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클라우드 가이드라인 쏟아진다…도입기관 도움 불구 혼선 우려도

2016-08-04강진규 기자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 기관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관련 가이드라인과 안내서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해석되지만 여러 기관들이 내용을 쏟아내면서 사용자와 기업들에게 혼선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4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지난달 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품질·성능 안내서'를 공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4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 신뢰도를 향상시키겠다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품질?성능에 관한 기준’을 고시했다. 고시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성능의 조기 향상을 위한 기본적인 측정기준을 제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NIPA의 이번 안내서는 자세한 품질, 성능 기준을 담았다.

NIPA 관계자는 “사용자들이 민간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신뢰할 수 있도록 품질, 성능 등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을 담고 있다”며 “사용자들도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사용 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IPA뿐 아니라 최근 정부 공공기관들이 클라우드 관련 가이드라인, 안내서를 내놓거나 준비하고 있다.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6일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기준을 설명하고 있다.

지난달 8일에는 허창언 금융보안원장이 기자간담회를 열고 10월 중 금융권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 가이드라인을 배포한다고 밝혔다. 금융권에 특화된 클라우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각 기관들이 발표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가이드라인, 안내서
각 기관들이 발표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가이드라인, 안내서

또 지난달 14일에는 국가정보원이 ‘국가ㆍ공공기관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가이드라인’을 정부 공공기관에게 책자 형태로 송부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정부 기관들이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시 필요한 보안 사항과 금지 사항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공개 요청에 국정원은 “국가안전보장, 국방, 통일, 외교관계 등에 관한 사항으로 공개될 경우 국가의 중대한 이익을 현저히 해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정보로 비공개한다”고 답했다.

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5년만에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호 안내서’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2011년 10월 방송통신위원회와 KISA가 만든 안내서를 올해 말까지 전면 개편하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밖에 다른 기관들도 클라우드 관련 가이드라인이나 안내서를 내놓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각 기관들이 클라우드 관련 가이드라인과 안내서를 선보이는 것은 정부의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기관과 서비스 제공 업체들을 위한 기준들이 마련되는 것이다.

클라우드 관련 기업들은 이같은 활동이 많아지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가이드라인과 안내서들이 다양해지면서 클라우드 기업들과 도입을 추진하는 기관 입장에서는 어느 것을 우선해야 하는지 혼선이 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IT 업체 관계자는 “과거 IT 신기술 도입 시 여러 기준이 나오고 논의됐지만 결국 국정원 기준이 우선된 전례가 있다”며 “클라우드 서비스도 비슷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여러 클라우드 기준이 나왔지만 국정원 가이드라인을 아직 몰라 상황을 관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자와 공급자를 위해 유관기관들이 보다 통일되고 신뢰성 있게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