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SW정책연구소, "법적 효력 없는 개인정보 비식별 가이드 한계"
2016-08-01도강호 기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1일 정부가 제시한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한계를 지적하는 보고서를 발간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들은 가이드라인이 법적 기준은 아니지만 개인정보 활용을 위한 지침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해명했다.
정부는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산업계의 요구에 따라 지난 6월 30일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비식별 정보는 개인정보가 아니라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가이드라인은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의하면서도, 해당 정보의 입수 가능성과 다른 정보와 결합 가능성 등에 따라 개인 정보의 대상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SW정책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비식별화 기술과 가이드라인을 잘 활용할 경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도 개인정보를 산업적으로 활용해 서비스와 기술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이 법적 효력이 없다는 한계를 함께 지적했다. 정부의 가이드라인은 법적 효력이 없는 참고자료이기 때문에 사법부의 판단에 따라 개인정보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SW정책연구소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개인정보 관련 법 개정을 포함한 개인정보 관리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개인정보의 정의에 관한 법개정을 검토, 개인정보의 오남용을 막기 위한 비식별정보의 유통에 대한 당국의 관리체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개인정보보호의 컨트롤타워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SW정책연구소 보고서에 대해 가이드라인 발간에 참여한 고상범 금융위원회 신용정보팀장은 “가이드라인은 행정부에서 현행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제시한 유권해석”이라며 “행정부의 유권해석을 사법부에서 참고만 할 수도 있지만 유권해석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재형 미래창조과학부 융합신산업과장은 “가이드라인에 따르더라도 100% 법적 문제가 없다고 장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보고서에서도 사법부의 참고자료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고 지적했다. 가이드라인이 법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지침으로서의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현승 SW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정부에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하반기에 법제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던 만큼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정부는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산업계의 요구에 따라 지난 6월 30일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비식별 정보는 개인정보가 아니라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가이드라인은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의하면서도, 해당 정보의 입수 가능성과 다른 정보와 결합 가능성 등에 따라 개인 정보의 대상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SW정책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비식별화 기술과 가이드라인을 잘 활용할 경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도 개인정보를 산업적으로 활용해 서비스와 기술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이 법적 효력이 없다는 한계를 함께 지적했다. 정부의 가이드라인은 법적 효력이 없는 참고자료이기 때문에 사법부의 판단에 따라 개인정보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SW정책연구소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개인정보 관련 법 개정을 포함한 개인정보 관리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개인정보의 정의에 관한 법개정을 검토, 개인정보의 오남용을 막기 위한 비식별정보의 유통에 대한 당국의 관리체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개인정보보호의 컨트롤타워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SW정책연구소 보고서에 대해 가이드라인 발간에 참여한 고상범 금융위원회 신용정보팀장은 “가이드라인은 행정부에서 현행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제시한 유권해석”이라며 “행정부의 유권해석을 사법부에서 참고만 할 수도 있지만 유권해석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재형 미래창조과학부 융합신산업과장은 “가이드라인에 따르더라도 100% 법적 문제가 없다고 장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보고서에서도 사법부의 참고자료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고 지적했다. 가이드라인이 법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지침으로서의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현승 SW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정부에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하반기에 법제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던 만큼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
정부, 정보화진흥원-지역정보개발원 클라우드 업무 구분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의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업무가 명시적으로 구분됐다.2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 위탁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업무’를 7월 27일 고시하고 28일 관보에 게재했다.행자부 관계자는 “정보화진흥원은 국가, 공공기관과 산하기관을, 지역정보개발원은 지자체와 지방공기업 등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지원하도록 전문기관으로 지정한 것”이라2016-08-02 14:40:03강진규 기자
-
시만텍, 블루코트 인수 완료...매출 4조6000억원 보안기업 탄생글로벌 보안기업 시만텍이 웹보안 솔루션 업체 블루코트 인수를 완료해 세계 최대 보안업체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시만텍은 인수 후 올해 추정 연매출이 4조6000억 원(42억 달러)으로 5조원 매출 기업으로 도약이 눈앞에 다가왔다.2일 시만텍은 블루코트 인수를 완료해 업계 최대 규모의 사이버 보안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게 됐다고 밝혔다.그렉 클라크 신임 시만텍 최고경영자(CEO)는 “블루코트가 시만텍의 일원이 됨으로써 모바일 업무환경 보호, 클라우드 보안, 지능형 위협 차단 등 보안 업계의 최대2016-08-02 14:10:03강진규 기자
-
사이버테러 수사에도 프로파일링 기법 적용한다살인, 유괴 등 강력사건 수사에 주로 활용되는 프로파일링 기법이 사이버테러 수사에도 적용된다. 2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경찰청은 오는 10월까지 사이버테러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할 방침이다. 프로파일링은 범죄 현장을 분석해 범인의 습관, 나이, 성격, 직업, 범행 수법 등을 추론하고 이를 바탕으로 범인을 찾아내는 수사 기법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프로파일링 기법은 경찰 내부에서 연쇄살인범 등 강력사건 수사에 많이 사용되는 과학수사 기법이다”라고 말했다. 경찰청이 사이버테러에 프로파일링2016-08-02 14:10:01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