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KAIST 연구팀, 홀로그래피 현미경 활용 알츠하이머 진단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용근 물리학과 교수와 정용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홀로그래픽 영상기술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환을 정량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광학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뇌 구조는 뇌 기능, 뇌 질환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알츠하이머에 걸린 뇌의 경우에도 회백질과 해마가 비정상적 구조를 갖고 있어, 질병의 진단을 위해 자기공명영상(MRI)나 양전자단층촬영(PRT)을 활용한다. 하지만 MRI, PET는 0.1㎜ 이하의 세밀한 구조를 관찰하기 힘든 것이 한계다.
이러한 영상의 한계는 조직 병리학 기법으로 보완한다. 뇌 조직의 단면 구조를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 과정에 투명한 뇌 조직을 염색하면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조직 병리로 얻은 정보는 정성적 정보가 대부분이라 질병 진단에 필요한 정략적, 객관적 기준을 제공하기도 어렵다.
KAIST 연구팀은 홀로그래피 현미경 기술을 이용, 뇌 구조 정보를 정량적으로 분석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홀로그래피 현미경은 빛의 간섭을 이용해 별도의 염색 과정 없이 조직의 굴절률 분포 수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 조직 샘플을 투과한 빛은 굴절률 분포에 따라 특정한 산란 과정을 겪는다. 연구진은 홀로그래피 현미경으로 얻은 굴절률 분포를 토대로 뇌 조직 내에서 빛이 산란되는 평균 거리와 산란광이 퍼지는 방향성을 정량화했다.
연구진은 알츠하아머 인자를 가진 쥐의 뇌 조직에는 해마와 회백질의 산란 평균 거리와 방향성이 정상 모델에 비해 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했다. 특히 해마 내 산란되는 평균 거리가 약 40% 감소했다. 이는 해마와 회백질 구조가 알츠하이머병에 의해 손상되고 불균일해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알츠하이머 뿐 아니라 파킨슨 병 등 다른 질병 연구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용근 교수는 “최근 창업한 토모큐브의 제품을 이용해 관련 연구자들이 더 쉽게 새로운 방법을 적용시켜 다양한 조직 병리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토모큐브는 박 교수가 공동창업자로 참여한 홀로그래피 현미경 제작 회사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이무성 연구원과 이익성 박사를 공동 1저자로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3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
'엘사' 공주와 함께 우리아이 코딩교육 해볼까? 아이들을 위한 에듀게임교육 서비스에 게임을 접목해 교육시장의 혁신을 노리는 스타트업이 늘고 있다. 학원, 참고서, TV에 갇혀있던 교육 콘텐츠는 모바일 등으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또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기 위한 비용 장벽도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무료 어학공부 애플리케이션부터 세계사, 코딩교육 등 떠오르는 에듀게임을 소개한다.엄마아빠의 필수 앱 ‘핑크퐁’아동 콘텐츠와 IT가 결합해 성공을2016-08-21 10:40:02최현숙기자 최수지 주다은 인턴기자
-
흥미 따라 반 나누고 교실 없는 대학까지글= 박서기 박서기IT혁신연구소 소장해외 에듀테크 사례를 벤치마킹할 때 주로 MOOC 등 온라인 서비스를 거론하곤 한다.하지만 MOOC 외에도 온라인 플랫폼으로 성공을 거둔 에듀테크 회사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며, 전통적인 에듀테크의 범위를 벗어나 학교 교육 자체를 혁신하기 위해 학교를 새로 설립한 경우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에듀테크 새 모델 ‘스타트업 학교’에듀테크의 성공사례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필2016-08-20 17:10:01박서기 박서기IT혁신연구소 소장
-
일자리 위협을 극복하려면? ‘리카도의 역설’글= 송경모 미라위즈 대표데이비드 리카도는 14세까지 초등 교육을 받은 것이 학력의 전부다. 청소년기부터 가업인 상업과 주식 중개업으로 잔뼈가 굵었다. 젊은 나이에 상당한 부를 축적한 뒤 40세 무렵 현업에서 은퇴했다. 이후 10년 남짓 정치경제학 연구와 의정활동으로 굵고 짧은 여생을 보냈다.재미있는 것은 그가 하원의원이 된 계기다. 선거를 통해서 선출된 것이 아니라, 1819년에 아일랜드에 배정된 의석 하나를 돈으로 샀다고 알려져 있다. 요즘 기준으로2016-08-20 12:10:01송경모 미라위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