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유전자 가위 특허 싸움 치열 헬스케어 IT 성장 주목

2016-07-22함혜정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변리사




바이오 산업은 미래의 신성장동력원으로 크게 조명 받고 있다. 바이오 산업에 대한 장밋빛 전망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지만, 최근의 발전상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양상이 조금 다르다.

이는 3대 바이오 산업 분야인 레드바이오(의약품 관련), 그린바이오(농업), 화이트바이오(산업 관련) 산업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바이오 기술과 IT-NT와의 융·복합 기술(BT-IT-NT)로의 범위 확대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 중 바이오·제약산업의 경우 글로벌 제약시장의 규모가 2015년 1조 달러에서 연평균 4~7%씩 성장해 2020년에는 1조4000억 달러(약 1617조7000억 원)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BT-IT-NT 융·복합 기술 급성장 전망


BT-IT-NT 융·복합 기술의 경우 아직은 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향후 가파른 성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 산업의 성장세는 국내외 바이오 산업 분야 특허 출원동향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국내 바이오 분야 특허 출원은 2010년 5987건에서 2014년 7429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내국인의 특허 출원은 2010년 4339건에서 2014년 5400건으로 계속적 증가를 보이고 있고, 최근 바이오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와 정부의 육성 노력이 더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특허 출원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해외 국가 중에는 중국의 특허 출원 증가세가 가파르다. 1995~2014년 중국 내 IP 출원 건수는 연평균 16.3%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4년 기준 중국의 자국내 바이오 산업 분야의 특허 출원 건수는 8만3577건에 달해 바이오 분야는 가장 출원을 많이 한 기술 분야에 해당한다.

중국이 IT와 함께 바이오 기술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인도 등 파머징(Pharmerging) 국가로도 불리는 의약품 신흥시장 국가에서도 바이오 시장을 주력 육성 산업 분야로 지원하고 있다. 전통적인 바이오 강국뿐 아니라 이들 파머징 국가와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를 대비한 IP 선점 전략 구사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빠른 출원만으로는 부족하고, 향후 시장 주도 및 특허분쟁까지 대비한, 질적으로 우수한 IP 전략이 병행돼야 할 것이다.






바이오 산업의 질적 성장과 관련해 BT-IT-NT 융·복합 기술 분야의 경우 수년전부터 국내의 관심과 투자는 증가해 왔지만, 특허분석 결과 아직까지는 기술 경쟁력과 IP 경쟁력을 확보하기 시작하는 단계로 보인다.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선정한 미래성장동력 13대 분야에 대해 특허분석을 시행했는데, 바이오 기술과 IT 융합 기술인 맞춤형 웰니스케어(IT-BT를 융합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개인 맞춤형으로 관리하는 기술)는 국내 특허출원 수가 적고, 해외 출원 국가 수도 적어 13대 미래성장동력 중에서 최하 수준으로 분석됐다.

시장조사기업 프로스트앤설리번 보고서에 따르면, BT-IT-NT 융합기술 분야(헬스케어 IT)가 전체 바이오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직까지는 낮지만, 바이오 분야 중에서 가장 성장세가 높은 기술 분야로 예측된다. 따라서 향후 중요 시장이 될 이 분야에서의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IP 선점이 절실해 보인다.

최근 바이오 분야에서 주목되는 특허분쟁 이슈는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기술에 대한 것이다.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원하는 대로 자르고 편집하는 기술이다. 3세대 유전자 가위 기술로 불리는 크리스퍼 기술은 기존 기술에 비해 정교함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어 적게는 수억 달러에서 많게는 수십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돼 누가 특허권을 가져가느냐를 두고 치열하게 법적 공방을 벌이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2012년 전후로 연이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존속기간 만료(patent cliff)로 국내 제약업계도 제네릭 또는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내에 도입된 허가·특허 연계제도 중 우선판매품목 허가제도의 시행시점인 2015년 상반기에 제네릭사들이 주도한 의약품 분야 특허심판청구의 폭발적 증가가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그 열기가 다소 누그러진 상태이며, 향후에는 단순한 심판청구보다는 철저한 특허분석을 토대로 전략적인 특허 도전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기사는 테크M 제39호(2016년7월) 기사입니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