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헬스케어·스마트카·스마트홈 관심도 특허도 집중
2016-07-12도강호 기자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 맥킨지가 지난해 6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 시장은 2025년에 3조900억~1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2020년 IoT에 의해 연결된 사물의 개수도 2013년보다 10배 증가한 260억 개에 이를 전망이다.
IoT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큰 성장이 기대되는 만큼 많은 회사들이 뛰어들어 기술개발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IoT가 네트워크, 기기, 플랫폼, 서비스,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필요한 만큼 통신사, 플랫폼 기업, 솔루션 기업, 하드웨어 및 칩셋 제조사에 스타트업까지 뛰어들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서비스에 집중되는 IoT 특허
IoT 관련 기술의 특허 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2008년까지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다가 2009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08년까지는 M2M(Machine to Machine)을 비롯한 기기 간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과 서비스 분야의 특허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이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 IoT 기기와 관련 서비스의 증가와 함께 표준화, 플랫폼 및 기술 선점을 위한 특허 출원 경쟁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위 20위까지 특허출원인을 보면 미국기업이 IoT 분야의 특허출원을 주도하고 있는 양상이다. 삼성이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후 순위 가운데 17개를 미국기업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순위를 살펴보면 퀄컴이 2위, 구글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기업을 제외하면 4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5위 소니, 8위 에릭슨, 11위 LG 등이 뒤를 잇고 있다.
기술 분야별로 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전체 출원 건수 가운데 서비스 분야가 5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분야는 꾸준히 특허 출원 건수에서 다른 분야를 압도하고 있어 각 기업들의 관심이 높은 분야로 평가된다.
서비스 분야의 뒤를 잇는 것은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분야다. 서비스와 비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최근 2년 동안 디바이스 분야의 특허 출원은 증가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분야의 특허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IoT의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 연구보다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관심이 집중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플랫폼이나 보안 분야는 그 중요성에 비해 특허 출원 건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은 기업들은 실제 IoT 제품과 서비스에 집중하고, 몇몇 큰 IT 기업들만이 플랫폼과 보안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각 분야를 더 세분화해서 보면 디바이스 분야에서는 웨어러블 기기보다 비웨어러블 기기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구성 간 네트워크, 즉 기기 간 통신에 대한 기술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플랫폼 분야에서는 네트워크 플랫폼이, 보안 분야에서는 네트워크·통신 보안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특허 출원 수 자체는 많지 않았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헬스케어 30%, 스마트카 21%, 스마트홈 17%, 스마트 시티 13%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최근 IoT 관련해 관심이 높은 주제들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웨어러블 기반 헬스케어 특허 급증
IoT 디바이스에서 웨어러블 기기 특허는 비웨어러블에 비해 비중이 낮지만 헬스케어와 관련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분야는 NPE의 특허 보유 비중이 높아 향후 특허 분쟁의 가능성도 높은 분야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기술은 200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출원되기 시작해 2010년대 초반부터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국가별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우 꾸준히 특허 출원인 수와 특허 출원 건수가 모두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일본과 유럽은 두 수치 모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율로는 미국이 48%로 가장 높고, 우리나라가 30%, 일본이 18%로 뒤를 이었다.
착용 형태별로는 수족 착용형이 57.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의류형이 12.8%, 접착형이 12.5%로 뒤를 잇고 있다.
기업으로는 미국의 핏빗이 다른 기업들을 압도하는 특허 출원수를 보이며 수족 착용형 기술을 이끌고 있다. 특히 미국에 등록된 특허들은 질적 수준이나 시장확보력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다른 기업들은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 필연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특허 출원이 증가하고 있는 안면 착용형, 접착형, 이식형 웨어러블 기기 분야가 유망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이들 방식은 의료서비스의 관심이 건강관리 영역으로 넘어가면서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진단, 수술 및 치료 영역으로도 확장한다면 상용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웨어러블 기반의 헬스케어 특허 동향 분석 보고서에서 수족 착용형의 경우 최근 가장 급격하게 특허가 증가하고 있는 분야이지만 위험 부담이 높은 분야로 평가했다. 핏빗을 비롯한 미국 기업이 수족 착용형 기술 개발에 집중하면서 공백 기술이 적고, 특허 장벽이 높아 새롭게 진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대신 안면 착용형 분야와 이식형 분야에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두 분야 모두 공백기술이 많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비접착형 분야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평가됐다.
[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mtn.co.kr)]
<본 기사는 테크M 제39호(2016년7월) 기사입니다>
-
MS-한컴, 경기도 교육청 오피스 공급 경쟁 치열[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한글과컴퓨터가 경기도 교육청 오피스 소프트웨어(SW) 시장을 높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한국MS는 경기도 교육청이 클라우드 기반 '오피스 365'를 본청 및 산하기관, 도내 교육현장에 도입한다고 13일 밝혔다.한국MS는 경기도 교육청과 클라우드 기반의 구독형 서비스인 '오피스 365 에듀케이션 에디션'을 추가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MS에 따르면, 경기도 교육청은 교육용 SW로 오피스 365를 선정했으며 본청 및 산하기2016-07-13 21:10:01강진규 기자
-
작년 매출 300억원 이상 SW 관련 기업 200개 육박[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지난해 3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소프트웨어(SW) 기업이 187개로 2014년(177개)보다 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SW기업은 62개로 2014년보다 6개 늘어났다.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는 13일 ‘2016년 SW천억클럽’을 발표했다.SW산업협회는 2012년부터 SW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매출액 규모에 따라 1조 원, 5000억 원, 1000억 원, 500억 원, 300억 원 등 매출액 구간별2016-07-13 18:10:03강진규 기자
-
정보보호의 날 행사 개최...이임영 순천향대 교수 등 포상[머니투데이방송 테크M = 강진규 기자]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정보보호의 날’ 행사가 열려 정보보호 증진에 기여한 13명과 1개 단체에 정부 포상이 수여됐다. 미래창조과학부, 행정자치부, 국가정보원은 13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에서 ‘제5회 정보보호의 날’ 정부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관계부처, 국회, 정보보호 유공자, 공공민간 담당자, 일반국민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정보보호 유공자에 대한 정부 포상을 수여하고 대통령 축하 영상 메시지, 정보보호 홍보 동영상을 통해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알렸다2016-07-13 15:40:01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