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현재와 미래 경로 실시간 바꾸는 뇌 GPS에서 상상력 실마리 얻어
뇌는 어떻게 상상을 할까. 아직까지 과학자들은 뇌가 어떻게 미래를 실시간으로 상상하며 다양하게 의사결정을 하는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미국 샌프란시스코캘리포니아대학(UCSF) 연구진이 쥐를 이용한 미로 연구로 이에 대한 실마리를 제시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1월 30일(현지시간)에 게재됐다.
UCSF 통합신경과학센터 하워드휴즈의학연구소의 로렌 프랭크 생리학 교수 연구진은 쥐를 M자 모양의 미로를 탐사하도록 했다. 그리고 신경GPS시스템처럼 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장소세포’라고 부르는 해마에서 뉴런의 움직임을 기록하도록 했다.
연구진은 쥐들이 미로에서 갈림길에 도달하자 장소세포가 초속 8회 속도로 매우 빠르게 왔다갔다 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장소세포가 앞뒤로 움직이며 반대 방향으로 여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장소세포 움직임을 ‘여기 내가 있고, 왼쪽으로 갈까, 오른쪽으로 갈까’라는 상상과 ‘이쪽으로 가지만 돌아서 다른 방향으로도 갈 수 있어’라는 상상 두 가지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때 연구진은 장소세포의 움직임이 쥐가 선택을 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하지만 결정해야 할 지점에 가까워질수록 움직임이 강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해마가 상상 시나리오를 메뉴처럼 마련한 다음, 과거의 경험이나 가치를 토대로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상상력은 생존에도 중요하다. 사람이 호랑이 같은 맹수에게 쫓길 때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갔을 때와 오른쪽으로 갔을 때를 상상하며 한쪽을 선택한다. 이때 떠올린 상상력이 미래를 좌우하는 셈이다.
프랭크 교수 연구실에서 연구를 주도한 컬럼비아대학 박사후연구원 케네스 케이는 “실제와 상상이 서로 전환되는 현상은 많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내기 위한 강력한 시스템처럼 보인다”며 “해마가 우리의 상상 능력의 근원일지 모른다”고 말했다.
해마는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핵심이다. 과학자들은 1970년대에 이 해마에서 장소세포를 처음 발견했다. 장소세포는 동물들이 탐사할 때 자연스럽게 새 환경 지도를 만든 다음 나중에 사용하려고 이를 저장한다. 이 발견은 2014년 노벨생리의학상으로 이어졌다.
-
아이메코,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방향 주제로 세미나 개최아이메코는 오는 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넥스트 제너레이션 네트워킹' 세미나를 주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주요 증권, 선물사를 대상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의 발전 방향 및 SDN(Soft Defined Network)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을 소개하는 자리다.세미나에는 아리스타네트웍스 코리아 김혁 상무가 발표자로 나서 'SDN 기반의 자동화 기술 및 텔레메트리(Telemetry)를 통한 획기적인 네트워크 개선 방안'에 대해 소개한다. 아리스타 리프 스파인 기반의 차세대2020-02-04 15:41:20테크엠 허준 기자
-
필수 서비스 된 배민 타다 직방 야놀자... 작년에만 3조원 벌었다배달의민족, 타다, 직방, 야놀자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이른바 O2O 서비스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O2O 서비스 기업들이 벌어들인 매출이 3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성장률도 30%에 달한다.◆과기정통부, 국내 O2O 시장 현황 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활성화 기반 조성을 위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O2O 서비스 시장 현황을 파악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이뤄졌다.이 조사에 따르면 O22020-02-04 15:29:36테크엠 허준 기자
-
BTS 홀로그램 콘서트 나오나... SKT, 3D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 연다기업들이 손쉽게 홀로그램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3D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가 이르면 올 상반기 서울에 문을 엽니다. SK텔레콤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혼합현실 캡처 스튜디오 기술을 도입해 준비 중이라고 알려왔습니다.◆혼합현실?혼합현실(MR, Mixed Reality)이라는 용어는 낯설 수 있습니다. 혼합현실은 이미 많이 알려진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술의 장점만을 흡수한 기술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포켓몬고'로 잘 알려진 증강현실(AR)은 현실 공간에 가상 이미지를 입혀 보여주는 기술2020-02-04 11:30:11테크엠 허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