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우버도 두 손 든 디디추싱의 다음 계획은
진 류 디디추싱 회장은 어떻게 자신의 차량공유 회사가 중국에서 우버를 이기고 있는지, 그리고 왜 데이터가 그들이 가진 가장 큰 자산인지 설명한다.
지난 5월 애플이 중국의 1위 차량 공유 서비스인 디디 추싱에 1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디디는 중국의 도시에서만 하루 1400만 건의 호출을 해결, 중국 차량 공유 시장의 87%를 차지하고 있다.
사업 개시 후 4년 동안 디디는 중국 400개 도시에서 사람들이 자주 택시를 부르는 위치와 목적지, 가장 수요가 많은 시간, 인기 경로에 대한 정보를 모아왔다. 디디는 이를 이용해 수요를 예측하고, 붐비는 버스의 인기 대안이 된 디디 버스 같은 새로운 제품을 만들었다.
Q. 왜 2년 전 골드만 삭스의 상무 자리를 버리고 디디로 옮겨왔나?
A. 나는 베이징에서 나고 자랐다. 베이징의 교통 문제도 늘 느껴왔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컴퓨터 사이언스를 공부했지만 졸업 후 금융 분야에 12년 정도 머물렀다. 디디는 내 마지막 투자다.
Q. 지난 2년 동안 디디는 어떻게 바뀌었나?
A. 처음 디디로 왔을 때 디디의 사업은 택시 서비스 하나뿐이었다. 중국 도심의 8억 명을 어떻게 이동시킬지는 정말 복잡한 문제다.
중국의 도시는 엄청난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지만 대중교통은 정말로 뒤떨어져 있다. 우리 서비스에는 택시 서비스와 고가, 중가, 저가 개인 자동차 서비스, 버스 서비스가 있다.
버스는 카풀 셔틀 서비스를 확장한 것과 비슷하다. 대중교통 버스는 정류장마다 서야 하고 자리가 없기도 하고 불편하다.
우리의 셔틀형 서비스는 한 두 번 밖에 서지 않는다. 우리는 통근자가 매일 아침 움직이는 인기 출발지와 도착지를 정한다. 규모가 커질수록 더 많은 사람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Q. 새 서비스를 개발할 때 데이터는 어떤 역할을 하나?
A. 승객은 5분 내에 차량이 도착하기를 바란다. 우리는 데이터를 이용해 특정 도시에서 10분 뒤 어디에 수요가 있을지 매우 잘 예측하게 됐다.우리는 러시아워 전에 운전자들을 특정 방향으로 보낸다. 수요일 저녁 6시 어떤 회사에서 몇 명이 차량을 호출할 지 예측할 수 있다.
Q. 중국에서 디디와 우버는 어떤 차이가 있나?
A. 중국 시장과 고객에 대한 이해도에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우리는 지난해 6월 소셜 차량 공유 서비스인 히치를 발표했다. 하루에 50만 명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중국 시장을 이해한다는 것은 이런 뜻이다.
Q. 우버는 때로 자사의 운전자들과 마찰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디디도 비슷한 문제나 사건을 겪고 있나?
A. 우리는 1400만 명의 운전자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디디가 주수입원인 운전자만 250만 명에 이른다.
우리는 그들의 주행 경로를 효율적으로 만들어 그들의 수입을 높여준다. 베이징에서 (디디로 승객을 찾는) 승용차 운전자들이 최저임금의 4배를 벌고 있다. 운전자들이 가진 가장 중요한 문제를 풀어주고 있는 것이다.
Q. 최근 애플의 투자는 어떻게 이루어진 것인가? 그 돈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A. 두 회사는 모두 기술에 투자한 회사다. 애플과 우리의 고객층은 상당히 비슷하다.
하지만 이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건 스피드 데이트다. 그들을 알게 된 건 겨우 지난 4월이다. 수많은 이야기들을 아직은 논의하고 있다. 어쩌면 우리가 애플의 시리를 이용하게 될지 모른다. 우리의 고객 중 상당수가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0호(2016년8월) 기사입니다>
-
부산시, '핀테크 중심도시' 만들기 본격화부산시가 ‘핀테크 산업 육성계획’을 마련하고 부산시를 핀테크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나선다. 부산시는 핀테크 기업과 금융보안원 분원 등을 유치하고 '부산페이' 등 핀테크 서비스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29일 정부 관계자들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시는 최근 ‘핀테크 산업 육성계획’을 수립하고 핀테크 기업 육성, 관련 기관 유치, 지역 인재 양성 등의 목표를 정했다.육성계획에2016-08-30 12:40:06강진규 기자
-
“한국 기업들, 중국의 거대 시장 노려라”대담 = 최남수 머니투데이방송 대표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이 생산 대국에서 소비 대국으로 변신하면서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의 땅, 새로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물론,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는 것 또한 만만한 일이 아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중국에서 실패의 쓴맛을 봤다.설립 3년 만에 240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면서 제2의 알리바바, 텐센트로 성장하고 있는 샤오홍슈의 사례는 한국 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2016-08-30 12:40:03대담 = 최남수 머니투데이방송 대표
-
독점을 버린 MS의 컨티넘 전략 해부사티아 나델라는 시장을 독점하려던 마이크로소프트의 모습을 버림으로써 이 소프트웨어 대기업의 미래를 밝게 만들고 있다.“기술로 돈을 만드는 방법은 말이죠, 그 기술이 사실상의 표준이 되게 만드는 것입니다.” 젊은 빌 게이츠는 1990년 여름 내게 이렇게 말했다. 그 방법은 실제로 먹혔다. 오랜 기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MS)는 다양한 PC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9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다.IBM PC는 하드웨어에서는 거의 표준이2016-08-30 09:40:01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