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클라우드 도입하는 공공기관에 가점 준다
2016-07-26강진규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 적극적인 공공기관에 대해 올해부터 기관평가 시 가점을 부여한다고 26일 밝혔다.
행자부는 공공기관 정부3.0 실적평가 시 올해 클라우드 이용계획에 대해 총 3점의 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는 정식으로 정부3.0 평가지표에 클라우드 부문을 추가해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에 충분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행자부는 정부3.0 평가 시 총 100점의 평가점수에서 공공기관이 2017년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할 경우 추가적으로 총 3점의 가점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정부3.0 평가결과는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된다.

행자부와 미래부는 기재부 경영평가 대상 공공기관 수가 총 119개로, 기관 간 평가점수가 소수점 이하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어 클라우드 부문 추가가점의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행자부는 내년부터 정부3.0 평가지표에 클라우드 활용 성과를 정식배점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전성태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은 지능정부 구현, 업무처리 및 협업환경 혁신 등에 변화를 불러와 정부3.0을 한층 발전시킬 것”이라며 “정부3.0이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활성화에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행자부는 공공기관 정부3.0 실적평가 시 올해 클라우드 이용계획에 대해 총 3점의 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는 정식으로 정부3.0 평가지표에 클라우드 부문을 추가해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에 충분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행자부는 정부3.0 평가 시 총 100점의 평가점수에서 공공기관이 2017년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할 경우 추가적으로 총 3점의 가점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정부3.0 평가결과는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된다.

(출처: 행정자치부) |
행자부와 미래부는 기재부 경영평가 대상 공공기관 수가 총 119개로, 기관 간 평가점수가 소수점 이하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어 클라우드 부문 추가가점의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행자부는 내년부터 정부3.0 평가지표에 클라우드 활용 성과를 정식배점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전성태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은 지능정부 구현, 업무처리 및 협업환경 혁신 등에 변화를 불러와 정부3.0을 한층 발전시킬 것”이라며 “정부3.0이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활성화에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자율주행·AI·O2O…스마트 커넥티드의 미래를 논한다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 스마트 커넥티드 기술의 세계적 변화를 논의하는 국제 포럼이 열린다.8월 17일부터 19일까지 경기도 수원 노보텔 앰배서더 호텔에서 ‘스마트 커넥티드 월드(SmartConnectde.World) 2016’이 개최된다. 이번 포럼에서는 자율주행 스마트카 기술, 인공지능을 활용한 주식시장 예측,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결 분석, 한·중·일 3국 O2O(Online to Offline) 현황 등 스마트 커넥티드2016-07-27 11:40:03마송은 기자
-
태양광만으로 날아 세계일주한 솔라임펄스2(505일간의 태양광 비행기 ‘솔라 임펄스2(Solar Impulse2)’ 운항을 마친 베르트랑 피카르(오른쪽)와 앙드레 보슈베르가 손을 흔들며 활짝 웃고 있다.) 하늘을 날고 싶어 하던 인간의 욕망은 이제 연료 없이 하늘을 나는 꿈을 꾸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마침내 그 꿈이 이뤄졌다. 미국 뉴욕타임스 등 외신은 작년 3월 9일 UAE 아부다비에서 출발한 태양광 비행기 ‘솔라 임펄스2(Solar Impulse2)’가 26일(현지 시각) 새벽 최종 목적2016-07-27 11:10:03마송은 기자
-
토종 핀테크 IP, 글로벌 특허장벽 대비해야전 세계적으로 핀테크 업체들이 금융·결제 서비스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아이폰에서 촉발된 모바일 혁명이 정보기술(IT)과 금융의 융합을 촉진했고, 모바일 앱 및 보안시장의 빠른 성장이 핀테크 시장의 확대를 가져왔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 규모 또한 2008년 9억2000만 달러에서 2013년 29억7000만 달러로 3배 이상 성장했다. 핀테크(Fintech)란 금융(Finance)과 기술(Tech)을 결합한 신조어로, 빅데이터 분석, 지급결제, 인터넷 전문은행, SNS·소셜스코어링, 크라우드펀딩업2016-07-27 11:10:01구태언 테크앤로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