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NIA·KISA 등 5곳 개인정보 비식별 전문기관 지정
미래창조과학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산업 활성화와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K-ICT 빅데이터센터)을 개인정보 비식별 전문기관으로 지정하고 비식별 조치 및 기업 간 데이터 결합 등을 본격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5월 규제개혁장관회의를 통해 ICT 융합 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야 개인정보 규제혁신 방안을 마련하고 7월 범부처 합동으로 개인정보 통합해설서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정부는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지원센터(한국인터넷진흥원)와 부처별 전문기관을 지정하고 기업들이 보유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사항을 지원하게 된다. 전문기관으로는 한국정보화진흥원(미래부), 한국인터넷진흥원(행자부, 방통위), 한국신용정보원?금융보안원(금융위), 사회보장정보원(복지부) 등이 지정됐다.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
미래부는 지금까지 중소?벤처기업들이 보유한 데이터를 비식별해 활용하거나 타 분야의 데이터와 결합하기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전문기관이 공모, 심사한 전문가 풀(적정성 평가단)을 통해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적정 평가해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신뢰할 수 있는 전문기관을 통해 기업 간 데이터 결합이 가능하게 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ICT 융합 신산업에서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위해 비식별 전문기관을 지정하고 비식별 조치를 전문 지원함에 따라 국민과 기업이 데이터를 안심하고 분석, 활용할 수 있는 기본 토대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비식별 지원을 원하는 기업은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 전화하거나 홈페이지(kbig.kr)를 방문하면 비식별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KISTI, 슈퍼컴퓨터 SW 국제표준 개발 참여[테크M = 테크M 취재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슈퍼컴퓨터 활용 확산을 위한 소프트웨어(SW) 국제표준 개발에 동참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개발은 ‘오픈HPC(High Performance Computing)'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진행된다. 슈퍼컴퓨터용 프로그램은 각각의 슈퍼컴퓨터 특성에 따라 최적화 작업을 반복해야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만큼 국제적 동참이 필요하다. 크레이, 인텔, 레노버 등 슈퍼컴퓨터 개발 관련 글로벌 기업들과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버클리 연구소 등 총2016-09-12 18:40:18테크M 취재팀
-
삼성전자 속도와 소통 문화 이식 가능할까한국의 대표 기업 중 하나인 삼성전자가 스타트업 문화를 도입해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더 이상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기업문화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아남기 어렵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삼성전자는 스타트업 문화 정착, 탈권위주의, 수평적이고 효율적인 조직문화를 깃발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변신 과정과 성공여부에 많은 기업과 전문가가 주목하고 있다.삼성전자는 지난 3월 24일 시대 흐름에 맞지 않는 사고방식과2016-09-12 18:40:14강진규 기자
-
유한킴벌리의 기업 문화는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많은 취업 준비생이 다니고 싶어 하는 ‘꿈의 직장’ 중 하나인 유한킴벌리는 수평적 기업문화와 다양한 복지제도를 가진 대표적인 기업이다.이 회사는 상하복종의 수직적인 기업문화로는 미래의 성장을 내다 볼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스마트워크 환경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변화를 위한 시도를 끊임없이 해 나가고 있다.유한킴벌리는 2011년부터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해 나가기 시작했다. 스마트오2016-09-12 18:40:01마송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