임기로 전락하고 말았다. 개입자의 의도가 사용자의 욕구와 맞물리지 못한 것이다.
타야마는 기술중독사회의 치료제로 사람의 ‘내면적 성장’을 제시한다. 기술 적용의 권한을 가진 리더는 개발과 정책 수립 시 과도한 욕심을 삼가고, 기술 실행자는 기술이 잘 적용될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며, 기술 사용자는 기술로 삶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에만 의존하지 않고 사람의 영향력을 존중해 내면적 성장이 일어날 때 내일은 바뀔 것이다.
<본 기사는 테크M 제39호(2016년7월) 기사입니다>
-
네이버, 하반기 퍼스널 로봇 내놓는다[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네이버는 로보틱스, 모빌리티, 스마트홈 영역에서 오프라인 어디서도 네이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나 내년 초에 관련 서비스가 출시될 예정이다."네이버의 기술개발 조직인 네이버랩스를 이끌고 있는 박종목 네이버 이사는 28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주관하는 '굿인터넷클럽' 행사에서 네이버가 개발 중인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가 접목된 서비2016-06-28 16:40:12도강호 기자
-
미래부, SW사업 클라우드 우선 적용 명문화[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부 공공기관이 소프트웨어(SW) 사업을 추진할 때 클라우드 컴퓨팅을 우선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규정에 명문화했다. 또 미래부는 정부 공공기관이 국가정보화 사업 이외 SW 사업까지 SW사업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했다.28일 정부관계자들과 SW업계에 따르면, 미래부는 ‘SW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을 개정해 시행에 들어갔다.미래부 장관이 정하는 이 기준은 국가2016-06-28 16:40:05강진규 기자
-
인공지능, 토털서비스...클라우드 대전 승자 변수는[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클라우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IDC는 2015년 발표한 자료를 통해 전체 IT 인프라에서 클라우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27.9%에서 2019년 45.95%로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비용면에서는 2014년 5%에서 2018년 11%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인프라뿐만 아니라 플랫폼과 서비스 비용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전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같은 기간 연평균 22.5% 증가할2016-06-28 09:40:03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