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이슈 브리핑] 델-EMC 합병법인 출범…치열해진 토털 솔루션 대결
델과 EMC가 통합된 '델 테크놀로지스'가 공식 출범했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서버,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보안 등 말 그대로 토털 솔루션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IBM, 오라클,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 등과 기업용 IT 부문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매출 80조 원의 거대기업 탄생
지난 8일 델 테크놀로지는 델과 EMC의 합병 절차를 마무리하고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델 테크놀로지스 그룹은 델, 델 EMC, 델 EMC 서비스로 운영된다.
델은 PC, 태블릿, 주변기기 등 부문을 담당하고, 델 EMC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제공한다. 델 EMC 서비스는 고객과 파트너사를 지원한다. VM웨어, 피보탈, 시큐어웍스, RSA, 버투스트림 등은 독립 계열사로 운영된다.
마이클 델 델 테크놀로지스 최고경영자(CEO) 겸 회장은 합병 후 고객에게 보내는 메시지에서 “델 테크놀로지스의 두 가지 주력 분야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첫 번째는 클라이언트 솔루션 비즈니스로 앞으로 델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운영된다. 두 번째는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비즈니스로 데이터센터 인프라의 진정한 핵심으로 델과 EMC의 최고 기술력을 통합해 델 EMC라는 이름으로 찾아 간다”고 설명했다.
델 회장은 또 “나머지 계열사인 VM웨어, 피보탈, 시큐어웍스, RSA, 버투스트림 등은 독립 계열사로 남아 자체 에코 시스템을 개발할 재량을 보유한다”며 “이는 (고객에게) 선택의 자유를 주고자 하는 약속”이라고 말했다.
델 테크놀로지는 기업용 부문에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SW 정의 데이터센터(SDDC), 컨버지드 인프라, 서비스형 플랫폼(PaaS), 데이터 분석, 모빌리티, 사이버 보안 등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합병으로 델 테크놀로지스는 연간 통합 매출 규모만 740억 달러(약 81조 원)의 기업이 됐다. 경쟁사인 오라클은 2016회계연도에 370억 달러(약 42조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IBM은 2015회계연도에 매출 817억 달러(약 90조 원)를 기록했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오라클의 매출을 크게 넘어서고 있으며 IBM을 추격하는 입장이 됐다.
스토리지 약점 단번에 극복
델은 PC 사업과 함께 기업용 HW 사업을 진행해 시장의 강자 중 하나가 됐다. 하지만 HW 시장에서 IBM, HPE 등이 서버와 스토리지 사업으로 시너지를 낸 것과 달리 델의 HW 사업은 서버 부문에 집중되고 스토리지 부문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델은 여러 차례 스토리지 기업 인수와 사업 강화를 추진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던 중 2015년 10월 델은 EMC를 670억 달러(약 76조7000억 원)에 인수한다고 밝혀 IT 업계를 놀라게 했다. EMC는 스토리지 부문의 전통적인 강자로 군림해 왔다. 그런 EMC를 델이 막대한 자금을 주고 인수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인수로 델 테크놀로지스는 서버와 스토리지를 통합적으로 공급하며 시너지를 낼 수 있게 됐다.
델 테크놀로지스가 EMC 인수를 통해 EMC의 자회사인 VM웨어, RSA 등을 확보한 것도 주목된다. VM웨어는 가상화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업이며, RSA, 시큐어웍스 등은 보안 부문을 강화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VM웨어는 서버, 스토리지 등 가상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데이터센터 통합을 지원하면서 데이터센터 운영체제(OS)를 공급한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
델 테크놀로지스가 EMC를 인수한 것은 단순히 스토리지 업체를 인수한 것이 아니라 서버, 스토리지는 물론 가상화, 보안 SW 포트폴리오를 갖추는 성과를 얻게 된 것이다. 이로써 델 테크놀로지스는 토털,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으며, 데이터센터 사업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그동안 IBM, 오라클, HPE 등은 서버, 스토리지, SW 등 토털 솔루션을 공급하며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 IBM은 HW, SW 등의 다양한 솔루션을 고객들에게 알맞게 제공해 왔다. SW 기업이었던 오라클은 2009년 썬마이크로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 확보한 HW 역량으로 ‘SW+HW’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HPE는 서버, 스토리지, SW를 융합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델의 공격과 IBM·오라클·HPE의 반격
영업력이 강한 것으로 유명한 델 테크놀로지스는 EMC 인수로 확보한 기술력과 EMC의 전통적인 고객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영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IBM, HP 서버와 EMC 스토리지 조합이 들어갔다면 이제는 델 서버와 EMC 스토리지 조합으로 공세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IBM, 오라클, HPE 등도 반격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회사느 오히려 스토리지 부문을 집중 공략하면서 대응에 나설 수 있다. 또 델 테크놀로지스에 대응하기 위해 IBM, 오라클 등이 스토리지, SW 기업을 추가로 인수할 수도 있다.
한편, 델 테크놀로지스 출범으로 델코리아와 한국EMC의 통합, 조정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EMC는 델 EMC로 이름을 바꿨다. 델코리아는 기업 부문 조직이 델 EMC로 넘어가고 PC 등 소비자 사업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델 테크놀로지스 소속의 VM웨어코리아는 독립 계열사 형태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테크M = 강진규 기자 (viper@techm.kr)]
-
KISTI, 슈퍼컴퓨터 SW 국제표준 개발 참여[테크M = 테크M 취재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슈퍼컴퓨터 활용 확산을 위한 소프트웨어(SW) 국제표준 개발에 동참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개발은 ‘오픈HPC(High Performance Computing)'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진행된다. 슈퍼컴퓨터용 프로그램은 각각의 슈퍼컴퓨터 특성에 따라 최적화 작업을 반복해야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만큼 국제적 동참이 필요하다. 크레이, 인텔, 레노버 등 슈퍼컴퓨터 개발 관련 글로벌 기업들과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버클리 연구소 등 총2016-09-12 18:40:18테크M 취재팀
-
삼성전자 속도와 소통 문화 이식 가능할까한국의 대표 기업 중 하나인 삼성전자가 스타트업 문화를 도입해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더 이상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기업문화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아남기 어렵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삼성전자는 스타트업 문화 정착, 탈권위주의, 수평적이고 효율적인 조직문화를 깃발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변신 과정과 성공여부에 많은 기업과 전문가가 주목하고 있다.삼성전자는 지난 3월 24일 시대 흐름에 맞지 않는 사고방식과2016-09-12 18:40:14강진규 기자
-
유한킴벌리의 기업 문화는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많은 취업 준비생이 다니고 싶어 하는 ‘꿈의 직장’ 중 하나인 유한킴벌리는 수평적 기업문화와 다양한 복지제도를 가진 대표적인 기업이다.이 회사는 상하복종의 수직적인 기업문화로는 미래의 성장을 내다 볼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스마트워크 환경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변화를 위한 시도를 끊임없이 해 나가고 있다.유한킴벌리는 2011년부터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해 나가기 시작했다. 스마트오2016-09-12 18:40:01마송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