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한동수 KAIST 교수, “특허 강국, 특허 교육에서 시작된다”
2016-07-06도강호 기자

(한동수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대학 1학년 때 특허를 가르쳐야 합니다. 대학 생활에서 생각한 아이디어를 특허로 낼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특허는 일상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이 특허에 대한 생각을 갖고 대학 생활을 한다면 우리나라도 특허 강국이 될 수 있습니다.”
한동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 교수는 대학에서 특허를 적극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교양과목으로 특허의 의미, 특허 내는 법 등 아이디어를 보호할 방법을 체계적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한 교수는 특허에 대한 아이디어는 경험과 관련 있다고 강조한다. 누군가를 만나서 몰랐던 것을 듣는다든지, 특정한 문제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한다든지, 특정한 경험을 하는 가운데 떠오른다는 것이다.
한 교수는 복권 명함을 예로 설명했다. 명함을 받으면 버리거나 명함통에 넣어두는데, 명함에 복권 번호를 쓰고 인터넷에 등록하면 상금을 주는 것이다. 명함 주인에게는 복권을 등록한 사람의 연락처가 자동으로 등록된다. 명함을 교환하는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해소할 아이디어를 특허로 출원된 것이다.
한 교수가 특허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한 것은 벤처기업을 경영하면서부터다. 한 교수는 연구실 창업을 했다. 기업은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지만, 작은 기업이 어려워지면 직원들이 많이 떠난다. 한 교수는 “회사의 가치는 사람에 있는데, 사람이 떠나고 나니 남는 것이 없었다”며 “그때 회사의 가치는 특허에 있다고 깨닫고 특허를 내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이후 한 교수는 스마트폰을 응용한 서비스와 자신의 전공인 실내위치인식 분야에서 50여 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그 중에 30여건이 특허로 등록됐다. 대부분의 특허명세서를 한 교수가 직접 썼다. 경험을 바탕으로 특허를 위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가다듬어 특허를 출원하는 과정에 대한 책 ‘특허 무한도전’도 출간했다.
한 교수는 또 “특허 관련 기술료로 1년에 6조~8조 원을 해외에 지급한다”며 “특허는 기업이 알아서 하도록 두는 것이 아니라 학교든 정부든 연구소든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국내 특허 시장도 더 커져야 국내 특허 제도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특허 수준을 높이려면 변리사, 심판관, 거래자의 수준이 모두 높아야 한다”며 “이는 특허 거래 비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외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특허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특허 활성화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허 없는 논문은 ‘속 없는 찐빵’
한 교수는 특허와 논문이 별개라는 생각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특허는 아이디어고, 논문은 검증”이라며 “특허 요소가 없는 논문은 ‘속 없는 찐빵’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공학 분야의 경우 특허와 논문이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같이 가도록 노력이 필요한 부분인데, 대학의 특허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한 교수는 “미국 대학들도 특허를 출원하게 된 것이 1960년대 이후”라며 “대학이 특허를 내지 않는다는 것은 과거의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mtn.co.kr)]
<본 기사는 테크M 제39호(2016년7월) 기사입니다>
-
SAP, 판교에 '앱하우스 코리아' 개소[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SAP코리아는 6일 SAP디자인&코이노베이션센터 아태지부의 ‘앱하우스 코리아’를 아태지역 최초로 경기도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 개소했다고 밝혔다.(SAP가 6일 경기도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 문을 연)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 1119.73제곱미터 규모로 설립된 SAP 앱하우스 코리아는 국내 소프트웨어(SW)와 글로벌 생태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정부, 기업, 사회,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사회 전반의2016-07-06 19:40:03강진규 기자
-
펄스시큐어,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서비스 출시[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미국 보안기업 펄스시큐어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겨냥한 보안 서비스로 한국시장 공략에 나선다. 수드하카르 라마크리슈나 펄스시큐어 최고경영자(CEO)는 6일 서울 강남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업무환경이 클라우드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한국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을 겨냥해 클라우드 보안 제품을 내놓았다”고 말했다. 수드하카르 라마크리슈나 펄스시큐어 최고경영자가 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시장 공략방안을 발표하고 있다.펄스시큐어는 2014년 10월 주니퍼2016-07-06 18:40:01강진규 기자
-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 발전 지원하는 정책·표준 필요"(스튜어트 리드 STA테스트컨설팅 최고기술책임자가 6일 서울 마포구 누리꿈 스퀘어에서 열린)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테슬라의 사고는 슬픈 사건이다. 정부가 법제를 통해 기술이 할 수 있는 영역을 정할 필요가 있다. 또 좋은 소프트웨어(SW) 테스팅 방법이 있고, 테스팅을 잘 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실패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스튜어트 리드 STA테스팅컨설팅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법제와 테스팅 표준을 통해 기업의 혁신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술은 계속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만큼2016-07-06 17:10:01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