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뜻밖에 일어난 터널 붕괴, 뜻과는 어긋난 사회 붕괴
2016-07-24주다은 인턴기자

터널
내가 지나던 터널이 무너진다면? ‘터널’은 익숙한 소재와 주인공으로 그려낸 재난 영화다. 명품 생존 연기를 펼치는 하정우(정수 역)와 그의 구조를 애타게 기다리는 배두나(세현 역), 포기를 모르는 구조대장 오달수(대경 역)가 호흡을 맞춘다. 메가폰은 ‘끝까지 간다’로 연출력을 인정받은 김성훈 감독이 잡았다.
정수는 자동차 영업대리점의 과장이다. 큰 계약이 성사된 날인데다 딸의 생일을 맞아 기쁨만 누리게 될 줄 알았다. 그러나 그 기쁨은 얼마 못 가 어두운 터널에 잠식되고 만다. 터널 붕괴. 단 한 명의 생존자. 온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정부의 구조작업이 시작된다. 하지만, 진척 없는 구조 상황에 정수와 세현, 정부와 국민은 서로 다른 이유로 울상이 돼 간다. 구조작업 중단을 외치는 자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정수는 무사히 구조될 수 있을 것인가. 보수해야 하는 곳은 과연 터널뿐인가.
우리에게 익숙한 재난 영화들은 현실과 다소 동떨어진 재난을 그린다. 안타까워할 겨를도 없이 순식간에 수많은 희생자가 스크린을 메운다. 주인공은 이에 맞서 스스로 자신의 생명줄을 지켜낸다. 터널은 이 지점에서 색다르다. 출퇴근길 터널에서 누구나 겪을 법한 재난이 일어난다. 급기야 유일한 희생자의 생명줄이 사회에 던져진 설정으로 생명의 가치 앞에 선 자들의 이기심을 그대로 드러낸다.
한 사람은 천하보다 귀한 법. 그러나 이 천하에는 한 생명을 온전히 바라보지 못하게 하는 것이 너무나도 많다. 영화는 무너진 터널의 참상을 사회의 어그러진 단면까지 연장한다. ‘터널’이 고발하는 사회적 재난은 그들의 어긋난 뜻대로 일어난, 충분히 피할 수 있는 것이었다.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 너머 진리의 빛을 볼 자는 누가 될 것인가. 사회에 내던져진 정수의 생명줄을 붙잡는 자는 누구일지 영화를 통해 확인하자. 8월 10일 개봉
<본 기사는 테크M 제40호(2016년8월) 기사입니다>
-
더존비즈온, 상반기 영역이익 177억 원…작년보다 70% 증가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은 상반기에 영업이익이 17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6%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과 순이익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각각 17.1%, 54.4% 오른 845억 원, 129억 원을 기록했다.더존비즈온은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 사업에서 대기업 시장 수주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신사업인 클라우드 사업 비중을 전체 매출 규모의 16%까지 늘린 점도 작용했다.더존은 지난 2분기에는 연결기준 매출 423억 원, 영업이익 97억2016-07-25 12:40:04강진규 기자
-
ETRI, 메이커 교육 위한 교원 연수 실시(ETRI는 지난 6월 인청시동부교육지원청 소속 교육전문직원 20여명을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세미나를 개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5일부터 3일간 현직 교사 79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위한 메이커 교육’ 교원 직무연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메이커 교육은 학생들이 오픈소스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 3D프린팅 등을 활용해 직접 제품을 설계·제작해보는 교육이다. 교사들은 이번 연수기간 메이커 교육을 위한 이론 및 실습교육을 받는다. 연수 첫 날은 메이커 교2016-07-25 12:40:02도강호 기자
-
중국 IP에 대한 오해 7가지세계 경제가 불안한 가운데 있고 중국의 성장둔화에 대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높지만, 여전히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경제 성장 잠재력을 가진 나라이며, 이제는 미국에 이어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한국의 우수한 소비제품과 서비스산업을 각종 한류 문화 콘텐츠를 통해 경험한 중국의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중국 기업들은 앞다퉈 한국의 제품과 서비스 산업을 수입하거나 베끼고 있다. 그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중국에서의 지식재산권 보호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오해하고 있는2016-07-25 11:10:01유성원 지심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