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M 9월호, 기업문화 혁신 현장 집중 분석
삼성은 지난 3월 '스타트업 삼성 컬처혁신 선포식'을 열었다. 조직문화를 스타트업처럼 빠르게 실행하고 열린 소통을 하는 문화로 혁신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기업문화 혁신은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됐다.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일해서는 더 이상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이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문화를 스타트업처럼 바꾸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
미래를 여는 기술플랫폼 '테크엠(테크M)' 9월호는 '퍼스트 무버'로 가기위한 기업문화 혁신을 다뤘다.
실리콘밸리 주요 기업들의 인재를 중심에 두는 기업문화를 살펴보는 한편, 끊임없이 혁신과 변신을 거듭하는 '오래된 스타트업' GE의 기업문화를 살펴봤다. 동시에 유한킴벌리, 현대모비스,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의 기업문화 혁신 현장도 밀착 취재했다.
이와 함께 린스타트업, 애자일, 스마트워크 등 기업문화 혁신을 위한 방법론과 적용방안을 소개했다.
테크M이 독점 게재하는 MIT테크놀로지리뷰에서는 의학 산업계를 근본부터 바꾸고 있는 '정밀 의료'의 현황과 그 영향을 분석했다.
정밀 의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유전자를 비롯한 개인의 데이터를 얻어 개인별 맞춤 치료를 제공한다. 새로운 시도를 하는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는 물론 투자 이익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테크M 인터뷰에서는 취이 팡 샤오홍슈 창업자와 호우 샤오난 텐센트 오픈플랫폼 대표가 한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비결을 전한다. 또 테크M 리포트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을 진단했다.
이외에도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현황과 해법, 급변하는 반도체 시장에 대응하는 업체별 전략, 국제 레이싱 드론 대회에서 우승한 13살 소년, 혁신 아이콘으로 급부상한 엔비디아 이야기도 함께 다뤘다.
테크M 9월호는 전국 서점과 인터넷에서 구매할 수 있다. (구매문의 02-2077-6227)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
부산시, '핀테크 중심도시' 만들기 본격화부산시가 ‘핀테크 산업 육성계획’을 마련하고 부산시를 핀테크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나선다. 부산시는 핀테크 기업과 금융보안원 분원 등을 유치하고 '부산페이' 등 핀테크 서비스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29일 정부 관계자들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시는 최근 ‘핀테크 산업 육성계획’을 수립하고 핀테크 기업 육성, 관련 기관 유치, 지역 인재 양성 등의 목표를 정했다.육성계획에2016-08-30 12:40:06강진규 기자
-
“한국 기업들, 중국의 거대 시장 노려라”대담 = 최남수 머니투데이방송 대표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이 생산 대국에서 소비 대국으로 변신하면서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의 땅, 새로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물론,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는 것 또한 만만한 일이 아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중국에서 실패의 쓴맛을 봤다.설립 3년 만에 240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면서 제2의 알리바바, 텐센트로 성장하고 있는 샤오홍슈의 사례는 한국 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2016-08-30 12:40:03대담 = 최남수 머니투데이방송 대표
-
독점을 버린 MS의 컨티넘 전략 해부사티아 나델라는 시장을 독점하려던 마이크로소프트의 모습을 버림으로써 이 소프트웨어 대기업의 미래를 밝게 만들고 있다.“기술로 돈을 만드는 방법은 말이죠, 그 기술이 사실상의 표준이 되게 만드는 것입니다.” 젊은 빌 게이츠는 1990년 여름 내게 이렇게 말했다. 그 방법은 실제로 먹혔다. 오랜 기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MS)는 다양한 PC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9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다.IBM PC는 하드웨어에서는 거의 표준이2016-08-30 09:40:01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