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IBS 연구진, 쉽고 저렴한 3차원 그래핀 합성방법 개발
(유룡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진이 합성한 3차원 그래핀 구조물 모형도. 하얀색으로 표시된 것이 3차원 그래핀 구조물이고, 다양한 색으로 표시된 것이 3차원 그래핀 형성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주형이다.) |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이 저렴하면서도 쉽게 3차원 그래핀을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해당연구는 과학저널 네이처 온라인판에 6월 30일자로 게재됐다.
유룡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교수)이 이끄는 연구진은 제올라이트 주형과 란타늄 촉매를 활용해 다공성 3차원 그래핀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그래핀은 탄소들이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평면 구조물이다.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한 특성 등으로 꿈의 물질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평면 상태로는 이용이 어렵기 때문에 3차원 구조물로 만드는 것이 그래핀 활용을 위한 과제의 하나였다.
연구진은 제올라이트를 이용해 3차원 그래핀 구조물을 만들어냈다. 제올라이트는 실리콘, 알루미늄 등을 주요 구성물로 하는 광물이다. 연구진은 제올라이트의 미세기공을 그래핀으로 체우고 제올라이트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제올라이트를 주물틀로 활용해 3차원 그래핀 구조물을 주조한 것이다.
유 단장은 "그동안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연구는 많았지만 작은 성과를 내는 연구들이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란타늄을 촉매로 이용해 대량의 3차원 그래핀을 성공적으로 합성해냈다"고 연구의의를 설명했다. 특히 "란타늄은 희토류지만 저렴한 물질인 칼슘을 이용해도 돼 값싸게 3차원 그래핀을 만들 수 있다"고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설명했다.
연구진이 합성한 3차원 그래핀은 안정성과 우수한 물성을 갖추고 있어 화학공업용 고효율 촉매 패키징, 고성능 배터리 음극제, 고효율 여과막(멤브레인)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논문에서도 새로 합성된 물질을 리튬이온배터리 음극제로 사용하면 기존 음극제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낸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유 단장은 이번 연구와 관련해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17년째 연구해왔다"며 "이번 논문도 연구를 시작하고 5대째 박사 졸업생이 연구단에 들어와 이뤄낸 성과"라고 설명했다. 논문의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김경우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 연구위원은 유 단장의 제자다.
유 단장은 "앞으로 열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등 새로 합성한 물질의 성질에 대한 특성을 탐구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며 "활용법보다 기초과학 연구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mtn.co.kr)]
-
M&A 솔루션 기업 인트라링크스, 보안 협업으로 영역 확대[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지난해 한국에 진출한 협업 솔루션 업체 인트라링크스가 1년 동안 약 50건의 인수합병(M&A) 프로젝트에 제품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인트라링크스는 보안 협업 솔루션 ‘인트라링크스 VIA’을 출시하고 일반 기업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김선식 인트라링크스 한국사무소 대표는 3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간담회를 열고 “인트라링크스가 1년 전 한국에 진출한 후 약 52016-06-30 16:10:11강진규 기자
-
빅데이터 서비스 본격화 되나...비식별 개인정보 활용 기준 나와[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빅데이터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비식별 개인정보의 기준이 명확해 진다. 정부는 적정한 수준으로 조치한 비식별 정보를 개인정보가 아닌 것으로 보기로 해 이용 가능한 정보의 범위가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국무조정실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에 관한 명확한 기준과 지원, 관리체계를 담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발간한다고 30일 밝혔다. 장한 행정자치부 개인정보보호정책과장은 “그동안 비식별 개인정보를 빅데이터2016-06-30 16:10:08강진규 기자
-
한국 위한 콘텐츠 부족? 넷플릭스 CEO "하반기 기다려달라"(넷플릭스 창업자인 리드 헤이스팅스 최고경영자(가운데)와 테드 사란도스 최고콘텐츠책임자(오른쪽)가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장에서 현지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다. 넷플릭스 가입자들이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연구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소식을 들려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월 한국에서 서비스를 출시한 넷플릭스는 한국 사용자를 위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장에 맞는 별도의 콘텐츠 확충 방안에2016-06-30 16:10:05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