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IP 서 말 꿰어 보배 만드는 발명왕
2016-07-07조은아 기자

(황성재 퓨처플레이 CCO) |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조은아 기자]
황성재 퓨처플레이 최고창의책임자(CCO)는 ‘KAIST 출신 발명왕’으로 유명하다. 그의 이름으로 된 특허 출원 수가 300건이 넘고 기술특허 매각도 30건 이상이다.
황성재 CCO는 “내 꿈은 발명가이자 연구자다. 그런데 내가 만든 그 수많은 특허 중 세상 사람들의 생활양식을 바꾸고 있는 게 뭐가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렇게 많지 않았다”며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를 제품화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고 그 결과가 바로 인공지능 기반 답변 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 플런티”라고 말했다.
다양한 IP 수익화 시도
텍스트 딥러닝 기술 기반 스타트업 플런티는 황 CCO가 고안한 휴먼인터페이스 특허를 바탕으로 설립된 회사다. 새로운 회사에 공동창업자로 합류한 후 황 CCO는 평소에는 IT벤처캐피털 퓨처플레이가 있는 ‘마루180’으로 출근하지만 수요일이면 ‘구글캠퍼스 서울’을 찾아 플런티의 최고제품책임자(CPO)로서 일을 한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요즘이지만 그는 또 다른 창업 프로젝트도 준비하고 있다.
플런티에 이은 새로운 프로젝트는 바로 스마트 디퓨저 스타트업 센티즘이다. 황 CCO는 한번 스틱을 꽂으면 조절이 안 되는 일반 디퓨저와 달리 상황에 따라 양을 조절하거나 향을 바꾸는 제품을 기획 중이다. 이미 웨어러블 기기에 향수를 탑재해 원하는 향기를 내는 기술을 개발해 특허 출원한 상태다.
그는 “가상현실 분야에서 시각과 촉각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 센티즘은 후각을 통해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제품을 선보이려고 한다”며 “특허 출원 후 누군가 내 아이디어를 써주길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스핀오프를 통해 수익화에 성공하게 되면 내 IP의 가치도 함께 올라갈 수 있다”고 전했다.
황 CCO의 연쇄 창업 프로젝트는 지식재산권(IP) 유동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플런티의 센티즘은 시작에 불과하다. 황 CCO는 특허를 활용해 100개의 회사를 세우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황 CCO는 “퓨처플레이에서 스타트업을 지원하면서 신생기업이야말로 IP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남들보다 잘 만드는 것은 삼성이나 구글이 할 몫이다.
스타트업은 남들보다 작은 문제를 빨리 풀어야 한다”며 “알려지지 않은 문제를 먼저 푸는 것에 대한 법적 권리가 IP인데 문제는 한국 스타트업은 먼저 문제를 풀어도 방법을 몰라서 IP를 못 가져간다”고 지적했다.
황 CCO는 퓨처플레이 내에서도 IP 수익화 문제를 풀기 위한 시도를 계속 하고 있다. 스마트웨어아이오(Smartwear IO)가 바로 그것이다. 스마트웨어아이오는 스마트워치를 쓸 만하게 만들 기술을 위한 프로젝트 그룹으로 시작해 웨어러블 기기와 관련된 아이디어를 계속 모아 IP화했고, 지금은 IP중심의 R&D 프로젝트로 발전했다.
황 CCO는 “어떤 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냈을 때 그 중에 시장에서 의미 있는 게 있다면, 회사를 세워 도전을 할 수도 있고 특허적 가치를 패키지화해서 필요한 기업에 팔 수도 있다”며 “다양한 IP 수익화 방법을 통해 IP로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전했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조은아 (echo@mtn.co.kr)]
<본 기사는 테크M 제39호(2016년7월) 기사입니다>
-
때 이른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도입 지원사업[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정부가 공공기관들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촉진을 위해 지원에 나선다. 하지만 공공기관들이 도입할 수 있는 서비스가 아직 없고 서비스 도입과 관련해 아직 모호한 부분들도 많아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9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지난 7일 2016년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선도활용 지원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공지했다.NIA는 오는 21일까지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공공기관들의 신청을 받고 심의를 거쳐 이달 말까지 3~4개의 대상기2016-07-09 11:40:01강진규 기자
-
기계와 인간, 아직은 서로의 힘이 필요하다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 IBM의 인공지능 로봇 ‘나오미’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뽐내고 있다. 과학계와 산업계에서는 인공지능의 긍정적 효과에 주목하며 머지않아 도래할 인공지능 주도의 4차 산업혁명을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과 관련해 걱정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다. 인간이 설 자리를 잃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실제 최근 미국의 한 로펌에서는 인공지능 변호사를 채용했고, 중국에서는 인공지능 기자가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류에 축복일까 혹은 재앙일까.2016-07-09 01:10:06김주영
-
[테크&가젯] 전기와 통한 자전거, 오토바이(GeoOrbital Wheel(www.kickstarter.com). 미정) 일반 자전거도 간단하게 전기로 달리게 할 수 있다. ‘지오오비탈 휠’은 전동 어시스트다. 이 제품은 자전거 본체 앞바퀴에 장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가장 큰 장점이라면 역시 장착이 쉽다는 것. 1분 남짓이면 평범한 자전거라도 전기 모델로 바꿔버릴 수 있다. 레버를 이용해 조이면 된다. 이렇게 하면 시속 32㎞에 이르는 속도로 쾌적하게 달릴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연속주행거리도 48㎞로 상당히 긴 편이2016-07-09 01:10:04이석원 테크홀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