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ETRI, 5G 핵심기술 '저지연 이동통신' 시연 성공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최수지 인턴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5세대(G) 저지연 이동통신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5G 저지연 이동통신기술은 4G 환경에서 0.02초 이상 걸리는 서비스 지연시간을 10분의 1로 줄이는 기술을 말한다. 5G 시대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로봇, 자율주행차, 원격진료 등의 서비스가 제공될 가능성이 큰 만큼 지연시간이 서비스의 질을 좌우하게 된다.
ETRI는 SK텔레콤 등과 협력해 진행한 역진자 시험에서 5G 국제통신표준제정기관인 ITU-R의 요구사항(1ms 이내의 단방향 무선전송지연)을 만족시켰고, 서비스 지연도 0.002초 내외로 단축했다고 밝혔다.
(ETRI 연구진이 5G 저지연기술 테스트베드 상에서 모바일 로봇의 원격제어 시연을 하고 있다. 5G 로봇은 정해진 길을 따라 지연없이 이동한 반면, 4G 로봇은 지연으로 인해 정해진 길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
5G 저지연 이동통신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예를 들어 차량간 충돌방지 시스템(V2X)이나 수술장비를 실시간으로 정밀제어해야 하는 원격진료, 즉각적인 현실 반영이 필요한 증강현실 등에 유용하다.
향후에는 인간의 감각 중 가장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촉각의 지연시간(0.001초)이 요구되는 ‘촉각 인터넷 서비스’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책임자인 정현규 ETRI 5G기가통신연구본부장은 “이 기술은 5G 핵심기술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극히 짧은 전송지연을 요구하는 새로운 응용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4년부터 50여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논문을 내는 등 5G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해온 ETRI는 국내외 연구협력 강화를 통해 5G 이동통신기술의 표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그동안 ETRI가 개발한 5G 기술은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MHN) 기술 ▲밀리미터파 빔스위칭 기술 ▲징(Zing) 기술 ▲전이중통신(IFD) 기술 ▲매시브(Massive) 미모(MIMO) 기술, 컴팩트(Compact) 미모(MIMO)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최수지 인턴기자 (new@mtn.co.kr)]
-
M&A 솔루션 기업 인트라링크스, 보안 협업으로 영역 확대[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지난해 한국에 진출한 협업 솔루션 업체 인트라링크스가 1년 동안 약 50건의 인수합병(M&A) 프로젝트에 제품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인트라링크스는 보안 협업 솔루션 ‘인트라링크스 VIA’을 출시하고 일반 기업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김선식 인트라링크스 한국사무소 대표는 3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간담회를 열고 “인트라링크스가 1년 전 한국에 진출한 후 약 52016-06-30 16:10:11강진규 기자
-
빅데이터 서비스 본격화 되나...비식별 개인정보 활용 기준 나와[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빅데이터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비식별 개인정보의 기준이 명확해 진다. 정부는 적정한 수준으로 조치한 비식별 정보를 개인정보가 아닌 것으로 보기로 해 이용 가능한 정보의 범위가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국무조정실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에 관한 명확한 기준과 지원, 관리체계를 담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발간한다고 30일 밝혔다. 장한 행정자치부 개인정보보호정책과장은 “그동안 비식별 개인정보를 빅데이터2016-06-30 16:10:08강진규 기자
-
한국 위한 콘텐츠 부족? 넷플릭스 CEO "하반기 기다려달라"(넷플릭스 창업자인 리드 헤이스팅스 최고경영자(가운데)와 테드 사란도스 최고콘텐츠책임자(오른쪽)가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장에서 현지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다. 넷플릭스 가입자들이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연구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소식을 들려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월 한국에서 서비스를 출시한 넷플릭스는 한국 사용자를 위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장에 맞는 별도의 콘텐츠 확충 방안에2016-06-30 16:10:05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