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SW 취약계층 지원 방안 나오나
2016-10-06강진규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소프트웨어(SW)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이런 연구가 향후 SW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6일 SW 업계에 따르면 SW정책연구소가 이 달부터 오는 12월까지 ‘SW 취약계층을 위한 SW 교육방안 연구’를 진행한다.
SW정책연구소 관계자는 “SW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어떤 사람들이 SW 활용과 교육에 취약한지 정확히 파악해보기 위해서 연구를 진행할 것이며, 연구 결과를 보고 지원방안을 만들고 정책을 건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급속한 확산의 이면에서 취약계층의 정보격차 문제가 불거져왔다.
미래창조과학부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전체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이 85.1%지만 장애인은 66.8%, 저소득층은 73.9%에 그쳤다. 또 노년층은 61.7%, 농어민은 56.2%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일반 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일반 국민의 종합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장애인 86.2%, 저소득층 87.7%, 농어민 72.2%, 노년층 77.4%로 분석됐다.
이에 정부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방안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techm.kr/data/editor/1610/1981902326_1475742016.36832.jpg)
전문가들은 SW 분야의 경우 격차가 더 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에 비해 SW는 좀 더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SW정책연구소는 SW교육 취약계층을 파악해 SW 취약계층을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할 예정이다. 검토 대상은 다문화 가정, 농어촌·섬·산간지역, 장애인, 새터민, 청소년 재소자 등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SW정책연구소는 또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과 교육 등을 분석해 SW 취약계층 문제에 참고할 방침이다. 그리고 이런 내용을 종합해 SW 취약계층 유형별로 SW 교육 활성화 방안을 만들 계획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6일 SW 업계에 따르면 SW정책연구소가 이 달부터 오는 12월까지 ‘SW 취약계층을 위한 SW 교육방안 연구’를 진행한다.
SW정책연구소 관계자는 “SW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어떤 사람들이 SW 활용과 교육에 취약한지 정확히 파악해보기 위해서 연구를 진행할 것이며, 연구 결과를 보고 지원방안을 만들고 정책을 건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급속한 확산의 이면에서 취약계층의 정보격차 문제가 불거져왔다.
미래창조과학부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전체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이 85.1%지만 장애인은 66.8%, 저소득층은 73.9%에 그쳤다. 또 노년층은 61.7%, 농어민은 56.2%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일반 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일반 국민의 종합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장애인 86.2%, 저소득층 87.7%, 농어민 72.2%, 노년층 77.4%로 분석됐다.
이에 정부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방안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techm.kr/data/editor/1610/1981902326_1475742016.36832.jpg)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전문가들은 SW 분야의 경우 격차가 더 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에 비해 SW는 좀 더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SW정책연구소는 SW교육 취약계층을 파악해 SW 취약계층을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할 예정이다. 검토 대상은 다문화 가정, 농어촌·섬·산간지역, 장애인, 새터민, 청소년 재소자 등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SW정책연구소는 또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과 교육 등을 분석해 SW 취약계층 문제에 참고할 방침이다. 그리고 이런 내용을 종합해 SW 취약계층 유형별로 SW 교육 활성화 방안을 만들 계획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상향식 사업 추진의 가장 큰 걸림돌은 기존 제도(최영훈 서울시 정보기획관) “IT가 모든 분야의 기반 기술을 바꾸고, 일하는 방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는 변화를 못 따라가고 있습니다.”최영훈 서울시 정보기획관은 서울시가 상향식으로 스마트 시티 사업을 추진할 때 어려움 가운데 하나가 제도의 경직성이라고 지적했다.과거 정부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은 자문위원을 선정해 그 자문위원들이 최적의 시스템과 사양을 결정하고 외주를 통해 빠르게 시스템을 구2016-10-08 10:10:02도강호 기자
-
보안업체 인수한 가비아, 클라우드 시장 정조준인터넷 인프라 서비스 기업 가비아가 최근 네트워크 보안업체를 인수하는 등 클라우드 시장 공략 준비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 회사는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입을 위해 클라우드 보안인증 획득도 추진할 예정이다. 7일 노규남 가비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을 받기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과 논의하고 있다”며 “10월 중에 신청할 계획이며, 돌발 상황이나 큰 결함이 없다면 3개월 후 인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2016-10-07 17:40:01강진규 기자
-
한국오라클-소베텍, 구분회계 솔루션 클라우드 서비스(오병준 한국오라클 미들웨어 사업부 부사장(왼쪽)과 서병구 소베텍 사장이 공공기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오라클(사장 김형래)은 국내 구분회계 솔루션 기업인 소베텍(대표 서병구)과 국내 공공기관에 최적화 된 구분회계 솔루션(CPM)을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국내 공공기관에서 도입해야 하는 구분회계(사업 단위별로 재무정보를 산출하는 회계2016-10-07 14:40:02강진규 기자