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인류 최초 화성 탐사 로봇 ‘필레’, 무엇을 남겼나
2016-07-28마송은 기자
![인류 최초의 혜성 탐사 로봇 필레가 지난 27일(현지시간) 지구와의 영원한 작별을 고했다. [출처: 유럽우주구(ESA) 트위터]](http://techm.kr/data/editor/1607/1981902326_1469670825.20123.jpg)
(인류 최초의 혜성 탐사 로봇 필레가 지난 27일(현지시간) 지구와의 영원한 작별을 고했다. [출처: 유럽우주구(ESA) 트위터]) |
태양계 형성의 비밀을 풀기 위해 혜성 탐사 임무를 맡았던 인류 최초의 혜성 탐사선 ‘필레(Philae)’가 지구와 영원한 작별을 고했다.
독일 항공우주연구소(DLR)는 27일(현지시간) “오늘 필레와의 통신망을 끊었다”며 “인류와 과학을 위한 성공적인 임무가 끝났다”고 밝혔다.
필레는 유럽우주국(ESA)이 2004년 혜성 탐사를 위해 발사한 로제타(Rosetta)호와 함께 임무를 수행한 탐사로봇이다. 세탁기 크기의 이 탐사로봇은 2014년 11월 12일 67P 혜성 표면에 착륙했다.
그러나 필레의 혜성 착륙은 처음부터 녹록치 않았다. 착륙 도중 필레를 혜성에 고정시키는 작살에 문제가 발생해 튕겨 나가는 사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필레는 예상 착륙 지점에서 벗어나 절벽의 그늘진 곳에 자리를 잡게 됐다. 이 사고로 필레는 초기 충전됐던 배터리가 방전돼 7개월 동안 깊은 잠에 빠지기도 했다. 태양광을 충분히 받지 못해 배터리 충전이 더뎠기 때문이다.
이후 지난달 14일(현지시간) 필레가 로제타호에 신호를 보내오면서 필레의 혜성 탐사 임무 수행이 다시 시작됐다. 필레는 독일의 지상팀과 85초간 교신하면서 혜성 표면의 데이터를 보내왔다.

(필레가 혜성에 착륙해 처음으로 보낸 혜성의 모습. 사진=유럽우주국(ESA)) |
필레는 탐사 과정에서 혜성의 가스와 표면 물질에서 생명의 기원이 될 수 있는 ‘유기 분자’를 발견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유기 분자는 생명의 기본 원소인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필레는 혜성 표면이 예상외로 딱딱하다는 사실도 알려왔다. 해머와 드릴을 이용해 혜성 표면을 뚫는 임무를 수행했지만, 깊은 곳까지 도달하지는 못했다.
한편, 2004년 3월에 발사된 로제타호는 혜성 위성궤도에 머물다가 오는 9월 30일 필레가 착륙했던 지점으로 내려가 임무를 마칠 예정이다.
[테크M = 마송은 기자(running@techm.kr)]
-
적응형 교육 토익 앱…한 문제씩 맞춤형으로 제공많은 교육기업, 에듀테크 기업들이 토익(TOEIC) 관련 스마트폰 앱을 제공하고 있다.그 중 돋보이는 기업이 바로 ‘산타토익(Santa for TOEIC)’. 얼핏 산타토익을 제공하는 뤼이드를 토익교육기업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뤼이드는 맞춤형 교육 기술인 적응형 교육(Adaptive Learning)을 기반으로 토익을 공부할 수 있게 돕는 회사다. 교육 콘텐츠라기 보다는 소프트웨어 기업이라고 하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장영준 뤼이드 대표는 미2016-07-29 15:40:03강진규 기자
-
7개 기업 출자 AI 씽크탱크 '지능정보기술연구원' 출범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현대자동차, 한화생명 등 7개 기업이 공동 출자한 민간 주도 인공지능(AI) 씽크탱크 지능정보기술연구원이 출범했다.지능정보기술연구원은 기업들이 상용화 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하고 또 5년 간 750억 원 규모의 정부 국책과제도 수행할 예정이다.(김진형 초대 지능정보기술연구원장이 29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능정보기술연구원 운영방안을 발표하고 있다.)김진형 초대 지능정보기술연구원장은2016-07-29 15:40:01강진규 기자
-
기술트렌드, 타깃시장 모두 IP에 있다최근 수년간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및 내수 경기 침체 여파가 계속되고 있다. 급속한 기술의 발전과 카피캣들의 등장, 업종 간 융합 등으로 치열해진 경쟁 속에서 기업들이 느끼는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를 대변하듯 1996년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중 2015년 500대 기업으로 남은 곳은 93개, 약 18%에 불과하다. 1996년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 속해있던 노키아와 코닥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세계 시장을 주도해 왔다. 하지만 애플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한 순간 몰락했다. 세계2016-07-29 00:10:01박은영 윕스 전략기획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